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조합 규약의 법적 성격
Ⅲ. 규약의 기재사항
Ⅳ. 규약의 제정 변경
Ⅴ. 규약에 대한 행정관청의 감독
Ⅱ. 조합 규약의 법적 성격
Ⅲ. 규약의 기재사항
Ⅳ. 규약의 제정 변경
Ⅴ. 규약에 대한 행정관청의 감독
본문내용
처분의 시정명령
행정관청은 노동조합의 결의 또는 처분이 노동관계법령 또는 규약에 위반된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노동위원회의 의결을 얻어 시정을 명할 수 있다. 다만, 규약위반시의 시정명령은 이해관계인의 신청이 있는 경우에 한한다.
이때 시정명령을 받은 노동조합은 30일 이내에 이를 시정해야 하며,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행정관청은 노동조합의 결의 또는 처분이 노동관계법령 또는 규약에 위반된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노동위원회의 의결을 얻어 시정을 명할 수 있다. 다만, 규약위반시의 시정명령은 이해관계인의 신청이 있는 경우에 한한다.
이때 시정명령을 받은 노동조합은 30일 이내에 이를 시정해야 하며,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그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노동조합활동에 관한 법적 비교
사용자의 이익대표자의 조합결성
<노동조합설립신고반려처분취소건> 판례 평석의 논평
단체교섭의 당사자와 담당자
공인노무사 2차 서브노트 (노동법 2)
노동법상 조정전치주의 검토
노동법상 노조대표자의 협약체결권
노동법상 쟁의행위의 정당성 검토
노동법상 쟁의행위 전반에 대한 연구
국제노동기구(ILO)의 특수고용노동자 노동3권과 관련된 국제노동기준
노동법상 정리해고, 폐업과 부당노동행위관련 주요 판례 검토
노동법상 부당노동행위 구제절차 전반의 법적 검토
(인권법 A형) 이주노동자에 대한 노동법상의 보호에 대해 논하시오 : 이주노동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