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계기의 바늘이 양의 전류값을 나타내야 한다. (바늘이 움직이지 않으면, R3=10[㏀] 인지 확인한다.)
3) R3의 저항값을 서서히 감소시킨다. 계기의 전류값은 감소하여 바늘이 0점 근처로 움직여야 한다. 바늘이 0 또는 0 근처에 도달했을 때 S2를 닫아 5.6[㏀] 저항기를 단락 시킨다. 계기가 0을 가리킬 때까지 R3를 조정한다. 전원을 끄고 S1, S2를 개방한다.
4) R3가 저항상자이면 다이얼을 읽어 표 16-1의 “저항기 1”항에 측정값을 기록한다. R3가 분압기이면 지정된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은 상태로 분압기를 회로에서 분리하고, 저항계로 저항값을 측정하여 표 16-1에 기록한다.
5) 회로에서 RX를 제거한다. 정격 저항값과 허용 오차(색 코드에 의한)를 표 16-1“저항기 1”항에 기록한다.
6) 아래의 휘스톤 브리지 공식을 사용하여 저항기 1의 저항값을 계산하고 표 16-1에 기록한다.
RX=R2/R1(R3)
7) 선택된 5개의 저항기들에 대해 실험과정 1~6을 반복한다. 미지의 저항기 각각에 대해 R3의 값, RX의 정격값, 허용 오차, 계산값 등을 표 16-1에 기록한다.
8) 실험과정 1~7에서 사용된 표준가지를 갖는 그림 16-3의 기본 브리지 회로를 이용하여 브리지가 30[㏀]의 저항값까지 측정할 수 있도록 비율가지 R1, R2 대한 새로운 저항기를 선택한다. 저항계로 R1 과 R2를 측정하여 표 16-2에 기록한다.
9) 전원을 끄로, S1 과 S2를 개방한 상태로 선택된 R1, R2저항기를 사용하여 새로운 회로를 구성한다. 표준가지 R3를 최대값(10[㏀])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실험조교에게 RX용 저항기를 받는다.
10) 전원을 켜고, VT를 6V로 맞춘다. S1을 닫는다. (S2는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계기의 바늘이 0 근처에 도달할 때까지 R3의 저항값을 서서히 감소시킨다. S2를 닫고 바늘이 0점에 도달할 때까지 R3를 계속 조정한다. 전원을 끄고 S1, S2를 개방한다.
11) 실험과정 4에서와 같이 R3의 값을 결정하여 표 16-2에 값을 기록한다.
12) 실험과정 6에서와 같이 휘스톤 브리지 공식을 사용하여 RX를 계산하고 표 16-2에 기록한다.
13) 저항측정 범위를 100[㏀]까지 확대할 수 있는 R1, R2의 값에 대해 실험과정 8~12를 반복한다. 표 16-2에 모든 데이터를 기록한 후, S1, S2를 개방하고 전원을 끈다.
3) R3의 저항값을 서서히 감소시킨다. 계기의 전류값은 감소하여 바늘이 0점 근처로 움직여야 한다. 바늘이 0 또는 0 근처에 도달했을 때 S2를 닫아 5.6[㏀] 저항기를 단락 시킨다. 계기가 0을 가리킬 때까지 R3를 조정한다. 전원을 끄고 S1, S2를 개방한다.
4) R3가 저항상자이면 다이얼을 읽어 표 16-1의 “저항기 1”항에 측정값을 기록한다. R3가 분압기이면 지정된 상태를 변화시키지 않은 상태로 분압기를 회로에서 분리하고, 저항계로 저항값을 측정하여 표 16-1에 기록한다.
5) 회로에서 RX를 제거한다. 정격 저항값과 허용 오차(색 코드에 의한)를 표 16-1“저항기 1”항에 기록한다.
6) 아래의 휘스톤 브리지 공식을 사용하여 저항기 1의 저항값을 계산하고 표 16-1에 기록한다.
RX=R2/R1(R3)
7) 선택된 5개의 저항기들에 대해 실험과정 1~6을 반복한다. 미지의 저항기 각각에 대해 R3의 값, RX의 정격값, 허용 오차, 계산값 등을 표 16-1에 기록한다.
8) 실험과정 1~7에서 사용된 표준가지를 갖는 그림 16-3의 기본 브리지 회로를 이용하여 브리지가 30[㏀]의 저항값까지 측정할 수 있도록 비율가지 R1, R2 대한 새로운 저항기를 선택한다. 저항계로 R1 과 R2를 측정하여 표 16-2에 기록한다.
9) 전원을 끄로, S1 과 S2를 개방한 상태로 선택된 R1, R2저항기를 사용하여 새로운 회로를 구성한다. 표준가지 R3를 최대값(10[㏀])으로 고정시켜야 한다. 실험조교에게 RX용 저항기를 받는다.
10) 전원을 켜고, VT를 6V로 맞춘다. S1을 닫는다. (S2는 개방상태를 유지한다.) 계기의 바늘이 0 근처에 도달할 때까지 R3의 저항값을 서서히 감소시킨다. S2를 닫고 바늘이 0점에 도달할 때까지 R3를 계속 조정한다. 전원을 끄고 S1, S2를 개방한다.
11) 실험과정 4에서와 같이 R3의 값을 결정하여 표 16-2에 값을 기록한다.
12) 실험과정 6에서와 같이 휘스톤 브리지 공식을 사용하여 RX를 계산하고 표 16-2에 기록한다.
13) 저항측정 범위를 100[㏀]까지 확대할 수 있는 R1, R2의 값에 대해 실험과정 8~12를 반복한다. 표 16-2에 모든 데이터를 기록한 후, S1, S2를 개방하고 전원을 끈다.
추천자료
스트레인게이지 실험 및 결과
정류기 실험
정류 ( 교류를 직류로 바꾸는 방법) 에 관하여
전자전기실험 - 실험 4 예비보고서 [Thevenin의 정리]
스트레인 게이지에 의한 변형 및 하중 측정실험-기계공학 응용실험
다이오드 실험 결과 보고서
제어공학공식
스트레인 게이지 실험
다이오드 응용
(최종) 컴퓨터를 이용한 계측실험 I
[실험2-예비]다이오드의_응용(happy)
[설계보고서] 디지털 공학 실습 과제 - 디지털 알람 시계
[전기전자기초실험] 휘스톤 브릿지 실험 : Wheatston\'s bridge의 구조와 사용법을 익히고, ...
휘스톤 브릿지 예비- 결과 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