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신체의 발육발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18.5
-
-
정상체중
18.5~24.9
거의 없음
약간 높음
과체중
25.0~26.9
27.0~29.9
약간 높음
중등도
중등도
높음
비만Ⅰ
비만Ⅱ
30.0~34.9
35.0~39.9
높음
매우높음
매우 높음
매우 높음
고도비만Ⅲ
≥40
극히 높음
극히 높음
출처 : www.healthpro.or.kr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⑸ BMI에 의한 나의 비만도 판정
나의 BMI 지수는 20.71로 정상체중에 속한다. 그리고 허리둘레는 80cm로 94cm가 넘지 않으며, 심혈관질환 위험요인 또한 없으므로 비만관련 질환의 위험도가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허리-엉덩이 둘레비 (WHR)
⑴ WHR 구하는 공식
▶ WHR = 허리둘레(복위) / 엉덩이 둘레
▶ 나의 WHR = 80 /90 = 0.88
⑵ WHR에 의한 비만의 판정
- 여자 0.83 이상, 남자 0.91 이상이면 복부비만.
- 여자 0.83 미만, 남자 0.91 미만이면 정상.
- 여자 0.75 이하, 남자 0.80 이하이면 사지비만.
- WHR은 체지방의 분포 특히 피하지방과 복강내 지방의 분포를 잘 반영한다.
- 복부 지방이 많을 경우 당뇨, 관상심장병, 뇌졸중, 호르몬 과 관계있는 여성암 등의 발병위험률이 높다.
⑶ 복부 지방정도에 따른 건강 위험도 (아시아 태평양 치료지침)
분류
BMI(kg/m²)
동반질환의 위험도
허리둘레
< 90cm(남성)
< 80cm(여성)
> 90cm (남성)
> 80cm (여성)
저체중
정상 범위
과체중
위험체중
1단계 비만
2단계 비만
< 18.5
18.5~22.9
>23
23~24.9
25~24.9
> 30
낮다(다른 임상질환의 위험은 높다)
보통
증가
중등도
고도
보통
증가
중등도
고도
매우고도
출처 : 비만의 진단과 치료 / 대한비만학회 편역
⑶ 허리-엉덩이 둘레비를 통한 나의 비만도 판정
나의 허리-엉덩이 둘레비는 0.85로 남자의 정상기준인 0.91미만에 속하므로 정상이다. 체지방의 분포 특히 피하지방과 복강 내 지방의 분포가 정상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당뇨, 관상심장병, 뇌졸중등의 발병위험률이 낮다고 볼 수 있다.
허리둘레 판정기준
▶ 남자의 경우,
- 80 ~ 88 cm (31.5 ~34.6 inch ) - 정상
- 89 ~ 91.3 cm (34.7 ~ 35.9 inch ) - 요주의
- 91.4 cm 이상 (36.0 inch 이상 ) - 비만
▶ 나의 경우,
- 허리둘레가 80cm인 31.5 inch 이므로 성인남성의 정상허리둘레 라고 판정된다.
나 자신에게 맞는 맞춤형 비만처치 방법
위에 나타난 결과로 나 자신의 체형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보면,
성인 한국인의 체위 기준치와 나의 체격위치를 비교하였을 때 신장은 일치하였고, 체중은 3.8Kg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극심한 체중부족은 아니지만 저체중으로 판정되었다. 신장에 대한 나의 표준체중을 구했을 때, 표준체중은 65.7Kg으로 나의 체중이 약 3.7Kg 가볍게 나타나 역시 저체중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비만지수와 상대체중 및 BMI를 근거로 하였을 때는 정상체중으로 나왔으며, WHR 또한 성인남자의 정상기준에 속하여 당뇨, 관상심장병, 뇌졸중등의 비만관련 질환의 발병 위험률이 낮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 나에게는 체중의 증가와 더불어 근육의 증가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나의 체형은 약간 마른체형이며, 마른체형은 운동 부족으로 인한 근량 부족에서 나타난다고 한다.
체중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근육 량을 늘이는 운동과 더불어 식사요법이 먼저 시행 되어야 한다.
⑴ 식사요법
① 체중 증가량 예측
- 1일 기초대사량 산출
1일 기초대사량 = 1.0 × 62Kg × 24hr = 1488㎉
(기초대사량은 남자 1㎉/Kg/hr , 여자 0.9㎉/kg/hr)
- 활동량 산출 : 기초대사량의 40%로 계산하면,
1일 활동량 = 1488 × 0.4 = 595.2㎉
- 하루 필요 에너지량 = 1488 + 595.2 = 2083.2㎉
- 성인남성의 하루 에너지 섭취기준은 2600㎉ 이다. 나의 하루 필요 에너지량은 2083.2㎉ 이므로 하루 2600㎉를 섭취한다면, 516.8㎉가 체내에 축적되게 된다. 이것으로 체중 증가량을 계산해보면,
516.8 ÷ 7.7㎉ (체지방 1g당 약 7.7㎉) × 7일 =469.8g/주
≒ 0.47Kg/주
한주에 0.47Kg이 늘게 된다. 8주간 하루 2600㎉의 섭취를 하게 된다면 3.76Kg의 체중증가를 시킬 수 있다. 즉 내가 늘려야할 체중인 3.7Kg을 늘이는데 에는 2달의 시간이 소요되며 하루 2600㎉를 반드시 섭취하여야 한다.
② 체중부족의 영양관리
- 적절한 에너지 섭취와 균형 잡힌 영양 섭취를 위해 과일, 채소, 정제되지 않은 곡물, 양질이 단백질 식품, 유제품을 적절히 섭취하여야 한다.
- 에너지섭취를 증가시키는 조리음식의 예
식품군
음식
곡류
볶음밥, 버터 바른 빵, 프랜치 토스트, 케익, 잼, 젤리크림을 이용한 빵,샌드위치
어육류
맑은 국보다 어육류를 이용한 국이나 찌개, 튀김류, 전류, 볶음 등을 이용한 음식
채소류
마요네즈를 이용한 샐러드, 기름을 이용한 튀김, 볶음을 이용한 음식
우유 유제품
우유, 치즈, 아이스크림
과자류
캐러멜, 쿠키, 스넥 과자류
견과류
잣, 땅콩, 호두
출처 : 임상영양관리/ 장유경외/ 효일문화사
⑵ 운동요법
▶ 요령
최대 부하량의 40%를 사용하며, 중량은 숫자로 환산하면 20회 이상 반복 가능 한 중량을 사용하여야 한다. 운동 시 무게나 숫자 보다는 균형 있게 근육을 사용하는 연습을 하여야 한다.
▶ 방법
- 덤벨 쇼울더 프레스
- 덤벨 트라이셉스 익스텐션
- 덤벨 바이셉스 컬
- 레그레이즈
- 빈몸스쿼트
- 크런치
- 푸쉬업
-출처: www.hubax.com
※ 참고 및 인용문헌
〓 보건복지부추천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 임상영양관리 / 효일문화사 / 장유경외
〓 영양사 학습목표에 맞춘 식사요법 / 교문사 / 이정실외
〓 비만의 진단과 치료 / 대한비만학회 편역
〓 www.healthpro.or.kr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 www.kns.or.kr 한국영양학회
〓 www.hubax.com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11.15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67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