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서구문화의 수용과 상호 인식
(1) 서구 문화의 유입
(2) 상호 인식
1) 서구세계가 바라본 조선
2) 조선이 바라본 서구세력
2. 개화기의 근대성
(1) 개화기 근대성의 경험
1) 서구문물의 이입
2) 미국지향성
3) 근대적 교육
4) 근대적 과학기술
5) 프로테스탄티즘의 수용
(2) 광고를 통해본 근대성의 경험
1) 근대광고의 등장
2) 광고 분석
Ⅲ. 결론
※ 참고문헌
Ⅱ. 본론
1. 서구문화의 수용과 상호 인식
(1) 서구 문화의 유입
(2) 상호 인식
1) 서구세계가 바라본 조선
2) 조선이 바라본 서구세력
2. 개화기의 근대성
(1) 개화기 근대성의 경험
1) 서구문물의 이입
2) 미국지향성
3) 근대적 교육
4) 근대적 과학기술
5) 프로테스탄티즘의 수용
(2) 광고를 통해본 근대성의 경험
1) 근대광고의 등장
2) 광고 분석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기라고 할 수 있는데, 우선 정치적 면에서는 전통적인 조선의 왕조 체제가 무너져가면서 기존 정치 체제를 유지하려는 보수 세력과 서구의 근대 문물을 받아들여 근대화를 이루고자 하는 개화 세력이 대립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경제적 면에서는 전통적 자급자족의 체제가 붕괴되고 자본주의 체제가 유입되면서 국내 자본가가 형성되기도 하였지만, 외세의 경제적 침략과 제국주의 국가의 기업들과의 경쟁으로 열세를 면치 못하는 상황이었다. 사회적 면에서는 전통적인 신분제 사회가 무너지면서 천대받던 이들이 부를 축적하여 신분을 상승하거나 상인들이 자본을 축적하여 근대적 기업가로 성장하기도 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문화적 면에서는 서구 문물과 함께 들어온 기독교와 민주주의 이념이 사회적으로 많은 영향을 끼쳤고, 근대적 교육제도의 도입과 같이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에 있어서 근대화 노력이 활발하였던 시기였다.
이런 개화기의 근대성 경험은 구체적으로 다양한 분야와 종류의 서구 문물의 이입과 미국지향성, 서구식의 신식 교육제도를 도입한 근대식 교육, 인쇄나 의술 등의 근대적 과학 기술, 프로테스탄티즘의 수용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당시의 사람들은 이러한 측면에서 근대적 문물을 수용하고 근대적인 사회 변화에 맞춰 의식이나 행동을 변화시켜 나갔다. 특히, 개화기의 근대성은 당시의 소비문화와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시기의 광고를 살펴보는 것은 개화기의 경제구조나 교역상황을 알게 함과 동시에 일반 대중의 시선에서 개화기의 근대성을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고 할 수 있다.
개화기에 등장한 광고들을 살펴보면 다양한 서구문물의 유입을 잘 보여줄 뿐 아니라 근대성의 추구, 계몽의 의지 등이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예로 개화기의 출판 광고는 새로운 지식과 국민 계몽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을 찾아 볼 수 있고, 신문의 발간과 더불어 각종 서적의 발행이 국민의 자주의식 고취를 위한 주요 수단으로 인식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철도 시간표 광고의 경우는 우리 민족이 근대적 시간관념을 가지고 살아가도록 종용함으로써 근대적 시간관념을 각 지역에 전파하는 선구자적 역학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 등장한 최고의 광고 역시 대부분이 상품의 열거로 구성된 광고이긴 하지만 개항기의 무역의 현황과 성격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개화기 당시 최대의 광고 업종이었던 의약품 광고에서는 그것이 담고 있는 메시지가 국민 계몽의 성격을 띠었다고 할 수 있다. 즉, 국가를 보존하고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그 민족이 우선 건강한 신체와 건강한 정신을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먼저 개인이 가지고 있는 병부터 약품으로 다스려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개화기의 광고는 개화기의 근대성과 함께 우리나라에 서구의 문화가 수용되어 나타나는 많은 영향을 가장 잘 살펴볼 수 있는 매체라고 할 수 있다. 즉, 서구의 문물이 밀려들며 혼란스러웠던 당시의 정치경제사회문화 상황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담아내면서, 사람들의 서구 문화 지향이나 근대성의 추구, 계몽 의지 같은 그 시대 담론까지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 참고 문헌 >
1. 강만길, 『고쳐 쓴 한국근대사』,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98)
2. 강준만, 『한국 대중매체사』,(인물과사상사, 2007)
3. 권혁희, 『조선에서 온 사진엽서』,(민음사,2005)
4. 김영순, 『구한말 한국신문의 서적광고와 그 특성』, (부산: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전공 석사학위 논문, 2000)
5. 마정미, 『광고로 읽는 한국사회문화사』, (서울: 개마고원, 2004)
6. 서범석 외, 「근대인쇄광고를 통해 본 근대적 주체형성에 관한 연구」『광고학연구(Journal of advertising)』, (서울: 한국광고학회, 2004)
7. 마정미, 「한국 근현대 광고와 근대성 : 개화기 광고부터 현대광고까지」『고대문화 54호』, (서울: 고려대학교고대문화편집위원회, 2001)
8. 신복룡, 「서세동점기 서구인과 한국인의 상호인식」,(서울: 동국대학교한국문학연구소, 2004)
9. 신복룡, 『신복룡 교수의 이방인이 본 조선 다시 읽기』, (서울: 풀빛, 2002)
Isabella B. Bighop, Corea and Her Neighbors, 신복룡(역),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집문당, 2000)
10. 유선영, 「한국 대중문화의 근대적 구성과정에 대한 연구: 조선후기에서 일제시대까지 중심으로」, (서울: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논문, 1993)
11. 정수일, “‘서양인이 본 조선’에 대한 기록들”,(한겨례, 2005)
12. 한국역사연구회, 『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3』,(서울: 역사비평사, 1999)
13. 최승규, 「조선말기 서구인들에게 비친 서울상」,(서울: 서울시립대학교부설 서울학연구소, 1995)
14. 한경수, 「개화기 서구인의 조선여행」,(서울: 한국관광학회, 2003)
15. 허병철, 「개화기 서양인 출판물에 나타난 조선에 대한 인상」,(경상대학교,2006)
16. 이광호,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교육활동과 성격에 관한 연구」,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7)
17. 강지태, 「개신교 전래와 민족 근대화」, (경상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6)
18. 김종서, 「개화기 사회문화 변동과 종교인식」,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2001)
19. 이장섭, 「서구문화의 유입과 한국 전통문화의 변동」, (한국유럽학회, 1999)
20. 김태수, 『꼿가치 피어 매혹케 하라』, (서울: 황소자리, 2005)
21. 동화약품 홈페이지, http://www.dong-wha.co.kr/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서구문화의 수용과 상호 인식
(1) 서구 문화의 유입
(2) 상호 인식
1) 서구세계가 바라본 조선
2) 조선이 바라본 서구세력
2. 개화기의 근대성
(1) 개화기 근대성의 경험
1) 서구문물의 이입
2) 미국지향성
3) 근대적 교육
4) 근대적 과학기술
5) 프로테스탄티즘의 수용
(2) 광고를 통해본 근대성의 경험
1) 근대광고의 등장
2) 광고 분석
Ⅲ. 결론
※ 참고문헌
이런 개화기의 근대성 경험은 구체적으로 다양한 분야와 종류의 서구 문물의 이입과 미국지향성, 서구식의 신식 교육제도를 도입한 근대식 교육, 인쇄나 의술 등의 근대적 과학 기술, 프로테스탄티즘의 수용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당시의 사람들은 이러한 측면에서 근대적 문물을 수용하고 근대적인 사회 변화에 맞춰 의식이나 행동을 변화시켜 나갔다. 특히, 개화기의 근대성은 당시의 소비문화와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시기의 광고를 살펴보는 것은 개화기의 경제구조나 교역상황을 알게 함과 동시에 일반 대중의 시선에서 개화기의 근대성을 바라볼 수 있게 해준다고 할 수 있다.
개화기에 등장한 광고들을 살펴보면 다양한 서구문물의 유입을 잘 보여줄 뿐 아니라 근대성의 추구, 계몽의 의지 등이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예로 개화기의 출판 광고는 새로운 지식과 국민 계몽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을 찾아 볼 수 있고, 신문의 발간과 더불어 각종 서적의 발행이 국민의 자주의식 고취를 위한 주요 수단으로 인식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철도 시간표 광고의 경우는 우리 민족이 근대적 시간관념을 가지고 살아가도록 종용함으로써 근대적 시간관념을 각 지역에 전파하는 선구자적 역학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 등장한 최고의 광고 역시 대부분이 상품의 열거로 구성된 광고이긴 하지만 개항기의 무역의 현황과 성격을 짐작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개화기 당시 최대의 광고 업종이었던 의약품 광고에서는 그것이 담고 있는 메시지가 국민 계몽의 성격을 띠었다고 할 수 있다. 즉, 국가를 보존하고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서는 그 민족이 우선 건강한 신체와 건강한 정신을 가지고 있어야 하므로 먼저 개인이 가지고 있는 병부터 약품으로 다스려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개화기의 광고는 개화기의 근대성과 함께 우리나라에 서구의 문화가 수용되어 나타나는 많은 영향을 가장 잘 살펴볼 수 있는 매체라고 할 수 있다. 즉, 서구의 문물이 밀려들며 혼란스러웠던 당시의 정치경제사회문화 상황의 변화를 간접적으로 담아내면서, 사람들의 서구 문화 지향이나 근대성의 추구, 계몽 의지 같은 그 시대 담론까지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 참고 문헌 >
1. 강만길, 『고쳐 쓴 한국근대사』, (서울: 창작과 비평사, 1998)
2. 강준만, 『한국 대중매체사』,(인물과사상사, 2007)
3. 권혁희, 『조선에서 온 사진엽서』,(민음사,2005)
4. 김영순, 『구한말 한국신문의 서적광고와 그 특성』, (부산: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전공 석사학위 논문, 2000)
5. 마정미, 『광고로 읽는 한국사회문화사』, (서울: 개마고원, 2004)
6. 서범석 외, 「근대인쇄광고를 통해 본 근대적 주체형성에 관한 연구」『광고학연구(Journal of advertising)』, (서울: 한국광고학회, 2004)
7. 마정미, 「한국 근현대 광고와 근대성 : 개화기 광고부터 현대광고까지」『고대문화 54호』, (서울: 고려대학교고대문화편집위원회, 2001)
8. 신복룡, 「서세동점기 서구인과 한국인의 상호인식」,(서울: 동국대학교한국문학연구소, 2004)
9. 신복룡, 『신복룡 교수의 이방인이 본 조선 다시 읽기』, (서울: 풀빛, 2002)
Isabella B. Bighop, Corea and Her Neighbors, 신복룡(역), 『조선과 그 이웃 나라들』(집문당, 2000)
10. 유선영, 「한국 대중문화의 근대적 구성과정에 대한 연구: 조선후기에서 일제시대까지 중심으로」, (서울: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학위논문, 1993)
11. 정수일, “‘서양인이 본 조선’에 대한 기록들”,(한겨례, 2005)
12. 한국역사연구회, 『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 3』,(서울: 역사비평사, 1999)
13. 최승규, 「조선말기 서구인들에게 비친 서울상」,(서울: 서울시립대학교부설 서울학연구소, 1995)
14. 한경수, 「개화기 서구인의 조선여행」,(서울: 한국관광학회, 2003)
15. 허병철, 「개화기 서양인 출판물에 나타난 조선에 대한 인상」,(경상대학교,2006)
16. 이광호,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의 교육활동과 성격에 관한 연구」, (서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7)
17. 강지태, 「개신교 전래와 민족 근대화」, (경상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1996)
18. 김종서, 「개화기 사회문화 변동과 종교인식」,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2001)
19. 이장섭, 「서구문화의 유입과 한국 전통문화의 변동」, (한국유럽학회, 1999)
20. 김태수, 『꼿가치 피어 매혹케 하라』, (서울: 황소자리, 2005)
21. 동화약품 홈페이지, http://www.dong-wha.co.kr/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서구문화의 수용과 상호 인식
(1) 서구 문화의 유입
(2) 상호 인식
1) 서구세계가 바라본 조선
2) 조선이 바라본 서구세력
2. 개화기의 근대성
(1) 개화기 근대성의 경험
1) 서구문물의 이입
2) 미국지향성
3) 근대적 교육
4) 근대적 과학기술
5) 프로테스탄티즘의 수용
(2) 광고를 통해본 근대성의 경험
1) 근대광고의 등장
2) 광고 분석
Ⅲ. 결론
※ 참고문헌
키워드
추천자료
서구에 영향을 미친 고대의 종교에 대한 요약
이인직 연구
[전통색채의식]한국의 전통 오방색의 색채의식과 현대적 계승과 변용
서구의 고대교육 연구 - 아테네, 스파르타교육, 소피스트
[세계의풍속과문화]일본 가족(이에)의 특성을 가족구성의 형태, 상속, 혼인, 부부자녀 관계 ...
서구 아동 복지발달과 우리나라 아동 복지발달에 관한 비교분석
전통 정조로써 저항하다 - 김소월
한민족의 개념과 함께 한민족의 정체성을 설명
[서양의 역사와 문화] 종교를 통해서 바라본 터키의 문화적 특징
[비교발전행정론] 서구식 정치발전을 지향하는 이슬람 국가 UAE
한중일 삼국의 ‘개화기’ 역사의 철학적 고찰 (동양 삼국의 철학과 서구 철학의 충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