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주민 참여의 개념
Ⅱ. 주민 참여의 필요성
Ⅲ. 주민 참여의 기능
Ⅳ. 주민참여의 형태
Ⅴ. 주민참여의 한계
Ⅵ. 결론
□ 주민참여 사례
Ⅱ. 주민 참여의 필요성
Ⅲ. 주민 참여의 기능
Ⅳ. 주민참여의 형태
Ⅴ. 주민참여의 한계
Ⅵ. 결론
□ 주민참여 사례
본문내용
의 고질적 문제였던 시내버스체계와 교차로 교통신호체계를 대폭 개선을 통한 연간 1,200억 원 이상의 불필요한 비용 발생을 해소 시켰다. ▲지역 간 균형발전을 위해 읍면 지역을 집중 개발. ▲경남 테크노파크, 축구센터(FC). ▲청소년과학체험관 등 대형국책사업을 잇달아 유치하였다. ▲거리음악회와 야외공연, 서부문화스포츠센터 착공 등으로 시민의 삶의 질 향상에 힘쓴 결과, 교육과 과학, 문화가 공존하는 살기 좋은 도시경쟁력을 갖추게 되었다.
둘째, 살기 좋은 도시 만들기 사례를 살펴보면, 지방정부로는 전국 최초로『시민복지조례』제정이다. ▲소외계층 위주의 현행 복지정책을 개선, 일반회계 예산 중 20%를 복지예산으로 확보해 모든 시민이 공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췄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진행되는「시민복지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8대 분야, 91개 시책, 213개 실천과제를 내놓았다.
▲고령화 추세에 따라 노인복지 기반 강화를 위해 노인종합복지관 건립, 노인 일자리 마련, 경로당 운영 지원비 확대 그리고 임종서비스 강화 등 복지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장애우 복지시설 확충 및 심부름센터, 재활프로그램 운영 등으로 장애우를 위한 사회참여 기회를 늘리는 데도 앞장서고 있다. 2010년까지 복지예산을 26% 확보 계획이다.
▲WHO세계건강도시에 최초로 가입하여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초대의장 도시로 활동하고 있다.
▲환경올림픽인「2008년 람사 총회」개최지로 확정된 후, 12개 생태하천 복원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강변 여과수 양산체제에 돌입하는 등 쾌적한 생태환경 도시로써의 면모를 갖춰가고 있다.
셋째, 지역경쟁력 강화 사례를 살펴보면, 지역사업의 선진화 개발 사업을 골자로 국내 최초로 시행한 기업사랑 운동이다. 기존 기계 산업을 첨단기계 산업으로 고부가가치화 및 직접화 하여, IT, NT, BT, 부품소재 등 첨단업종으로 다변화해 창원시의 산업체질 자체를 선진화하고 있다.「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위해 도시 인프라 구축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통합지역을 자족형 전원도시로 개발하는 한편, 39사 이전과 도시디자인 프로젝트 추진, 공단지역 순환버스 투입 그리고 자기부상열차 도입 추진 등 고용창출 및 소득증대를 통해 시민과 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첨단산업도시로 변모해가고 있다. 수출 100억불 금자탑은 바로 이러한 기업사랑 운동으로 거둬들인 가시적인 결과라 할 수 있다.
둘째, 살기 좋은 도시 만들기 사례를 살펴보면, 지방정부로는 전국 최초로『시민복지조례』제정이다. ▲소외계층 위주의 현행 복지정책을 개선, 일반회계 예산 중 20%를 복지예산으로 확보해 모든 시민이 공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삶의 질 향상에 초점을 맞췄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진행되는「시민복지 5개년 계획」을 수립하여 8대 분야, 91개 시책, 213개 실천과제를 내놓았다.
▲고령화 추세에 따라 노인복지 기반 강화를 위해 노인종합복지관 건립, 노인 일자리 마련, 경로당 운영 지원비 확대 그리고 임종서비스 강화 등 복지 인프라를 구축하였다. 장애우 복지시설 확충 및 심부름센터, 재활프로그램 운영 등으로 장애우를 위한 사회참여 기회를 늘리는 데도 앞장서고 있다. 2010년까지 복지예산을 26% 확보 계획이다.
▲WHO세계건강도시에 최초로 가입하여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 초대의장 도시로 활동하고 있다.
▲환경올림픽인「2008년 람사 총회」개최지로 확정된 후, 12개 생태하천 복원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강변 여과수 양산체제에 돌입하는 등 쾌적한 생태환경 도시로써의 면모를 갖춰가고 있다.
셋째, 지역경쟁력 강화 사례를 살펴보면, 지역사업의 선진화 개발 사업을 골자로 국내 최초로 시행한 기업사랑 운동이다. 기존 기계 산업을 첨단기계 산업으로 고부가가치화 및 직접화 하여, IT, NT, BT, 부품소재 등 첨단업종으로 다변화해 창원시의 산업체질 자체를 선진화하고 있다.「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위해 도시 인프라 구축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통합지역을 자족형 전원도시로 개발하는 한편, 39사 이전과 도시디자인 프로젝트 추진, 공단지역 순환버스 투입 그리고 자기부상열차 도입 추진 등 고용창출 및 소득증대를 통해 시민과 기업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첨단산업도시로 변모해가고 있다. 수출 100억불 금자탑은 바로 이러한 기업사랑 운동으로 거둬들인 가시적인 결과라 할 수 있다.
추천자료
도시계획과정에서의 주민 참여의 한계와 확대방안
지방 자치의 주민 참여 활성 방안
주민 참여의 의의
지역주민 참여
[시청자참여프로그램][시청자참여방송]시청자참여프로그램의 개념, 시청자참여프로그램의 현...
[지방교육자치제도]지방교육자치제도의 의의, 지방교육자치제도의 기본 원리, 지방교육자치제...
주민생활서비스 통합의 필요성과 개념 및 범주, 주민생활서비스제공의 현실
청소년참여) 참여의 개념과 목적 및 참여동향의 특성, 아동과 청소년참여의 주요 동향
지방자치 - 주민행정 참여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하여 논하시오
주민자치센터 (주민 참여 제도)
참여복지(노무현 참여정부 복지정책)의 개념, 목적, 참여복지(노무현 참여정부 복지정책)의 ...
시민citizen참여의 이해 - 시민참여의 개념, 사회참여(자원결사제의 개념과 종류 및 기능), ...
주민 참여복지 실천을 통한 독거어르신 지역안전망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