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의 지형과 음식문화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네팔의 지형
① 히말라야 산맥
② 미들 힐즈
③ 테라이

3. 네팔의 음식

4. 맺음말

본문내용

하지만 기장으로 만든 데도가 가장 흔하다. 일반적으로 데도를 만들 때는 다량의 기장에 여러 가지 곡물 가루를 섞는다. 사람들은 데도를 밥처럼 먹는다. 먼저 오른손으로 작은 덩어리를 만든 뒤, 렌즈콩으로 만든 수프인 달이나, 채소 우유 등에 찍어서 입에 넣는 것이다.
우유 신성한 소에서 나오는 우유는 건강과 영양이라는 가치뿐만 아니라 종교적 측면에서도 아주 중요하다. 우유는 목동의 신인 크리슈나가 즐겨마셨다고 알려져 있는데, 종교 의식을 치를 때 시바의 링감 성기의 형태로 시바의 화신의 모습으로 신앙의 대상
에 뿌리기도 한다. 또 우유를 마시는 것 자체도 신성한 경배의 의미를 담고 있다.
네팔어로 우유는 두드이다. 대개 끓여서 뜨거운 상태로 마시며 간혹 물을 타기도 한다. 또 쌀밥에 부어 먹기도 하는데 설탕 등은 가미하지 않는다.
관습 힌두교 집안에서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면 아들이 금식에 들어간다. 또 상을 치르는 13일 동안은 소금, 기름, 렌즈콩, 육류를 삼가야 한다.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면 자녀들은 1년 동안 우유를 먹지 못한다. 반면에 부친상일 경우에는 1년 동안 요구르트를 먹지 않는다.
브라만은 자신보다 낮은 계급이 만들어준 음식이나 물을 먹지 않으며, 이들이 주는 것은 오염된 것으로 치부했지만 최근에는 이런 경향도 점차 줄어들고 있다.
일주일에 한 번이나 한 달에 한 번 여자는 특정한 음식을 삼가야 한다. 하루 종일 금식을 하기도 하지만, 보통은 소금이 들어간 음식을 먹지 않는다. 금식은 몸과 마음을 정화하는 것으로 여자들의 축제인 티즈에서는 핵심을 차지한다.
4. 맺음말
내가 국민학교 시절에 네팔이 아이들의 입에 자주 오르내리곤 했다. 그 시절에 유행했던 수수께끼의 단골 손님이었는데 바로 팔이 네 개 달린 사람들이 사는 나라의 정답이 네팔이었다.
비록 우스갯소리였지만 그 이후로는 네팔에 대하여 접해본 적이 거의 없는 듯하다. 히말라야 산맥과 에베레스트산이 유명하지만 정작 이 유명지가 네팔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을 안 것도 최근의 일이다. 이번에 접해본 네팔은 그간에 내 머릿속을 채우고 있던 세계 여러나라들 한켠 속에 저장 시켜 놓는 계기가 된 것 같다.
단지 네팔이 히말라야 산맥과 에베레스트산과 같은 유명지가 있는 나라이다라는 단순한 느낌에서 머물지 않고 그 히말랴야 산맥이과 미들힐즈, 테라이와 같은 지역들이 네팔에서 어떤 역할을 하고 인간들의 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까지 알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또 음식으로는 명성을 떨치고 있는 중국과 인도를 위아래로 접하고 있는 네팔의 음식 문화가 그다지 발전하지 않았다는 데에서 약간의 의문이 들기도 했으며 기회가 된다면 여기서 살펴본 지형과 음식문화뿐만이 아니라 종교, 축제, 인종과 같은 네팔의 또 다른 모습들도 접해보고 싶다.
참고 문헌
1) 존버뱅크(2005). 네팔 Nepal. 휘슬러
2) 이상보(2007). 네팔과 인도 돌아다니기. 민속원
3) ctv 아시아 음식 문화 기행 - 세계의 지붕, 히말라야의 맛 1,2부
4) 네이버 까페, 네팔사랑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7.11.08
  • 저작시기2006.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58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