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다자안보협력이란?
2.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의 필요성
3.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에 대한 각국의 입장
4.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의 장애요인
Ⅲ. 결론 및 전망
Ⅱ. 본론
1. 다자안보협력이란?
2.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의 필요성
3.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에 대한 각국의 입장
4.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의 장애요인
Ⅲ. 결론 및 전망
본문내용
해결하고, 여기서 일정한 성과가 나오면 동북아 안보협력으로 넘어가는 수준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동북아지역의 다자안보협력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상호신뢰구축이 필수적이며 주변 국가들과 충분한 사전협의를 거치는 것이 중요하며, 무엇보다도 세계패권국인 미국의 동의가 필요할 것이다. 미국의 동의 없이는 일본이나 한국 등의 참여가 힘들기 때문이다.
유럽지역의 사례에서와 마찬가지로 동북아지역에서도 다자안보협력을 실현하는 데에는 많은 난관이 놓여 있는 것이 사실이다. 동북아지역은 유럽지역보다도 더 복잡한 양상으로 다자안보협력 제도화의 제약요인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동북아에서는 분명히 다자안보협력을 향한 꾸준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그 가능성 또한 충분하다고 하겠다. 향후 동북아지역에서 협력안보개념에 입각한 다자안보협력이 수용되고 또 그것이 제도화된다면 이 지역의 안보환경은 크게 개선될 것이다. 동북아 지역의 다자안보협력의 제도화는 유럽지역과 마찬가지로 지역안보협력기구의 창설을 통해 이루어져 이 지역 안보환경을 보다 근본적으로 개선시키고 미래지향적인 발전을 이룩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참고문헌]
국제문제연구 제4권 제4호, 2004-겨울, 국제문제조사연구소
국가안전보장회의, “참여정부의 안보정책 구상: 평화번영과 국가안보” 서울, 세기문화사, 2004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의 가능성과 과제: 주요국제문제분석, 2005. 12. 9, 외교안보연구원
조선일보: 2007.04.16 / 종합 A2 면 “6자회담, 한반도 평화협상으로 이어질 것”
盧 대통령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기구 필요”
동북아 안보경제 협력체제 형성방안: 통일연구원, 2003
엄태암. 2001. ‘동북아 다자안보협의체 구상의 논의 경과와 전망.’ 국방정책연구 (겨울).
외교통상부 외교정책실 안보정책과. 1998.「동북아 다자안보 협력의 현황과 전망」(외교통상부).
윤영관. 2001. ‘남북한 관계와 동북아 다자협력.’ (동아일보 창간 81주년 기념 한중일 국제학술회의「동북아시아의 평화와 협력」(서울: 프레지던트 호텔. 2001/4/13) 발표논문.
홍현익, 이대우 (2001).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주변 4강」, 세종연구소
박건영, 남창희, 이수형 (2002). 「미국의 동북아 동맹전략과 동맹의 안보딜레마,
그리고 한국의 국가안보전략에 대한 함의」, <한국과 국제정치>, 18-4호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8/21/2007082101133.html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8/21/2007082101133.html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249873.html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발전방안, 이대우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동북아 공동체와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이론적 및 실천적 재검토, 김태현(중앙대학교 교수)
따라서 동북아지역의 다자안보협력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상호신뢰구축이 필수적이며 주변 국가들과 충분한 사전협의를 거치는 것이 중요하며, 무엇보다도 세계패권국인 미국의 동의가 필요할 것이다. 미국의 동의 없이는 일본이나 한국 등의 참여가 힘들기 때문이다.
유럽지역의 사례에서와 마찬가지로 동북아지역에서도 다자안보협력을 실현하는 데에는 많은 난관이 놓여 있는 것이 사실이다. 동북아지역은 유럽지역보다도 더 복잡한 양상으로 다자안보협력 제도화의 제약요인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동북아에서는 분명히 다자안보협력을 향한 꾸준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그 가능성 또한 충분하다고 하겠다. 향후 동북아지역에서 협력안보개념에 입각한 다자안보협력이 수용되고 또 그것이 제도화된다면 이 지역의 안보환경은 크게 개선될 것이다. 동북아 지역의 다자안보협력의 제도화는 유럽지역과 마찬가지로 지역안보협력기구의 창설을 통해 이루어져 이 지역 안보환경을 보다 근본적으로 개선시키고 미래지향적인 발전을 이룩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참고문헌]
국제문제연구 제4권 제4호, 2004-겨울, 국제문제조사연구소
국가안전보장회의, “참여정부의 안보정책 구상: 평화번영과 국가안보” 서울, 세기문화사, 2004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의 가능성과 과제: 주요국제문제분석, 2005. 12. 9, 외교안보연구원
조선일보: 2007.04.16 / 종합 A2 면 “6자회담, 한반도 평화협상으로 이어질 것”
盧 대통령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기구 필요”
동북아 안보경제 협력체제 형성방안: 통일연구원, 2003
엄태암. 2001. ‘동북아 다자안보협의체 구상의 논의 경과와 전망.’ 국방정책연구 (겨울).
외교통상부 외교정책실 안보정책과. 1998.「동북아 다자안보 협력의 현황과 전망」(외교통상부).
윤영관. 2001. ‘남북한 관계와 동북아 다자협력.’ (동아일보 창간 81주년 기념 한중일 국제학술회의「동북아시아의 평화와 협력」(서울: 프레지던트 호텔. 2001/4/13) 발표논문.
홍현익, 이대우 (2001). 「동북아 다자안보협력과 주변 4강」, 세종연구소
박건영, 남창희, 이수형 (2002). 「미국의 동북아 동맹전략과 동맹의 안보딜레마,
그리고 한국의 국가안보전략에 대한 함의」, <한국과 국제정치>, 18-4호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8/21/2007082101133.html
조선일보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8/21/2007082101133.html
한겨레: http://www.hani.co.kr/arti/politics/defense/249873.html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발전방안, 이대우 (세종연구소 연구위원)
동북아 공동체와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이론적 및 실천적 재검토, 김태현(중앙대학교 교수)
추천자료
21세기 남북한 환경협력에 관하여
세계체제와 중국의 상관성
미국패권주의와반미주의를넘어서
냉전의 종식과 새로운 국제 질서 체제
걸프전·코소보전의 의미와 성격
동아시아 금융통합과 경제통합(금융통합을 중점적으로)
북핵 위기의 현황 및 전망
한중일fta
[러시아와 북한(북러), 북핵, 공동선언, 교역]러시아와 북한(북러)의 북핵, 러시아와 북한(북...
아시아 공동체구상에 관한 회의(EAS회의), 아시아 안보에 관한 회의(ARF, 아세아지역포럼), ...
환경에 관한 회의(UN인간환경회의), 핵군축에 관한 회의, 신탁통치에 관한 회의(모스크바회의...
6자회담에 임하는 러시아의 입장, 전략과 대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