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의약품 개발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수용체 결합 실험을 행해 활성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들의 극대화된 구조, 안정성, 활성을 보기 위해선 정제가 필수적이다. 주로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이들을 정제하는데 주로 단백질이 가지는 전하, 크기, 다른 물질과의 결합친화도 등을 이용하여 단백질을 정제한다. 요즘은 polyhistidine 같은 부가적인 표식을 목표단백질에 발현시켜 이를 이용한 결합친화도로 쉽게 재조합단백질을 정제하기도 한다.
Discussion
이제까지 우리는 생물의약품의 개발 및 생산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물론 질병의 목표가 되는 수용체, 효소 여러 가지 생체고분자들에 대한 억제 혹은 증진을 통해 질병을 치료하는 생물의약품이 생체와 똑같은 구조, 기능을 가지고 약물로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생체내에 들어갔을 때 여러 단백질 분해효소, 펩타이드 분해효소에 의해 쉽게 분해되어 약물로서 전혀 효능을 잃게 되는 일이 많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선 in vitro 상태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예를 들어 리간들 작용한다면 수용체에서 가장 결합을 잘 하는 부위를 찾아내어 이를 약물로 활용할 수 있고, 여러 가자 hydrophobic functional group 등의 세포막을 쉽게 통과할 수 있는 것들을 약물에 붙여 약물전달을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재조합 단백질의 구조를 변형시킴으로써 단백질 분해효소, 펩타이드 분해효소에 분해가 잘 디지 않는 약물을 개발할 수 있다. 만약, 충분한 재조합 약물 단백질에 대한 구조, 활성, 기능에 대한 총괄적인 결과를 얻게 되고 약 50개 이하의 아미노산 서열로 이루어진 단백질 부분이 활성을 나타내는데 아무런 문제가 엇다고 밝혀진다면 충분히 펩타이드에서 나타날 수 있는 미생물, 단백질 등에 의한 오염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기 위해선 약물을 계획할 때 목표가 되는 단백질 혹은 생체고분자의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며, 이들과 결합하는 약물과의 결합을 simulation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도 필요하고 단백질과 단백질간의 결합을 실질적인 실험을 통해 볼 수 있게 해주는 최근에 개발된 기기들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신약을 개발할 때 질병의 목표를 얼마나 명확하게 잡고 얼마나 그것의 구조적 이해와 기능을 자세히 알고 신약을 계획하느냐가 신약개발의 관건이라 할 수 있으며 그만큼 신약으로서의 성공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1.15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67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