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및 요로계(방광요도 현수)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간호진단 : 요정체
2. 간호진단 : 변비의 위험성
3. 간호진단 : 감염 위험성
4. 관련진단 : 방광경 현수술의 잠재된 합병증 : 방광, 요도 또는 요관손상
(관련요인 : 수술과정 중의 우발적인 파열 또는 경찰)
5. 간호진단 : 지식부족, 치료요법의 비효율적 이행, 건강유지 능력변화

본문내용

뇨한 소변량과 잔뇨량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4. 5. 2일 연속적으로 잔뇨량이 지속적으로 100ml 미만일 경우에는 의사에게 의뢰하도록 대상자에게 지시한다.(대부분 이런 경우 의사는 치골상 카테터를 제거하기를 원한다.)
5. 질문시간, 제공한 정보를 명확히 할 수 있는 시간이나 역시범을 보일 시간을 대상자에게 허용한다.
6. 다음의 추가적인 증상과 징후는 보고하도록 지시한다.
(1) 스트레스성 요실금
(2) 비정상적이고 지속되는 복부 통증 또는 골반통
(3) 38°C(100.4°F) 이상의 발열
(4) 지속적인 선명한 질출혈 또는 응고
(5) 계속되는 자연배뇨 무능력
(6) 지속적인 100ml 이상의 잔뇨량
7. 과도한 운동이나 15파운드(약 6.75Kg)의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활동은 치유가 완전히 될 때(약 6주)까지 피하도록 대상자에게 지시한다.
8. 질 부위 절개가 있다면 대상자에게 다음을 지시한다.
(1) 회음부의 위생을 철저히 시행한다.(특히 배변후)
(2) 질내 삽입물(예) 탬폰, 질세척)의 삽입을 피하고, 의사의 지시가 있을 때까지 성교도 금한다.(평상 6주)
9. 변비 예방법을 강화한다.
(1) 금기시가 아닐 경우, 하루에 8~10컵의 물을 마신다.
(2)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한다.(예: 신선한 과일, 야채, 곡물)
(3) 하루에 1~2알의 완화제(d: Dialose)를 복용한다.
10. 이틀 이상 배변이 없었다면 의사에게 연락하거나 의사의 처방에 따른다.
[이런 경우, 소량의 자가 관정법(예: Fleet)이나 좌약 형태의 완화제(예 : Dulcolax)가 주로 추천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1.04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51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