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액의 종류와 기능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혈액의 구성과 기능

2. 혈액 세포의 생성

3. 적혈구

4. 백혈구

5. 혈소판

6. 혈장

본문내용

표현)와 cytotoxic T림프구(CD8 항원 표현)로 구분되며, 이들의 역할은 다르지만 모두 세포매개성 면역에 관여한다. B림프구는 골수에서 기원하고 분화하며 항체 생산과 관련 있는 체액성 면역 반응에 관여한다. B림프구는 형질세포(plasema cell)이 되어 정상적으로는 림프절에 존재 한다. NK세포는 골수에서 기원하며 자연살해 세포이다.
- 단구 : 단구는 직경이 14~20㎛로써 말초혈액에서 보이는 정상 백혈구 중 가장 크기가 크며 총 백혈구의 2~9%를 차지한다. 핵은 보통 하나의 핵엽으로 되어 있으며, 구부러졌거나 움폭 들어가 말발굽 모양을 하기도 하나 둥근형태를 보일 수도 있다. 혈액내 단구는 조직으로 이동하여 조직구, 대식세포를 거쳐 거대 세포가 된다.
(그림10. 단구 : 크기가 크고 하늘색의 세포질이 풍부하며 핵의 모양이 불규칙하다.)
5. 혈소판(platelet)
혈소판은 가장 작은 유형 성분으로 골수에서 발견되는 거핵 세포가 파괴되면서 생긴 조각들이다. 순환 혈액 중에 있는 혈소판 조각들은 핵은 없지만 백혈구처럼 아메바 운동을 할 수 있다. 혈소판은 혈액 1㎣당 130000~400000개이며, 이것은 생리적 조건에 따라 크게 변동된다. 혈소판은 5~9일동안 생존하고 비장과 간에서 파괴된다. 혈소판은 혈액응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혈관에 상처가 나서 출혈이 일어나면 혈소판막의 인지질은 혈장의 혈액응고인자들을 활성화하여 혈장단백질인 피브리노겐이 피브린으로 전환되는 일련의 화학적 반응이 시작되고, 피브린이 엉기어 상처부위를 덮어 혈병을 형성한다. 피브린은 혈소판전을 강화 시켜 준다. 혈병에서 서로 결합한 혈소판들은 세로토닌을 방출하여 혈관 수축을 자극함으로써 손상된 부위로의 혈류를 감소시킨다. 혈소판은 성장인자도 분비하는데 이것이 혈관의 완전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하며 죽상동맥경화의 발달에 관련되어 있기도 하다.
(그림11. 혈소판 : 혈구 중 가장 작고 세포질에 자주색 과립이 차 있다.)
6. 혈장(plasma)
혈장은 수분과 용질로 구성된 볏짚 색깔의 액체이다. 농도로 볼 때 주된 성분은 Na+이다. 이 외에도 혈장은 많은 다른 이온들, 대사물질, 호르몬, 항체 및 기타 단백질과 같은 유기분자들을 포함하고 있다. 혈장은 삼투압에 의해 항상성을 유지 하게 되는데, 혈장이 과다 하게 농축되면 삼투농도가 증가한다. 이는 시상하부의 삼투압수용기가 감지하여 갈증을 일으키고, 뇌하수체 후엽에서 항이뇨호르몬을 분비한다. 따라서 수분섭취를 증가시키고 신장에서 수분 흡수를 촉진함으로써 탈수와 혈액량의 감소를 막는다. 이것은 혈장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기전과 함께 혈압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혈장 내 단백질 : 혈장의 7~9%를 차지한다. 혈장 내 단백질에는 알부민, 글로불린, 피브리노겐이 있다. 알부민은 혈장 단백질의 60~80%를 차지하며, 크기도 가장 작다. 간에서 생성되며 또한 모세혈관 주위의 조직액에서 수분을 모세혈관 속으로 끌어들이는데 필요한 삼투압을 제공하여 혈액량과 혈압을 유지 시킨다.
글로불린은 세 종류의 아형인 -글로불린, -글로불린, -글로불린이 있다. -글로불린, -글로불린은 간에 의해 생성되며, 지질과 지용성 비타민을 운반한다. -글로불린은 림프구에 의해 생성되며 면역기능을 갖는다. 피브리노겐은 총 혈장 단백질의 약 4%를 차지하고 간에서 생성되는 중요한 응고 인자 이다. 응고형성 과정 동안 피브리노겐은 불용성의 피브린으로 전환된다.
성분
특이사항
수분
91.5%, 용매의 구실과 운반기능
단백질
알부민
가장 작은 혈장 단백질, 운반체, 삼투 조절자
피브리노겐
혈액응고에 필수 물질
프로트롬빈
혈액 응고 요소
글로브린
항체 : 이종 물질과 결합
영양소
포도당
혈당
아미노산
단백질의 구성 단위
지방
세포막의 구성성분, 에너지 저장원
노폐물
CO₂, 요소, 크레아틴, 암모니아
산소
소량, 대부분 적혈구에 의해 운반됨.
무기물
Na, K, Ca, Mg, Cl, PO₄, SO₄, HCO₃등의 이온
pH, 삼투압 조절, 조직의 구성분
호르몬
내분비샘의 세포에서 방출
(표 2. 혈장의 성분)
7. 참고 문헌
① 생리학, 박인국, 라이프사이언스, p263~267, 2003. 6.
② 진단 혈액학, 현봉학외 5명 공저, 고려의학, p23~33 p39, 2003. 5.
③ 인체의 생물과학, 김창환외 4명 공저, 형설출판사, p173~180, 2003. 2.
④ 인체 생리학, 김복랑외 6명 공저, 고문사, p59~78, 2003. 2.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11.01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461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