면역의 정의와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면역증강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면역의 정의.

2. 면역의 기능

3. 면역 증강제

4. 기타

본문내용

이식한 후 영지 다당을 주사하거나 복용케 한 실험 결과, 암세포 증식이 억제되고 면역이 증강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영지의 주요 유효성분은 영지 다당. 영지는 간과 위장을 보호하고 뼈와 위를 튼튼히 하며 신경을 안정시키는 기능을 한다.
지금까지도 위암, 백혈병, 식도암. 폐암, 해소, 천식, 소화불량, 간염, 만성 기관지염에 주로 사용돼 오고 있다.
영지 다당은 면역 기능을 증강시키며 면역 억제약, 항종 양약으로 면역기능이 억제됐거나 몸이 쇠약하여 면역기능이 저하되었을 때 이를 회복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이 영지 다당은 면역기능을 촉진해 각종 원인으로 저하된 면역기능을 회복하고 신체의 항종양과 항감염 면역을 증강시키기도 한다.
영지 다당의 면역조절 작용은 '항상성'에 있다. 근래 들어 생체반응조절물질(BRM)에 대한 학자들의 관심이 높아졌는데, BRM은 종양화학치료, 방사치료와 수술치료를 할 때 같이 사용하는 하나의 면역조절제이다.
이는 환자의 항종양 면역력을 증강시키고 치료의 면역계통과 조혈계통에 대한 손상을 방지한다. 이러한 생체반응 조절작용을 영지 다당체가 하는 것이다.
⑭ 운지 버섯
- 운지 버섯에 들어 있는 다당은 면역을 증강시키는 역할이 커 암환자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지난 1960년, 일본의 연구진이 야생 운지 균사체에서 추출한 다당체가 좋은 항암 활성이 있다고 발표한 후부터 운지 버섯의 효과는 곳곳으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실제로 동물실험에서 이 버섯의 다당을 복강 내에 투여한 결과, 암세포 억제율은 70% 이상이나 되었으며 종양에 걸린 생쥐의 생존율은 77%가 연장되고 종양 형성 억제율도 80%에 달했다는 것이다.
운지 버섯 균사체를 암 환자가 섭취하게 되면 면역반응이 증진되어 암 치료에도 좋고 항암제나 방사선 조사 등 직접적인 항암제 치료 후 그에 따른 부작용 또한 줄일 수 있으며 치료효과를 증진시킨다.
⑮ 해조류
- 해조의 성분 중에는 항암, 항 바이러스 등 인체 치료에 유용한 물질이 풍부하다는 것은 오래 전부터 확인되어 온 사실.
육종 180에 대한 실험 결과, 해조류에 들어 있는 당단백체의 종양성장 억제율이 해조류의 종류에 따라 70%에서 25%정도 된다고 한다. 또 해조류의 알긴산과 푸코이딘이라는 다당체는 체내의 면역력을 높여 암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퓨코이딘과 캐리지넌은 막이동에 관여하는 종양성 헤파라네이즈에 있는 엑틴을 억제하여 종양의 전이를 막으며 콜레스테롤 저하, 면역조절 작용도 뛰어나다고 한다.
또 해조에 들어 있는 셀레륨, 요오드, 망간 등과 같은 풍부한 무기질도 면역기능 증진에 도움을 준다.
4. 기타
①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박테리아를 가공하여 만든 약품
- 우리나라에서 면역증강제로 팔리는 것 중에는 흉선에서 추출된 약제 이외에도 브롱코박솜, 비오스팀, 루이박 등이 있다. 이런 약들은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흔한 박테리아를 특수하게 가공하여 만든 것으로 만성 폐질환으로 고생하는 아이들에서 손상된 면역 기능의 회복을 위하여 사용된다. 최근에는 호흡기 감염증의 예방 및 치료에 있어서 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② 알레르기 질환을 예방하는 약품
- 면역증강제는 아니지만 알레르기질환을 예방하는 약제도 있는데 항히스타민제제들로서 일반적으로 항알레르기제제라고 불리워지고 있다. 일부 의사들은 일반사람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면역증강제의 범주에 넣어 설명하기도 한다. 이런 약물로 흔히 알려진 것이 자디텐, 리자빈, 아젭틴, 클라리틴, 알레그라 등이다. 이런 약들은 천식 염증을 다소 완화시켜 천식발작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약제들이다. 그러나 이런 약들이 효과를 나타내려면 6개월이상의 장기간 복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심한 알레르기 질환이나 천식질환아에 주로 예방약으로 사용이 되고 있다.
③ 면역증강제의 효과는 장기복용해야....
- 일반적으로 소아과 의사들은 면역증강제를 권유하지 않는 편이다. 그 이유는 먹는 노력에 비하여 효과가 아주 미미하기 때문이다. 대개의 면역증강제는 장기가 복용하여야 효과가 나기 때문에 6개월이상 복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어린이에게 흔한 일반적인 감기나 알레르기질환에 면역증강제의 효과는 많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면역결핍이 있는 특수질환, 만성폐질환, 기관지 천식, 심한 류마티스성 관절염 에이즈 등에 선별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심한 부작용은 별로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면역증강제를 복용할 경우 식욕이 떨어지거나 하는 몸의 미세한 변화는 있을 수 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11.05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54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