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초급기술
1. 서는 법
2. 방향 바꾸기
3. 경사면 오르기
4. 넘어졌다 일어나는 법
5. 직활강 시 A자형 활강 및 정지
6. 플루그 보겐
중급기술
1. 슈템턴
상급기술
1. 페러렐 턴
2. 숏 턴
3. 스텝 턴
4. 점프 턴
5. 모글스키
6. 신설스키와 모험스키
7. 에어 턴
참고
1. 서는 법
2. 방향 바꾸기
3. 경사면 오르기
4. 넘어졌다 일어나는 법
5. 직활강 시 A자형 활강 및 정지
6. 플루그 보겐
중급기술
1. 슈템턴
상급기술
1. 페러렐 턴
2. 숏 턴
3. 스텝 턴
4. 점프 턴
5. 모글스키
6. 신설스키와 모험스키
7. 에어 턴
참고
본문내용
체중을 옮긴다. 계곡 쪽 스키를 들어 올리면서 폴을 짚고 턴을 시작한다. 산 쪽 스키를 옆으로 밀듯이 옮기는 스텝 턴 스키 경기 중에 자주 볼 수 있는 동작으로서 스텝 동작으로 턴과 턴을 연결하는 것을 경기용 스테핑(competetion stepping)이라 부른다.
이 기술은 먼저 실시한 턴의 조정 단계를 짧게 줄이고 발을 옮기거나 체중 이동을 실시하여 다음 턴을 미리 준비하거나 시작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테핑을 함으로써 경기 시 스키가 이상적으로 기문을 통과할 수 있으며 스키 활주 면과 눈과의 브레이킹을 줄여 스키의 이동 속도가 줄어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활강 경기 선수들은 기문 통과 시 기문에 바짝 접근하여 스키의 이동 거리를 줄이는 것보다 이동 속도를 줄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가위스텝턴
회전 후반부에 산쪽스키를 가위 모양으로 옮겨 돌려 놓는 기술로서 힘이 가해진 계곡쪽 스키의 설면 반발력을 이용하여 산쪽 스키는 가위차기 형태로 옮겨 딛어 추진력을 가하여 중심을 옮겨 간다. 이 기술은 목표 회전 지점을 지나치거나 턴이 늦었을 때 빠른 다음 회전과 리듬 찾기에 도움이 되는 기술이다. 회전한 바깥쪽 스키가 다음 턴을 할때 안쪽스키가 되는데 턴 회전 전에 안쪽 스키인 스키를 힘껏 차고 나가면서 회전 전에 바깥 스키를 설면에서 띄우고 다음 회전을 준비하면서 교대로 턴하는 스키이다..
4. 점프턴
점프 턴은 업 동작으로 시작한 패럴렐 턴의 응용 기술로서 업 동작을 많이 실시하여 점프를 하고 턴을 완성시키는 기술이다. 이와 같이 점프를 하는 이유는 눈이 녹아 정상적인 패럴렐 턴을 하기에는 스키가 눈 속에 묻히는 경우와 같이 턴이 어렵기 때문에 턴 동작 대신에 점프를 한다. 따라서 쉽게 표현한다면 한 쪽 방향으로 사활강을 실시하다가 점프하여 공중에서 스키의 방향을 바꾸어 반대 방향으로 사활강하는 형태로 간주할 수 있다.
점프할 때는 두 스키로 설면을 힘차게 박차고 공중으로 뛰어 오르며, 이 때 폴은 공중으로 튀어 오르기 위해 힘을 가하는 지지 역할과 회전축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폴을 짚는 방법은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의 폴을 짚거나 두 폴을 모두 짚기도 한다.
점프 턴을 실시하는 방법은
1.엉덩이와 무릎을 구부린다.
2.폴을 짚으면서 힘을 가하여 두 발에 힘을 가하고 점프한다.
3.점프하여 스키가 공중에 있는 상태에서 스키의 방향을 바꾸고 중력에 의하여 몸이 아래로 내려오면 무릎을 약간 구부려 착지한다.
4.무릎을 구부림으로써 착지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킨다.
일반적으로 점프 턴이 잘 되지 않는 경우는 스키의 이동 속도가 빠를 때와 점프 동작을 충분히 실시하지 못 할 때이다. 이동 속도가 빠를 때는 폴이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없으며, 점프 동작을 충분히 하지 못하면 공중에서 스키의 방향을 완전히 바꿀 수 없기 때문이다.
턴을 위한 점프 외에도 스키 타는 재미를 높이거나 위험한 지형을 통과하기 위하여도 점프 기술은 필요하다.
5. 모글스키
모글스키할 수 있도록 적응능력을 길러준다. 그러므로 많은 연습을 하여 적극적으로 활주하다 보면 즉각적인 적응 능력과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모든 기술이 향상된다. 욕심을 부리지 말고 난이도가 낮은 곳부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스피드를 늘려 난이도가 높은 곳을 선택한다. 활주하면서 슬로프의 상황을 잘 파악하여 미리 예측하여 대응 한다 . 일반적으로 모글의 튀어나온 부분에서 다리를 굽혀 충격을 흡수하고 움푹 파인 부분에서는 다리를 펴면서 스키를 돌린다. 또한 모글에서는 정확한 예측 동작과 끊임없이 좋은 균형을 유지하도록 노력한다. 스피드가 붙었을 때는 몸 전체가 뜨지 않도록 다리를 적극적으로 구부려 사용한다.
벤딩턴
모글을 탈 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벤딩턴을 구사 할 수 있는지 여부에 달렸다.
벤딩이란 단어적 의미는 감는다는 뜻인데 이는 상체와 하체의 자연스러움과 스키의 회전력을 이용한 턴이라고 볼수 있다. 보통 패럴턴은 턴에 들어가기 전에 체중이동 하면서 업하고 턴에 들어가서 다운하면서 턴을 마무리 하는데 벤딩턴은 정상적으로 업되어야 할 부분에서 업이 없고 업이 없기 때문에 다운도 없는 턴이다. 스키가 회전을 하고 스피드를 줄이고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강하 원심력이 생기게 되는데 이 원심력을 그대로 무릎으로 받아준다는 기분으로 엣지 체인지에 들어가야 하는 것이다. 패럴턴은 인위적인 업다운 동작으로 바깥쪽스키에 체중을 실어 회전을 만들어내지만 벤딩턴은 상체를 계곡 쪽으로 고정하고 하체를 가지고 원을 그리듯이 치고 나간다. 하체의 자유스러움이 보장이 되지 않으면 결코 이룰수 없는 테크닉이라고 본다.
6. 신설스키 와 모험 스키
다리의 힘을 가볍게 빼고 체중을 감소시켜 언웨이팅한 후 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깊은 눈에서 쉽게 턴을 하는 것은 어렵지만 신설스키는 리듬감이 중요한데 턴의 기존 개념과는 다르다. 한쪽발로 턴하는 것이 아니고 빠지지 않도록 양쪽 스키에 균등하게 무게를 배분해야 된다. 그렇지 않으면 스키가 눈위에 떠서 내려오지 못하고 눈을 파고 들어가 버리기 때문에 신설스키를 즐기지 못하게 된다. 이 스키는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지 않는 스키지만 외국에서는 자연설을 타는 스키어들이 많이 있다. 이와 더불어 모험스키라고 하는 절벽과 같은 산에서 스킹을 즐기는 스키도 즐기고 있다. 모험스키는 스키의 진면목을 보는 것 같아 볼때마다 짜릿하다. 다양한 경험과 본능적으로 눈에 대한 감각과 기술이 접목되는 형태라 할 수 있겠다.
7. 에어턴
스키기술 중에서 활강 중에 에어턴을 구사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모험스키나 신설스키를 하다 범프나 기타 장애물을 만났을 때 사용되기도 하고 트릭스키처럼 에어턴을 실시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스노우보드에 하프 파이프처럼 되어 있는 곳을 스키로 치고 올라가서 그 반발력을 폴을 집고 스키는 공중에 떠 있는 상태에서 방향전환 하는 기술이다.
참고
http://www.ski-ing.co.kr
네이버 카페『SKIBGM (바람을 가르는 사람들의 모임)』
http://blog.naver.com/mipilski/140017021955
이 기술은 먼저 실시한 턴의 조정 단계를 짧게 줄이고 발을 옮기거나 체중 이동을 실시하여 다음 턴을 미리 준비하거나 시작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테핑을 함으로써 경기 시 스키가 이상적으로 기문을 통과할 수 있으며 스키 활주 면과 눈과의 브레이킹을 줄여 스키의 이동 속도가 줄어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활강 경기 선수들은 기문 통과 시 기문에 바짝 접근하여 스키의 이동 거리를 줄이는 것보다 이동 속도를 줄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가위스텝턴
회전 후반부에 산쪽스키를 가위 모양으로 옮겨 돌려 놓는 기술로서 힘이 가해진 계곡쪽 스키의 설면 반발력을 이용하여 산쪽 스키는 가위차기 형태로 옮겨 딛어 추진력을 가하여 중심을 옮겨 간다. 이 기술은 목표 회전 지점을 지나치거나 턴이 늦었을 때 빠른 다음 회전과 리듬 찾기에 도움이 되는 기술이다. 회전한 바깥쪽 스키가 다음 턴을 할때 안쪽스키가 되는데 턴 회전 전에 안쪽 스키인 스키를 힘껏 차고 나가면서 회전 전에 바깥 스키를 설면에서 띄우고 다음 회전을 준비하면서 교대로 턴하는 스키이다..
4. 점프턴
점프 턴은 업 동작으로 시작한 패럴렐 턴의 응용 기술로서 업 동작을 많이 실시하여 점프를 하고 턴을 완성시키는 기술이다. 이와 같이 점프를 하는 이유는 눈이 녹아 정상적인 패럴렐 턴을 하기에는 스키가 눈 속에 묻히는 경우와 같이 턴이 어렵기 때문에 턴 동작 대신에 점프를 한다. 따라서 쉽게 표현한다면 한 쪽 방향으로 사활강을 실시하다가 점프하여 공중에서 스키의 방향을 바꾸어 반대 방향으로 사활강하는 형태로 간주할 수 있다.
점프할 때는 두 스키로 설면을 힘차게 박차고 공중으로 뛰어 오르며, 이 때 폴은 공중으로 튀어 오르기 위해 힘을 가하는 지지 역할과 회전축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폴을 짚는 방법은 회전하고자 하는 방향의 폴을 짚거나 두 폴을 모두 짚기도 한다.
점프 턴을 실시하는 방법은
1.엉덩이와 무릎을 구부린다.
2.폴을 짚으면서 힘을 가하여 두 발에 힘을 가하고 점프한다.
3.점프하여 스키가 공중에 있는 상태에서 스키의 방향을 바꾸고 중력에 의하여 몸이 아래로 내려오면 무릎을 약간 구부려 착지한다.
4.무릎을 구부림으로써 착지에 따른 충격을 완화시킨다.
일반적으로 점프 턴이 잘 되지 않는 경우는 스키의 이동 속도가 빠를 때와 점프 동작을 충분히 실시하지 못 할 때이다. 이동 속도가 빠를 때는 폴이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없으며, 점프 동작을 충분히 하지 못하면 공중에서 스키의 방향을 완전히 바꿀 수 없기 때문이다.
턴을 위한 점프 외에도 스키 타는 재미를 높이거나 위험한 지형을 통과하기 위하여도 점프 기술은 필요하다.
5. 모글스키
모글스키할 수 있도록 적응능력을 길러준다. 그러므로 많은 연습을 하여 적극적으로 활주하다 보면 즉각적인 적응 능력과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모든 기술이 향상된다. 욕심을 부리지 말고 난이도가 낮은 곳부터 시작하여 점차적으로 스피드를 늘려 난이도가 높은 곳을 선택한다. 활주하면서 슬로프의 상황을 잘 파악하여 미리 예측하여 대응 한다 . 일반적으로 모글의 튀어나온 부분에서 다리를 굽혀 충격을 흡수하고 움푹 파인 부분에서는 다리를 펴면서 스키를 돌린다. 또한 모글에서는 정확한 예측 동작과 끊임없이 좋은 균형을 유지하도록 노력한다. 스피드가 붙었을 때는 몸 전체가 뜨지 않도록 다리를 적극적으로 구부려 사용한다.
벤딩턴
모글을 탈 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벤딩턴을 구사 할 수 있는지 여부에 달렸다.
벤딩이란 단어적 의미는 감는다는 뜻인데 이는 상체와 하체의 자연스러움과 스키의 회전력을 이용한 턴이라고 볼수 있다. 보통 패럴턴은 턴에 들어가기 전에 체중이동 하면서 업하고 턴에 들어가서 다운하면서 턴을 마무리 하는데 벤딩턴은 정상적으로 업되어야 할 부분에서 업이 없고 업이 없기 때문에 다운도 없는 턴이다. 스키가 회전을 하고 스피드를 줄이고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강하 원심력이 생기게 되는데 이 원심력을 그대로 무릎으로 받아준다는 기분으로 엣지 체인지에 들어가야 하는 것이다. 패럴턴은 인위적인 업다운 동작으로 바깥쪽스키에 체중을 실어 회전을 만들어내지만 벤딩턴은 상체를 계곡 쪽으로 고정하고 하체를 가지고 원을 그리듯이 치고 나간다. 하체의 자유스러움이 보장이 되지 않으면 결코 이룰수 없는 테크닉이라고 본다.
6. 신설스키 와 모험 스키
다리의 힘을 가볍게 빼고 체중을 감소시켜 언웨이팅한 후 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깊은 눈에서 쉽게 턴을 하는 것은 어렵지만 신설스키는 리듬감이 중요한데 턴의 기존 개념과는 다르다. 한쪽발로 턴하는 것이 아니고 빠지지 않도록 양쪽 스키에 균등하게 무게를 배분해야 된다. 그렇지 않으면 스키가 눈위에 떠서 내려오지 못하고 눈을 파고 들어가 버리기 때문에 신설스키를 즐기지 못하게 된다. 이 스키는 우리나라의 현실에 맞지 않는 스키지만 외국에서는 자연설을 타는 스키어들이 많이 있다. 이와 더불어 모험스키라고 하는 절벽과 같은 산에서 스킹을 즐기는 스키도 즐기고 있다. 모험스키는 스키의 진면목을 보는 것 같아 볼때마다 짜릿하다. 다양한 경험과 본능적으로 눈에 대한 감각과 기술이 접목되는 형태라 할 수 있겠다.
7. 에어턴
스키기술 중에서 활강 중에 에어턴을 구사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모험스키나 신설스키를 하다 범프나 기타 장애물을 만났을 때 사용되기도 하고 트릭스키처럼 에어턴을 실시하기도 한다.
예를 들면 스노우보드에 하프 파이프처럼 되어 있는 곳을 스키로 치고 올라가서 그 반발력을 폴을 집고 스키는 공중에 떠 있는 상태에서 방향전환 하는 기술이다.
참고
http://www.ski-ing.co.kr
네이버 카페『SKIBGM (바람을 가르는 사람들의 모임)』
http://blog.naver.com/mipilski/140017021955
추천자료
스키 이야기
부르넬레스키의 돔
수상스키
보드의 과학적 운동원리, 보드의 기초 및 응용기술
스노우보드 완벽정리역사, 보드종류, 장비, 기술, 원리, 자세,역사와 유래
스노우보드 완벽정리 (역사, 보드종류, 장비, 기술, 원리, 자세)
과학기술의 윤리문제
직업평가의 과정-파시넬리의 직업평가 과정, 나돌스키의 삼각형, 위스컨신 대학의 스타우트와...
[겨울스포츠] 스노우보드의 과학적 운동원리, 보드의 기초 및 응용기술
[부모교육] 발달적 상호작용의 부분발달과정 단계과 거린스키 (갈린스키 / Galinsky)의 부...
2016년 1학기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잔여적, 제도적 사회복지실천 차이)
2018년 1학기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잔여적, 제도적 사회복지실천 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