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며
Ⅱ. 쟁의조정의 원칙 및 조정의 대상
Ⅲ. 중재의 의의 및 개시요건
Ⅳ. 중재기관과 중재의 활동 등
Ⅴ. 중재의 효력
Ⅱ. 쟁의조정의 원칙 및 조정의 대상
Ⅲ. 중재의 의의 및 개시요건
Ⅳ. 중재기관과 중재의 활동 등
Ⅴ. 중재의 효력
본문내용
관계당사자는 중재재정이 위법이거나 월권이라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중재재정서를 송달 받은 날부터 10일 이내에 중앙노동위원회에 재심을 신청할 수 있다.
2) 행정소송의 제기
관계당사자는 중앙노동위원회의 중재재정이나 재심결정이 위법이거나 월권이라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 중재재정서 또는 재심결정서를 송달 받은 날부터 15일 이내에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4. 중재재정의 확정
중재재정에 대한 불복절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정 기간내에 재심신청을 하지 않거나 행정소송을 제기하지 아니한 때에는 그 중재재정 또는 재심결정은 확정되며, 관계당사자는 이에 따라야 한다.
5. 집행부정지의 원칙
노동위원회의 중재재정 또는 재심결정은 중앙노동위원회에의 재심신청이나 행정소송의 제기에 의하여 그 효력이 정지되지 아니한다.
2) 행정소송의 제기
관계당사자는 중앙노동위원회의 중재재정이나 재심결정이 위법이거나 월권이라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 중재재정서 또는 재심결정서를 송달 받은 날부터 15일 이내에 행정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4. 중재재정의 확정
중재재정에 대한 불복절차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정 기간내에 재심신청을 하지 않거나 행정소송을 제기하지 아니한 때에는 그 중재재정 또는 재심결정은 확정되며, 관계당사자는 이에 따라야 한다.
5. 집행부정지의 원칙
노동위원회의 중재재정 또는 재심결정은 중앙노동위원회에의 재심신청이나 행정소송의 제기에 의하여 그 효력이 정지되지 아니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민법]실종선고(失踪宣告)제도에 대한 검토
[가족법]부양제도와 부양청구권에 대한 검토
직무급제도 전반에 대한 검토
민법상 무능력자 제도 법적 검토
개정법에 따른 노동위원회 제도 전반에 관한 검토
현행 노조법상 행정관청의 노동조합 설립신고 반려처분의 타당성에 대한 법적 검토
벤처기업에 대한 조세특례제한법상의 지원제도 검토
퇴직급여제도 개요에 대한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상 검토
근기법상 보상휴가제도에 대한 검토
사적조정제도에 대한 노조법상 검토
무분별한 민사소송에 대한 대안으로 갈등조정전문가 제도 검토
민간기관에서의 사회복지사의 법적권리와 법적권리의 한계를 설명하고 사회복지사들의 지위향...
영유아교육)교사 권익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교사 권익의 실태 및 요구도는 무엇이며, 교사의...
민간기관의 사회복지사의 법적지위와 권한에 대해 작성하고 본인이 생각하는 우리나라 민간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