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중재재정의 효력
2. 중재재정의 유효기간
3. 중재재정의 유효기간 및 효력 관련 주요 판례
2. 중재재정의 유효기간
3. 중재재정의 유효기간 및 효력 관련 주요 판례
본문내용
1997. 12. 26. 선고 96누10669 판결)
- 기간의 정함이 없는 중재재정의 유효기간은 단체협약의 그것과 동일하다.
기록에 의하여 소론 연구용역보고서 기재를 살펴보면 이 사건 정율수당의 정액화는 근로자간의 임금격차와 지속적 인건비 상승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고 아울러 임금의 안정성을 제고하는 취지도 포함하는 것임을 알 수 있는바, 이 사건 중재재정에 의한 정액수당은 원래 지급받을 수당보다 상향조정한 것일 뿐만 아니라 기간의 정함이 없는 중재재정의 유효기간은 단체협약의 그것과 동일한 것으로서 위 중재재정에서 정한 정액수당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이 사건 정율수당의 정액화가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대법원 1992. 7. 14. 선고 91누8944 판결)
- 기간의 정함이 없는 중재재정의 유효기간은 단체협약의 그것과 동일하다.
기록에 의하여 소론 연구용역보고서 기재를 살펴보면 이 사건 정율수당의 정액화는 근로자간의 임금격차와 지속적 인건비 상승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고 아울러 임금의 안정성을 제고하는 취지도 포함하는 것임을 알 수 있는바, 이 사건 중재재정에 의한 정액수당은 원래 지급받을 수당보다 상향조정한 것일 뿐만 아니라 기간의 정함이 없는 중재재정의 유효기간은 단체협약의 그것과 동일한 것으로서 위 중재재정에서 정한 정액수당으로 고정되는 것이 아니므로, 이 사건 정율수당의 정액화가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된 것이라고는 할 수 없을 것이다. (대법원 1992. 7. 14. 선고 91누8944 판결)
추천자료
채권압류의 경합과 명령의 효력
항운노조하역근로자들에 관한 노동법상의 문제
행정행위의 성립과 효력, 그리고 하자 및 취소 ․ 철회 ․ 실효
부동산등기의 내용 및 효력
부동산 실권리자 명의등기에 관한 법률
중재제도에 대한 노동법적 검토
노동법상 취업규칙의 변경과 효력
부동산등기의 의의 및 효력
노동관계법상 취업규칙의 작성과 효력
전직금지약정의 유효성 및 한계에 대한 노동법상 연구
노동법상 징계 관련 노사간 면책합의의 효력
[행정법각론]취소소송판결의 효력과 판례2
[취업규칙, 취업규칙 작성변경과 신고, 취업규칙 불이익변경효력, 취업규칙 불이익변경판례]...
[형사소송법] 공소제기의 효과 (公訴提起 效果) (공소제기의 의의, 공소제기의 소송법상 효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