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 동학과 갑오농민전쟁에 관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동학사상

2. 갑오농민전쟁의 배경
1) 개항 이후 미곡수출의 증대와 지주경영의 강화
2) 부세운영의 변화와 농민몰락의 심화
3) 향촌사회의 변동과 농민항쟁의 고양

3. 갑오농민전쟁 주요연표

본문내용

없지는 않았지만 농민봉기에 돌입했을 경우 대부분 이들이 지도자로 추대되고 있었다.
한편 농민층의 조직역량도 성장하였다. 부세운영에서 도결제가 도입되면서 동리민인들이 부세운영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었고, 이러한 문제들을 논의하는 장으로서 민회나 리회 등의 농민집회가 대부분의 향촌에는 존재하였다. 이 뿐만 아니라 촌계류의 생활공동체나 두레와 같은 노동공동체도 농민들이 일상적인 조직체로 기능하였던 것이다.
3. 갑오농민전쟁 주요연표
1892년
월일
중심지역
기타 지역들 및 주변사건들
10월
서인주 서병학 공주집회
11월
삼례집회
1893년
월일
중심지역
기타 지역들 및 주변사건들
2월
복합상소, 척왜양운동
전국각지에서 농민봉기 빈발
3월
삼남집회(보은,원평,밀양)
삼남지방 가뭄
11월
고부군수 조병갑에게 등소,사발통문 작성
11월 30일
조병갑 익산군수로 발령
1894년
월일
중심지역
기타 지역들 및 주변사건들
1월
고부군민 전주 감영에 등소
1월 9일
조병갑 고부에 재부임
1월 10일
고부에서 봉기-고부성 진격
1월 12일
말목장터로 진을 옮김
3월 3일
고부 농민군 기본세력 해산
최맹순 예천 소야에 설접 포교
3월 20일
무장에서 1차 기병,창의문 선포
3월 22일
고부성 재점령
백산으로 본진을 옮김, 호남창의대장소 설치 전봉준 대장으로 추대, 농민군 4대행동강령 선포
3월 29일
태인을 점령
1895년
월일
중심지역
기타 지역들 및 주변 사건들
1월 7일
전봉준 일본군에 의해 담야부로 압송
1월 10일
전라도 남해안의 농민군 강진병영 습격,점령
1월 11일
손화중 체포
1월 12일
영동 용산 장터에서 관군과 싸워 농민군 승리
1월 17일
북실(종곡)전투: 일본군과 상주유격병이 농민군 2천 6백여명 살육
1월 18일
정부 각 군현 민보군 해산령 내림
1월 20일
상주방어군(안동, 예천, 용궁, 개령, 남영군) 1000여명 집결
1월 24일
남영병 165명 감산, 영동, 보은 일대 파견
1월 29일
전봉준 손화중 김덕명 최경선
성두한 등의 농민군 지도자 교수형
- 참 고 문 헌 -
- 국사편찬위원회 / (한국사) 권 37 <서세동점과 문호개방> / 국사편찬위원회 / 2003
- 국사편찬위원회 / (한국사) 권 39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국사편찬위원회 / 2003
- 한우근 / 동학 농민 봉기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2000
- http://donghak.jeongeup.go.kr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2.06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07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