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A. 상허의 생애
1. 상허의 어린 시절(1900. 2. 17 ~ 1912. 10. 20)
2. 상허의 독립운동 생활(1912. 10. 21 ~ 1921. 2.)
3. 상허의 학창생활(1921. 4. ~ 1928. 4)
4. 상허의 사회생활 (1928. 4 ~ 1972. 1. 1)
B. 상허 사상의 체계
1. 성
2. 신
3. 의
※ 상허 유석창 박사 주요연보
1. 상허의 어린 시절(1900. 2. 17 ~ 1912. 10. 20)
2. 상허의 독립운동 생활(1912. 10. 21 ~ 1921. 2.)
3. 상허의 학창생활(1921. 4. ~ 1928. 4)
4. 상허의 사회생활 (1928. 4 ~ 1972. 1. 1)
B. 상허 사상의 체계
1. 성
2. 신
3. 의
※ 상허 유석창 박사 주요연보
본문내용
회 해체
1945. : 해방 / 한국국민당 창당발기인에 참여 / 의학박사 학위 취득 / <건국의숙>설립
1946. : 조선정치학관 설립(학관장 취임)
1947. : 서울시로부터 조선정치학관 인가
1948. : 문교부로부터 조선정치학원 인가
1949. : <정치대학>으로 개편 설립, 재단 이사장에 취임
1950. : <정치대학> 학장 취임 / 전쟁 발발로 학교 임시 휴교조치
1951. : 수원으로 피난 / 모친 별세(92세) / 부산에서 전시 임시대학교로 개교
1953. : 서울로 환도하여 <정치대학> 재개교
1954. : 장안동 캠퍼스(현 서울캠퍼스) 부지 매입 및 캠퍼스 건설작업 시작
1959. : 종합대학인 <건국대학교> 설립인가 / 초대 총장에 취임
1961. : 총장직 사임 / 재단 이사장에 취임
1962. : 명예법학박사 학위 받음(건국대학교) / 국가공익포상 수상 / 건국학술연구원장
1963. : 전국농업기술자협회 창립총회에서 회장에 추대, 농촌운동에 전념하기 시작
1964. : 재건국민운동 향토개발위원장에 피선 / 전국농업기술자협회 총재에 취임
1966. : 전국 각 시도별로 농업기술자 대회 개최
1967. : 「한국농업의 미래상」,「조용한 혁명」 등 저술, 출간
1971. : 매년 개최한 전국농업기술자대회의 제12회 대회를 투병 중에도 개최, 참석
1972. : 1월1일 서거 /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모란장 추시, 1월7일 사회장으로 장례
1985. : 근대사학 백주년기념으로 선정된 사학설립자 12인 중 한분으로 추존
1987. : 근대교육사상가 30인 중 한분으로 선정
1945. : 해방 / 한국국민당 창당발기인에 참여 / 의학박사 학위 취득 / <건국의숙>설립
1946. : 조선정치학관 설립(학관장 취임)
1947. : 서울시로부터 조선정치학관 인가
1948. : 문교부로부터 조선정치학원 인가
1949. : <정치대학>으로 개편 설립, 재단 이사장에 취임
1950. : <정치대학> 학장 취임 / 전쟁 발발로 학교 임시 휴교조치
1951. : 수원으로 피난 / 모친 별세(92세) / 부산에서 전시 임시대학교로 개교
1953. : 서울로 환도하여 <정치대학> 재개교
1954. : 장안동 캠퍼스(현 서울캠퍼스) 부지 매입 및 캠퍼스 건설작업 시작
1959. : 종합대학인 <건국대학교> 설립인가 / 초대 총장에 취임
1961. : 총장직 사임 / 재단 이사장에 취임
1962. : 명예법학박사 학위 받음(건국대학교) / 국가공익포상 수상 / 건국학술연구원장
1963. : 전국농업기술자협회 창립총회에서 회장에 추대, 농촌운동에 전념하기 시작
1964. : 재건국민운동 향토개발위원장에 피선 / 전국농업기술자협회 총재에 취임
1966. : 전국 각 시도별로 농업기술자 대회 개최
1967. : 「한국농업의 미래상」,「조용한 혁명」 등 저술, 출간
1971. : 매년 개최한 전국농업기술자대회의 제12회 대회를 투병 중에도 개최, 참석
1972. : 1월1일 서거 /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모란장 추시, 1월7일 사회장으로 장례
1985. : 근대사학 백주년기념으로 선정된 사학설립자 12인 중 한분으로 추존
1987. : 근대교육사상가 30인 중 한분으로 선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