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언어 사용의 문제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2-(1)인터넷언어의 사용의 실태
1. 음운(소리)나 표기를 바꾸어 쓰는 경우
2. 문법에 맞지 않게 쓰는 경우
3. 어휘를 바꾸어 쓰는 경우
4. 긴 말을 줄여 쓴 언어
5. 재미를 추구한 언어
6. 한글과 다른 문자를 섞어 만든 언어와 이모티콘
7. 외국어 합성어
2-(2)인터넷언어 사용의 문제점
2-(3)인터넷언어 문제의 해결방안

Ⅲ. 결론8

※참고문헌

본문내용

바이러스 번지듯’ 급속도로 퍼져나갔다. 인터넷 언어를 사용하는 것을 한 번에 뿌리 뽑는 건 어려운 일일 것이라고 생각한다. 좀 더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인터넷 상 언어순화를 실행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흔하게 볼 수 있는 현상으로 맞춤법을 무시해 표기하는 것을 최소화하는 일부터 시작 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인터넷 공간에서 바른 우리말 사용하기 운동과 함께, 그러한 풍토와 분위기를 꾸준히 조성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 우리의 언어파괴의 심각성을 깨닫고 바른 국어사용 노력이 이루어진다면 인터넷언어도 점차적으로 바른 국어로 바뀌게 될 것이다. 앞으로 우리는 인터넷 상에서 올바른 말을 사용하고 줄임말이 아닌 말을 써서 고쳐나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그런 언어를 사용하게 된다고 해도 그 말의 뜻을 확실히 알고 쓰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우리의 꾸준한 노력으로 현대 언어의 특징적 현상으로 자리 잡은 “인터넷 언어”를 뿌리 뽑는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의 말 한글을 더욱더 사랑하는 미덕을 보여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1. 대중매체와 언어 - 이석주 외 5명 (역락 2004)
2. 매스미디어와 언어 - 전병용 (청동거울 2004)
3. 스피치와 커뮤니 케이션 1호 - 한국 스피치 커뮤니케이션 학회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4. 아름다운 사이버세상 - 한국교육학술정보원(한국경제신문사 2005)
5.인터넷 통신언어의 이해 - 이정복 (월인 2005)
6. 컴퓨터 통신 언어 사전 - 김용경, 조오현, 박동근 (역락 2005)
7. 컴퓨터 통신언어의 연구 - 정진수 (역락 2005)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1.03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51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