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집합행동에 대하여
1. 집합행동에 대한 사회학적 정리
(1) 집합행동의 정의
(2) 집합행동의 요소
(3) 집합행동의 유형
(4) 집합행동 이론
2. 집합행동의 사례 - 붉은악마
(1) 개념설명
(2) 조사결과 분석 및 결론
Ⅲ. 사이버 상에서의 집합행동
1. 사이버 공간의 속성
(1) 인터넷 이용자 인구의 증가
(2) 사이버 공간의 속성
2. 사이버 집합행동의 특성
3. 기존의 집합행동과의 차이점
(1) 제한된 단기간의 사회적 행위
(2) 애매한 정체와 사회적 경계
(3)약한 혹은 새롭게 발달한 사회규범
4. 사이버 집합행동의 발생원인
5. 사이버 집합행동의 사례와 이론의 적용
Ⅳ. 결론
Ⅱ. 집합행동에 대하여
1. 집합행동에 대한 사회학적 정리
(1) 집합행동의 정의
(2) 집합행동의 요소
(3) 집합행동의 유형
(4) 집합행동 이론
2. 집합행동의 사례 - 붉은악마
(1) 개념설명
(2) 조사결과 분석 및 결론
Ⅲ. 사이버 상에서의 집합행동
1. 사이버 공간의 속성
(1) 인터넷 이용자 인구의 증가
(2) 사이버 공간의 속성
2. 사이버 집합행동의 특성
3. 기존의 집합행동과의 차이점
(1) 제한된 단기간의 사회적 행위
(2) 애매한 정체와 사회적 경계
(3)약한 혹은 새롭게 발달한 사회규범
4. 사이버 집합행동의 발생원인
5. 사이버 집합행동의 사례와 이론의 적용
Ⅳ. 결론
본문내용
했고 이날 실제로 대규모 시위로 연결. 보름만에 10만여 명이 동참했다. 이런 활동은 메신저 이용자들의 온라인 상장달기 운동(검은 리본, 삼베표시), 미국 불매운동, 백악관 사이트 다운 시도등의 실제 행동으로 이어졌다
사례3) 김동성 선수의 오심사건으로 인한 사이버 시위
2002년 2월 21일 미국 유타 주 솔트레이크에서 열린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 결승전에서 김동성 선수가 오심으로 금메달을 뺏기자 사이버 공간에서 네티즌들이 분노.
이런 활동은 IOC(국제 올림픽 위원휘) 홈페이지를 폭탄 메일로 12시간 서버 다운을 시키기, 솔트레이크 공식 홈페이지와 미국 언론사 홈페이지를 집중적 포격하여 기능을 마비 시키는 것과 안티 오노 사이트 개설, 토론 등의 활동으로 번졌다.
상황의 분석) 위 사례들은 비슷한 의식을 가진 어떤 행위자들이 인터넷 상에서 모여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것은 아래 자료로 입증 될 수 있는 부분이다.
<수용자의 동질성에 따른 여론 확산 범위>
이 자료를 보면 수용자의 동질성에 따라 어떤 여론이 확산되는 범위가 나타나 있다. 사이버 공간에서는 대중매체에서보다 수용자들이 같은 의식을 공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여론의 확산이 더욱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미루어 보아 비슷한 의식을 가진 행위자들은 인터넷 상에서 모여서 여론을 수렴하고 집합행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현실에서보다 더욱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론의 적용) 위의 과정을 통해 이 것을 수렴이론으로 보면 이들은 유사한 뜻을 가진 이들의 활동으로 해석할 수가 있다. 이들은 온라인이라는 매체를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자신들의 의견을 명확히 설명하는데 유리하다. 오프라인으로 모여서 시위를 하는 것은 자신들의 의견을 전달하기가 어려운데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이용해서 의견들을 더 용이하게 표출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오프라인에서 결성된 ‘패거리 의식’이 그대로 온라인에 반영된, 혹은 옮겨진 형태로 볼 수가 있다. 이렇게 인터넷이라는 매체가 의견들을 더 다양하게 표출할 수 있게 해준 것은 사이버 시대의 긍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표출되는 내용들이 사회에 악영향을 끼친다면 이러한 악영향이 널리 퍼지는데서 오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Ⅳ. 결론
지금까지 집합행동과 사이버 집합행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대 사회는 개인주의가 팽배하는 사회로 모두가 인식하고 있지만 사람들은 인터넷에서 다시 뭉치고 있다. 패거리 문화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인터넷의 기술적 측면,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측면에 대해서 알아보았지만 이것만 가지고 다 설명될 수 있는 건 아니다. 앞서 말했듯, 사이버공간 상에서 역시 현실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 흔한 이야기로 한국 사회는 연줄망 사회다. 역사적 맥락에서 볼 때, 우리 사회는 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보다는 그가 속한 집단의 권력규모가 어떠하냐에 따라 사회적 위상이 결정되어 왔고, 독재와 봉건적 자본주의를 겪으며 그러한 경향은 더욱 심화되어왔다. 사회 곳곳에서는 학연과 지연과 혈연으로 연결된 연고주의가 아직도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또한 공적 영역은 사적 영역의 논리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이러한 공적영역의 박탈은 즉 실력이나 개인의 의지보다는 그가 속한 집단의 권력 규모, 사회적 영향력이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결정요인이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렇게 형성된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는 관념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 우리 생활 세계 곳곳에 깊게 침투해 있다. 이러한 현실의 관념이 사이버스페이스로 고스란히 옮겨지자 순화된 형태로는 '온라인으로 인맥을 만들어줍니다.', '온라인 동문회를 통해 우정을 확인하세요'라는 문구에 환호하는, 폭력적인 형태로는 '자, 우리 함께 뭉쳐 XX게시판을 박살냅시다.'에 동조하는 형태가 보이는 것이다.
인터넷은 오프라인 세계와 다른 여러 가지 특징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집합행동들의 양상이 나타나나 매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의식에 기반하고 있는 현실의 집행행동들과 유사한 면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사이버스페이스는 새로운 가치와 기존의 가치가 교차하고, 접목하고, 대립하는 역동적 공간이며, 이곳에서 형성되는 다양한 문화들은 그 다양성이란 측면 하나만으로도 화석화된 오프라인 패거리 문화를 희석시킬 여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인터넷은 오프라인이 가지고 있는(특히 한국사회가 가지고 있는) 학연 지연 등을 뛰어넘은 인간 관계가 형성 되는 곳이고 서로 동조하지만 그래도 상대적으로 현실보다는 비판적 사고를 잃지 않기 쉬우며 그러한 의견을 쉽게 드러낼 수 있는 공간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원화된 의견들이 공존할 수 있는 곳이 되는 것이다. 문화지체현상에 따른 사이버 상에서의 폭력성을 띠고 발생하는 집합행동들에 대해서 매체적 특성이 이러한 현상을 완화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Ⅴ.참고문헌
1) 석현호,이정환,김상욱, 사회학(서울:2004, 도서출판 그린)
2) 사이버문화연구소 저, 「Cyber is...」(서울:2001, 역사넷)
3) 윤영길, 2002월드컵 붉은악마의 거리응원 동기(서울:2004, 한국체육학회지43권 제4호)
4) 조동기 외, 사이버 공간에서의 여론형성과 집합행동(서울:2001, 정보통신정책연구원)
5) 이원태, 사이버공동체와 한국사회(서울:2003, 계간 사상 여름호)
*목차
Ⅰ. 서론
Ⅱ. 집합행동에 대하여
1. 집합행동에 대한 사회학적 정리
(1) 집합행동의 정의
(2) 집합행동의 요소
(3) 집합행동의 유형
(4) 집합행동 이론
2. 집합행동의 사례 - 붉은악마
(1) 개념설명
(2) 조사결과 분석 및 결론
Ⅲ. 사이버 상에서의 집합행동
1. 사이버 공간의 속성
(1) 인터넷 이용자 인구의 증가
(2) 사이버 공간의 속성
2. 사이버 집합행동의 특성
3. 기존의 집합행동과의 차이점
(1) 제한된 단기간의 사회적 행위
(2) 애매한 정체와 사회적 경계
(3)약한 혹은 새롭게 발달한 사회규범
4. 사이버 집합행동의 발생원인
5. 사이버 집합행동의 사례와 이론의 적용
Ⅳ. 결론
Ⅴ. 참고문헌
사례3) 김동성 선수의 오심사건으로 인한 사이버 시위
2002년 2월 21일 미국 유타 주 솔트레이크에서 열린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남자 1500m 결승전에서 김동성 선수가 오심으로 금메달을 뺏기자 사이버 공간에서 네티즌들이 분노.
이런 활동은 IOC(국제 올림픽 위원휘) 홈페이지를 폭탄 메일로 12시간 서버 다운을 시키기, 솔트레이크 공식 홈페이지와 미국 언론사 홈페이지를 집중적 포격하여 기능을 마비 시키는 것과 안티 오노 사이트 개설, 토론 등의 활동으로 번졌다.
상황의 분석) 위 사례들은 비슷한 의식을 가진 어떤 행위자들이 인터넷 상에서 모여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것은 아래 자료로 입증 될 수 있는 부분이다.
<수용자의 동질성에 따른 여론 확산 범위>
이 자료를 보면 수용자의 동질성에 따라 어떤 여론이 확산되는 범위가 나타나 있다. 사이버 공간에서는 대중매체에서보다 수용자들이 같은 의식을 공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여론의 확산이 더욱 빠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로 미루어 보아 비슷한 의식을 가진 행위자들은 인터넷 상에서 모여서 여론을 수렴하고 집합행동을 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현실에서보다 더욱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이론의 적용) 위의 과정을 통해 이 것을 수렴이론으로 보면 이들은 유사한 뜻을 가진 이들의 활동으로 해석할 수가 있다. 이들은 온라인이라는 매체를 통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자신들의 의견을 명확히 설명하는데 유리하다. 오프라인으로 모여서 시위를 하는 것은 자신들의 의견을 전달하기가 어려운데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이용해서 의견들을 더 용이하게 표출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오프라인에서 결성된 ‘패거리 의식’이 그대로 온라인에 반영된, 혹은 옮겨진 형태로 볼 수가 있다. 이렇게 인터넷이라는 매체가 의견들을 더 다양하게 표출할 수 있게 해준 것은 사이버 시대의 긍정적인 측면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표출되는 내용들이 사회에 악영향을 끼친다면 이러한 악영향이 널리 퍼지는데서 오는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Ⅳ. 결론
지금까지 집합행동과 사이버 집합행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현대 사회는 개인주의가 팽배하는 사회로 모두가 인식하고 있지만 사람들은 인터넷에서 다시 뭉치고 있다. 패거리 문화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인터넷의 기술적 측면, 컴퓨터 매개 커뮤니케이션 측면에 대해서 알아보았지만 이것만 가지고 다 설명될 수 있는 건 아니다. 앞서 말했듯, 사이버공간 상에서 역시 현실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 흔한 이야기로 한국 사회는 연줄망 사회다. 역사적 맥락에서 볼 때, 우리 사회는 개인의 자율성과 독립성보다는 그가 속한 집단의 권력규모가 어떠하냐에 따라 사회적 위상이 결정되어 왔고, 독재와 봉건적 자본주의를 겪으며 그러한 경향은 더욱 심화되어왔다. 사회 곳곳에서는 학연과 지연과 혈연으로 연결된 연고주의가 아직도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또한 공적 영역은 사적 영역의 논리에 의해 지배되고 있다. 이러한 공적영역의 박탈은 즉 실력이나 개인의 의지보다는 그가 속한 집단의 권력 규모, 사회적 영향력이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결정요인이 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렇게 형성된 '뭉치면 살고 흩어지면 죽는다'는 관념은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 우리 생활 세계 곳곳에 깊게 침투해 있다. 이러한 현실의 관념이 사이버스페이스로 고스란히 옮겨지자 순화된 형태로는 '온라인으로 인맥을 만들어줍니다.', '온라인 동문회를 통해 우정을 확인하세요'라는 문구에 환호하는, 폭력적인 형태로는 '자, 우리 함께 뭉쳐 XX게시판을 박살냅시다.'에 동조하는 형태가 보이는 것이다.
인터넷은 오프라인 세계와 다른 여러 가지 특징들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집합행동들의 양상이 나타나나 매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의식에 기반하고 있는 현실의 집행행동들과 유사한 면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사이버스페이스는 새로운 가치와 기존의 가치가 교차하고, 접목하고, 대립하는 역동적 공간이며, 이곳에서 형성되는 다양한 문화들은 그 다양성이란 측면 하나만으로도 화석화된 오프라인 패거리 문화를 희석시킬 여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인터넷은 오프라인이 가지고 있는(특히 한국사회가 가지고 있는) 학연 지연 등을 뛰어넘은 인간 관계가 형성 되는 곳이고 서로 동조하지만 그래도 상대적으로 현실보다는 비판적 사고를 잃지 않기 쉬우며 그러한 의견을 쉽게 드러낼 수 있는 공간이다. 그렇기 때문에 다원화된 의견들이 공존할 수 있는 곳이 되는 것이다. 문화지체현상에 따른 사이버 상에서의 폭력성을 띠고 발생하는 집합행동들에 대해서 매체적 특성이 이러한 현상을 완화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하겠다.
Ⅴ.참고문헌
1) 석현호,이정환,김상욱, 사회학(서울:2004, 도서출판 그린)
2) 사이버문화연구소 저, 「Cyber is...」(서울:2001, 역사넷)
3) 윤영길, 2002월드컵 붉은악마의 거리응원 동기(서울:2004, 한국체육학회지43권 제4호)
4) 조동기 외, 사이버 공간에서의 여론형성과 집합행동(서울:2001, 정보통신정책연구원)
5) 이원태, 사이버공동체와 한국사회(서울:2003, 계간 사상 여름호)
*목차
Ⅰ. 서론
Ⅱ. 집합행동에 대하여
1. 집합행동에 대한 사회학적 정리
(1) 집합행동의 정의
(2) 집합행동의 요소
(3) 집합행동의 유형
(4) 집합행동 이론
2. 집합행동의 사례 - 붉은악마
(1) 개념설명
(2) 조사결과 분석 및 결론
Ⅲ. 사이버 상에서의 집합행동
1. 사이버 공간의 속성
(1) 인터넷 이용자 인구의 증가
(2) 사이버 공간의 속성
2. 사이버 집합행동의 특성
3. 기존의 집합행동과의 차이점
(1) 제한된 단기간의 사회적 행위
(2) 애매한 정체와 사회적 경계
(3)약한 혹은 새롭게 발달한 사회규범
4. 사이버 집합행동의 발생원인
5. 사이버 집합행동의 사례와 이론의 적용
Ⅳ. 결론
Ⅴ. 참고문헌
키워드
추천자료
(인간행동과사회환경) 가족과 인간행동 발표 보고서
사이버공동체(가상공동체, 인터넷)의 특성과 필요성, 사이버공동체(가상공동체, 인터넷)의 배...
사이버교육(온라인교육, 인터넷교육)의 정의, 사이버교육(온라인교육, 인터넷교육)의 특성, ...
[전원주택][목조주택][독립주택][원룸주택][다가구주택][집합주택][태양열주택][친환경주택][...
자외선과 자외선 차단체품에 대한 인지도 및 차단제품에 대한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사이버비행] 사이버 비행의 개념, 특성(특징), 유형(형태)
[기업][기업 소비자주의][기업 선택][기업 인식][기업 브랜드인지][기업 소비자 구매행동][기...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과의 차이점 및 기능
[사회문제론]사이버일탈의 개념과 특성, 사이버일탈의 유형과 실태, 사이버일탈의 문제점과 ...
인간과심리 공통 ) 1.심리학心理學의 주요 이론 중 정신분석적 접근, 행동주의적 접근, 인본...
[상담심리학] 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지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 핵심...
[소비자행동] 소비행동의 논리적 배경, 합리적 소비자행동 및 비합리적 소비자행동, 합리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