목차
Ⅰ. 서
Ⅱ. 통제권의 근거
Ⅲ. 통제권의 범위와 한계
Ⅳ. 통제위반에 대한 제재절차
Ⅴ. 통제에 대한 사법심사
Ⅵ. 결
Ⅱ. 통제권의 근거
Ⅲ. 통제권의 범위와 한계
Ⅳ. 통제위반에 대한 제재절차
Ⅴ. 통제에 대한 사법심사
Ⅵ. 결
본문내용
러나 조합규약에 징계사유와 절차가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합은 자주적인 결정을 존중해야 하며, 이러한 절차를 현저히 일탈 남용한 경우에만 사법심사의 대상이 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3. 사법심사의 방법 및 효력
사법심사는 일반법원에 의한 민사소송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적법절차에 따라 제명된 조합원이 제명의 부당성을 이유로 사법심사를 밟고 있다는 것만으로 조합원의 지위를 계속 유지하는 것은 아니다.
Ⅵ. 결
노조의 통제권은 노조의 단결을 유지 강화하고,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대등한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통제권 행사에 있어서는 조합민주주의의 구현이 절실히 요청되며, 필요에 따라 이에 대한 사법심사를 인정할 수는 있으나 최소한에 그쳐야 할 것이다.
3. 사법심사의 방법 및 효력
사법심사는 일반법원에 의한 민사소송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적법절차에 따라 제명된 조합원이 제명의 부당성을 이유로 사법심사를 밟고 있다는 것만으로 조합원의 지위를 계속 유지하는 것은 아니다.
Ⅵ. 결
노조의 통제권은 노조의 단결을 유지 강화하고,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대등한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통제권 행사에 있어서는 조합민주주의의 구현이 절실히 요청되며, 필요에 따라 이에 대한 사법심사를 인정할 수는 있으나 최소한에 그쳐야 할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철학개론]노동조합의 경영참가를 막는것은 부당한가?
전시작전통제권 : 조직행태론을 중심으로
[이탈리아]이탈리아에 관하여(이탈리아의 역사, 이탈리아 요리, 이탈리아의 종교, 이탈리아 ...
인적자원관리(HRM) 정의, 인적자원개발(HRD)부문 변화 추세, 기업내 인적자원개발(HRD)체제 ...
노동법상 조합규약에 대한 검토
[전북]전북지역(전라북도)의 도시, 전북지역(전라북도)의 대표음식과 영웅설화, 전북지역(전...
작시작전통제권 회수를 둘러싼 각국의 입장과 한국의 전망
경제위기에 따른 구조조정과 노동조합의 대응
[안전보건, 안전보건준수]안전보건과 안전보건준수, 안전보건정책, 안전보건과 안전보건제도,...
자기정보통제권(프라이버시권)의 의미, 성격, 자기정보통제권(프라이버시권)의 원칙, 자기정...
전시작전통제권(작통권) 전환을 위한 문제점과 한미동맹 강화방안
공무원 노동 조합
[전시작전통제권전환연기]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 이양 연기 찬반양론과 견해 - 전시작...
[강제조사권][반감시권][사면권][통수권][전시작전통제권][추적권][사면]강제조사권, 반감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