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치식물-실험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속새 - 전체외형
그림
특징
① 포자수는 노란색이다.
② 포자수는 옥수수 모양이다.
③ 포자낭병 중간에 짙은 갈색 점이 있다.
④ 잎은 마디마다 난다.
⑤ 잎은 돌려난다.
⑥ 잎은 갈색이나 회색을 띈다.
⑦ 잎은 뾰족한 깃 모양이다.
⑧ 절간에는 세조가 뚜렷히 나타난다.
⑨ 절간(줄기)은 짙은 녹색이다.
⑩ 줄기는 절간과 마디로 이루어져 있다.
⑪ 절간은 아래로 갈수록 길다.
그림에서 유의해야 할 점
명칭
① 포자수의 포자낭병을 정면에서 봤을 때, 포자낭병의 가운데 부분이 주변부보다 색이 짙다는 것을 표현한다.
② 포자낭병이 포자수에 붙어있다는 것을 표현한다.
③ 줄기에서 세조가 드러나게 표현한다.
④ 줄기의 마디부분이 잘록하다는 것을 표현한다.
⑤ 줄기의 마디에서 잎이 난다는 것을 표현한다.
⑥ 각각의 잎은 갈라지고, 뾰족한 모양이라는 것을 표현한다.
① 포자수
② 포자낭병
③ 잎(소엽)
④ 줄기
⑤ 마디
⑥ 절간
⑦ 세조
2. 배 - 석세포
그림
특징
① 배는 세포벽이 비후된 후벽 조직이다.
② 석세포의 가운데 아주 작은 부분은 세포질이다.
③ 세포벽에는 세포질과 세포 외부를 연결하는 막공이 있다.
④ 석세포 바깥 부분은 유세포로 둘러싸여 있다.
그림에서 유의해야 할 점
명칭
① 막공을 관 모양으로 표현한다. (한줄은 아니다.)
② 유세포가 석세포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모습을 표현한다.
③ 유세포의 세포벽보다 석세포의 세포벽을 더 두껍고 진하게 표현한다.
① 세포질(빈강소는 아니다.)
② 세포벽(1차, 2차 세포벽으로 구분해도 무관하다.)
③ pit canal(막공/분지막공)
④ 유세포
3. 쇠뜨기 - 포자낭병
그림
특징
① 포자낭병은 연한 노란색이다.
② 포자낭병은 육각형 혹은 벌집 모양으로 조밀하게 붙어있다.
③ 포자낭병에 포자낭이 달려있다.
④ 포자낭의 색은 연한 노란색이다.
그림에서 유의해야 할 점
명칭
① 포자낭병에서 포자수와 연결된 부분까지도 표현한다.
② 포자낭이 포자낭병에 붙어있는 모양을 표현한다.
① 포자낭병(포자낭병자루는 아님)
② 포자낭
4. 쇠뜨기 - 포자와 탄사
그림
특징
① 포자는 둥글다.
② 포자의 색은 녹색이다.
③ 하나의 포자에 4개의 탄사가 붙어있다.
④ 4개의 탄사는 한 점에서 뻗어 나온다.
⑤ 탄사의 길이가 매우 길다.
⑥ 탄사의 끝 부분은 화살촉 모양이다.
⑦ 탄사는 투명하다.
⑧ 포자낭이 터지면 탄사가 움직이다가 일정시간이 지나면 움직이지 않는다.
그림에서 유의해야 할 점
명칭
① 포자와 탄사의 크기, 길이의 비율이 맞도록 표현한다.
② 탄사의 부피감을 표현한다.(한 줄로 표현하면 안 된다.)
③ 탄사의 끝을 동글동글하거나 화살촉 모양으로 표현한다.
④ 4개의 탄사가 포자의 한 점에서 뻗어나옴을 알 수 있도록 표현한다.
① 포자
② 탄사
5. 고사리 - 전체외형
특징
① 근경으로부터 아래로는 헛뿌리, 위로는 잎자루가 뻗어나오고 있다.
② 잎자루에 털이 있다.
③ 잎이 복엽으로 난다.
④ 소엽은 윗 부분일수록 크기가 작아진다.
⑤ 잎의 뒷면에 포자낭군이 있다.
⑥ 포자낭군은 2열로 배열되어 있다.
⑦ 잎은 녹색이다.
⑧ 포자낭군은 갈색이다.
⑨ 소엽은 여러 개의 우편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림은 뒷장)
명칭
① 헛뿌리
② 근경(뿌리줄기)
③ 잎자루
④ 소엽
⑤ 우편
⑥ 포자낭군
그림
6. 고사리 - 포자낭군
그림
특징
① 포자낭군에는 포막이 있다.
② 찢어진 포막 주위에는 많은 포자낭들이 드러나 보인다.
명칭
① 포막
② 포자낭
③ 환대
7. 고사리 - 포자낭
그림
특징
① 터져서 포자를 분출한 포자낭은 주머니의 가운데가 갈라져 있다.
② 환대는 갈색이다.
③ 환대는 줄무늬가 보인다.
④ 포자낭에는 포자낭병이 있다.
그림에서 유의해야 할 점
명칭
① 환대에서 줄무늬로 보이는 부분을 뚜렷히 표현한다.
② 포자낭에서 주머니를 구성하는 세포를 뚜렷히 표현한다.
③ 포자낭병을 표현한다.
④ 포자낭병의 세포를 뚜렷히 표현한다.
① 환대
② 포자낭병
8. 고사리 - 포자
그림
특징
① 포자는 검은색이다.
② 포자는 구형이다.
그림에서 유의해야 할 점
① 포자를 검은색으로 표현한다.
② 포자 한 개를 구형으로 표현한다.(단, 여러 개의 포자가 뭉쳐있을 경우, 특징 란에서 ‘포자가 여러 개 뭉쳐있다.’는 언급이 있으면 옳은 표현으로 인정한다.)
9. 고사리 - 전엽체
1단계 - 포자
8. 고사리 - 포자 항목으로 대체
2단계 - 전엽체 발생 초기 (포자접종 : 2005년 3월 25일)
① 전엽체의 색은 투명하고 연한 연두색이다.
② 세포의 수는 셀 수 있을 만큼 적다.
③ 세포들은 일렬 혹은 2열로 배열되어 있다.
④ 헛뿌리가 1~3개 있다.
⑤ 헛뿌리는 투명하다.
⑥ 세포의 크기는 포자껍질에 가까울수록 크다.
♠ 관찰일자 : 2005년 4월 13일
3단계 - 전엽체 발생 중기 (포자접종 : 2005년 3월 18일)
① 전엽체의 색은 2단계 전엽체보다 좀 더 짙은 연두색이다.
② 세포의 수는 2단계 전엽체에 비해 셀 수 없을 만큼 많아졌다.
③ 세포들은 하트모양 혹은 두 갈래로 갈라진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다.
④ 헛뿌리가 2단계 전엽체에 비해 좀 더 길어지고 많아졌다.
⑤ 헛뿌리는 투명하다.
⑥ 세포의 크기는 세포분열을 많이 하여 2단계 전엽체에 비해 더 작다.
♠ 관찰일자 : 2005년 4월 13일
생물보고서 양식
① 관찰대상의 제목을 쓴다.
② 현미경의 종류를 쓴다.(현미경을 사용하지 않고 관찰했을 시에는 ‘육안’이라 쓴다.)
③ 배율을 기록한다. (예: 10×40 = 400X, 접안렌즈의 배율을 먼저 쓴다.)
④ 생물 현미경으로 관찰할 경우, 원으로 경계를 나타낸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11.28
  • 저작시기200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89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