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도덕과 예의범절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도덕적 해이와 예의범절 강조

3. 가정에서의 도덕규범

4. 맺는 말

본문내용

은 가족의 집이다. 그러니까 가족의 집은 겨레의 집을 형성하는 기초집단이다. 이 기초집단이 튼튼해야 사회와 국가도 튼튼해진다. 그리고 가정은 가족들이 서로 익히면서 세상을 보는 눈을 크게 하는 학습장이므로 가정생활은 한 나라 문화의 척도이기도 하다. 그래서 북한 가정의 도덕규범과 예의범절을 파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북한가정에서 전래의 예절이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전통모습 그대로 무조건 부모를 섬기는 것은 맞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간 북한의 전통규범 정책에 대해서는 오인된 부분도 있었다. 그것은 공산주의 정치사상과 관련한 가치관을 중시한 나머지 공산주의적 새 인간을 만드는데 우선적인 주목을 했기 때문에 전래적 가치관에 따른 규범을 깡그리 없앤 것으로 파악한 것이다. 그것은 북한 가정에 대한 내적 접근보다 정치문화와 관련된 사회의 이상적 인간상만을 도덕의 기준으로 파악했기 때문이다. 온 사회의 주체사상화,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수령론 등등 국가목표에서 나온 충효일심, 이신작칙, 간고분투, 결사옹위정신, 속도전, 일심단결, 군민일치 등의 정치적 덕목에만 관심을 두고 초점을 모았던 것이다. 어떻든 주체형의 인간을 목표로 하는 규범화과정에서도 주체사상과 관계되는 덕목은 내용으로 되고, 전통규범은 형식으로 살아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 “공산주의 도덕의 최고 기준은 수령에 대한 끝없는 충실성”이라는 것은 확실하다. 따라서 이는 충성을 바칠 대상이 소멸하면 무너질 수밖에 없는 규범체계이다.
참고자료-
[북한 문화연구], 한국문화정책개발원, 1993
[북한문화의 이해], 자료원, 2004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11.23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82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