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Title
Date
Purpose
Introduction
Materials
Methods
Results
Discussion
Reference
Date
Purpose
Introduction
Materials
Methods
Results
Discussion
Reference
본문내용
분생포자는 무성(asexual)포자로서 색소를 가지고 있고 건조한 환경에서 내성이 강하여 균체를 새로운 서식처로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분생포자를 만들 때 균사는 본래의 흰색에서 변화되어 남색, 적색, 또는 갈색을 띤다. 표면에 형성된 포자 때문에 균사층은 흡사 먼지로 덮인 듯이 보인다.
어떤 곰팡이는 유성생식을 통하여 유성포자를 생성한다. 유성생식은 단세포성 배우자(unicellular gamete) 또는 배우자낭(gametangia)이라고 하는 특수한 균사의 융합을 통하여 일어난다. 이외에 유성포자는 두 개의 반수성 세포의 결합으로 생기는 배수성 세포가 감수분열(meiosis)과 체세포분열(mitosis)을 통하여 형성되기도 한다. 균류가 속하는 분류학적 그룹에 따라 다른 종류의 유성포자가 생성된다. 밀폐된 주머니 [자낭(ascus)] 안에 생긴 포자를 자낭포자(ascospore)라 하고, 방망이 모양 구조 [담자기(basidium)]의 끝에서 생긴 포자를 담자포자(basidiospore)라고 한다. 일반적인 빵곰팡이인 Rhizopus 같은 접합균류에서 만들어지는 접합포자(zygospore)는 균사의 융합과 유전자 변화에 의해 육안으로도 보이는 구조가 된다. 최종적으로 접합포자가 성숙되면, 공기에 의해 퍼져나가 새로운 균사체로 발아하는 무성포자를 만들게 된다.
유성포자는 건조, 열, 냉동, 그리고 화학약품에 대하여 저항성이 있다. 그러나 세균의 내생포자만큼 저항성이 강하지는 않다. 유성포자이든 무성포자이든 발아해서 균사와 균사체로 자라게 된다.
Materials : PDA(Potato Dextrose Agar)배지, 비닐랩, 25℃ incubator
Methods :
① 원하는 장소로 PDA배지를 가지고 간다.
② 공기 중에 약 12분 정도 노출시킨다.
③ 이 때 petri dish의 뚜껑은 아래를 향하게 하여 안쪽이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④ 25℃ 에 1일, 3일 배양하여 관찰한다.
Result :
1. 배양 1일
2. 배양 2일
Discussion :
이번 실험에선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는 토양, 물, 공기의 여러 장소 중 공기를 선택하여 미생물을 배양하였다. 미생물중 세균이 아닌 곰팡이를 배양시킬 목적으로 제한적인 환경조건 즉, PDA배지와 25℃ 배양의 환경을 만들어 주었다.
실험 장소는 중앙공원 잔디밭이다. 공기 중에는 생물체가 살 수 있는 조건이 매우 희박하다. 가장 큰 이유는 그들의 먹이인 유기물이 희박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공기 중에는 생명력이 강한, 포자로 번식하는 곰팡이가 많이 서식한다.
2일이 지난 10일에 찍은 사진을 보면 비슷한 모양의 곰팡이들이 많이 관찰된다. 세균집락도 보이지만 그렇게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았다. 다음날 10월 11일에 찍은 사진에서는 곰팡이집락이 배지를 거의 덮어씌웠다. 뒷면과 앞면의 사진을 비교 하면 어느 집락이 다른 큰 세력의 집락에게 점령당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곰팡이 마다 생활조건이 다르고 균사가 퍼지는 속도도 다르기 때문에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상당히 많은 수의 집락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접종장소와 당시 환경조건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미생물이 생활하기 적합한 즉, 유기물이 많은 잔디밭이기에 많은 수의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었다. 그리고 어느 정도의 미풍은 배지에 좀 더 많은 미생물이 접종할 수 있도록 해줬다.
Reference :
Brock의 미생물학 11판 / 오계헌 외 18인 공역 / 월드사이언스 / 2006 / p467 - 472
일반미생물학 5판 / 김경민 외 6인 공역 / 라이프사이언스 / 2003 / p513 - 521
어떤 곰팡이는 유성생식을 통하여 유성포자를 생성한다. 유성생식은 단세포성 배우자(unicellular gamete) 또는 배우자낭(gametangia)이라고 하는 특수한 균사의 융합을 통하여 일어난다. 이외에 유성포자는 두 개의 반수성 세포의 결합으로 생기는 배수성 세포가 감수분열(meiosis)과 체세포분열(mitosis)을 통하여 형성되기도 한다. 균류가 속하는 분류학적 그룹에 따라 다른 종류의 유성포자가 생성된다. 밀폐된 주머니 [자낭(ascus)] 안에 생긴 포자를 자낭포자(ascospore)라 하고, 방망이 모양 구조 [담자기(basidium)]의 끝에서 생긴 포자를 담자포자(basidiospore)라고 한다. 일반적인 빵곰팡이인 Rhizopus 같은 접합균류에서 만들어지는 접합포자(zygospore)는 균사의 융합과 유전자 변화에 의해 육안으로도 보이는 구조가 된다. 최종적으로 접합포자가 성숙되면, 공기에 의해 퍼져나가 새로운 균사체로 발아하는 무성포자를 만들게 된다.
유성포자는 건조, 열, 냉동, 그리고 화학약품에 대하여 저항성이 있다. 그러나 세균의 내생포자만큼 저항성이 강하지는 않다. 유성포자이든 무성포자이든 발아해서 균사와 균사체로 자라게 된다.
Materials : PDA(Potato Dextrose Agar)배지, 비닐랩, 25℃ incubator
Methods :
① 원하는 장소로 PDA배지를 가지고 간다.
② 공기 중에 약 12분 정도 노출시킨다.
③ 이 때 petri dish의 뚜껑은 아래를 향하게 하여 안쪽이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④ 25℃ 에 1일, 3일 배양하여 관찰한다.
Result :
1. 배양 1일
2. 배양 2일
Discussion :
이번 실험에선 미생물이 서식하고 있는 토양, 물, 공기의 여러 장소 중 공기를 선택하여 미생물을 배양하였다. 미생물중 세균이 아닌 곰팡이를 배양시킬 목적으로 제한적인 환경조건 즉, PDA배지와 25℃ 배양의 환경을 만들어 주었다.
실험 장소는 중앙공원 잔디밭이다. 공기 중에는 생물체가 살 수 있는 조건이 매우 희박하다. 가장 큰 이유는 그들의 먹이인 유기물이 희박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공기 중에는 생명력이 강한, 포자로 번식하는 곰팡이가 많이 서식한다.
2일이 지난 10일에 찍은 사진을 보면 비슷한 모양의 곰팡이들이 많이 관찰된다. 세균집락도 보이지만 그렇게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았다. 다음날 10월 11일에 찍은 사진에서는 곰팡이집락이 배지를 거의 덮어씌웠다. 뒷면과 앞면의 사진을 비교 하면 어느 집락이 다른 큰 세력의 집락에게 점령당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곰팡이 마다 생활조건이 다르고 균사가 퍼지는 속도도 다르기 때문에 위와 같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생각된다.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상당히 많은 수의 집락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접종장소와 당시 환경조건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미생물이 생활하기 적합한 즉, 유기물이 많은 잔디밭이기에 많은 수의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었다. 그리고 어느 정도의 미풍은 배지에 좀 더 많은 미생물이 접종할 수 있도록 해줬다.
Reference :
Brock의 미생물학 11판 / 오계헌 외 18인 공역 / 월드사이언스 / 2006 / p467 - 472
일반미생물학 5판 / 김경민 외 6인 공역 / 라이프사이언스 / 2003 / p513 - 521
추천자료
생물 주요 개념 정리
오존, 이산화염소 uv
영양[營養, nutrition]
공생, 그 아름다운 공존
미생물에 대한 연구
생물학적처리-(수질)
[식충식물]식충식물의 정의, 분류 및 식충식물 네펜데스와 킹오브선듀, 식충식물 파리지옥풀...
미생물의 식세포이론, 미생물의 산소별 특징, 미생물의 독소, 미생물과 오염미생물, 미생물과...
대기오염물질
농식품 품질의 신속 판정 기술 개발
생물보고서 - 동물세포의 관찰
[예비보고서] 미생물의 성장과 수소이온 농도[pH]
[백두산, 백두산 역사, 백두산 지질, 백두산 화산폭발, 백두산 화산암류, 지질, 화산폭발, 화...
[일반 생물 및 실험보고서] 동물세포 및 식물세포의 관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