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노조대표자의 협약체결권의 인정여부
Ⅲ. 노조대표자의 협약체결권의 제한
Ⅳ. 협약체결권 제한의 효과
Ⅴ. 제한 위반 단체협약의 효력
Ⅱ. 노조대표자의 협약체결권의 인정여부
Ⅲ. 노조대표자의 협약체결권의 제한
Ⅳ. 협약체결권 제한의 효과
Ⅴ. 제한 위반 단체협약의 효력
본문내용
점에서 협약 전체에 대한 인준은 허용되지 않으며, 예컨대 미타결사항 일부나 소수 잔여쟁점에 대한 인준은 허용된다 할 것이다.
Ⅴ. 제한 위반 단체협약의 효력
노조 대표자가 규약상의 총회인준조항을 무시한 채 협약을 체결한 경우 당해 대표자의 규약위반에 대한 탄핵 등에 관한 사항은 조합 내부적인 사항으로 그 협약은 사용자에 대하여 대외적인 효력을 가진다.
Ⅴ. 제한 위반 단체협약의 효력
노조 대표자가 규약상의 총회인준조항을 무시한 채 협약을 체결한 경우 당해 대표자의 규약위반에 대한 탄핵 등에 관한 사항은 조합 내부적인 사항으로 그 협약은 사용자에 대하여 대외적인 효력을 가진다.
추천자료
노동조합의 재정 일반에 대한 노조법상 검토
단체교섭의 대상 전반에 관한 노조법상 검토
평화의무에 대한 노조법상 검토
쟁의기간 중 근로관계에 대한 노조법상 연구
노조법상 쟁의행위 수단의 정당성 관련 판례 연구
노조법상 중재의 의의와 관련한 판례 연구
노조법상 준법투쟁 관련 주요 판례 연구
노조법상 중재에 대한 불복과 관련한 판례 연구
노조법상 중재재정의 효력 및 유효기간에 관한 판례 연구
노조법상 평화의무와 쟁의행위 정당성
노조법상 노동쟁의 중재와 관련한 쟁점
쟁의행위 절차의 정당성에 대한 노조법상 연구
평화의무에 관한 노조법상 연구
쉐보레(GM대우, 대우자동차)의 임원, 정부 폭력성, 쉐보레(GM대우, 대우자동차)의 매각, 부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