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사회 계층에 따른 학력차
2. 학력주의가 나타난 배경
3. 바칼로레아
4. 고등교육의 이원화
1) 일반대학
2) 그랑제꼴
2. 학력주의가 나타난 배경
3. 바칼로레아
4. 고등교육의 이원화
1) 일반대학
2) 그랑제꼴
본문내용
S ECOLES ET INSTITUTS DE FORMATION A L'ADMINISTRATIVES)
④ 상경계 그랑제꼴(GRANDES ECOLES DE COMMERCE ET DE GESTIONS)
⑤ 엔지니어 그랑제꼴(GRANDES ECOLES D'INGENIEURS)
⑥ 농업, 식품산업 그랑제꼴(GRANDES ECOLES D'AGRICULTURE)
⑦ 사관학교(GRANDES ECOLES MILITAIRES)
⑧ 이외에 보자르(BEAUX-ARTS)나 아르데꼬(ARTS-DECO), 건축학교들도 그랑제꼴의 한 가지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랑제꼴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그랑제꼴의 시험은 어렵기로 정평이 나 있는 만큼 들어가기 매우 어렵지만 들어가기만 하면 매우 높은 수준의 교육과 확실한 직업 교육을 제공 받는다. 따라서 일반대학과 그랑제꼴 출신자들은 임금, 사회, 정치적 지위 등 이후의 사회 생활에서 일반대학 출신자들과 상당히 다른 대우를 받는다. 따라서 그랑제꼴을 나왔다는 것은 종종 예전의 귀족이 갖던 사회적 명예와 권위를 갖는 것으로까지 여겨지는데, 학력 중심사회인 프랑스에서는 학력이 개인의 사회적 지위 획득에 결정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은 능력만 있다면 그랑제꼴에 입학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그랑제꼴에 입학한다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직업적으로도 삶의 성공의 열쇠를 손에 장악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 그랑제꼴의 시스템은 우수한 엘리트들만 선발해 감으로써 자연히 일반대학의 지위를 낮추고 더구나 그랑제꼴을 나온 사람들끼리의 단결정신을 촉진하기까지 한다.
이러한 대학의 이원화는 많은 불평등을 양산하고 있고, 불평등성을 내재하고 있다. 대학예산만 보더라도 고등교육을 받는 학생 중 그랑제꼴 학생은 4%인데 반해 이들을 위해 사용되는 예산은 전체 고등교육 예산 중 30%를 차지한다. 이러한 예산의 차이는 교육의 질로 이어져 더 많은 불평등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또 그랑제꼴의 문이 형식적으로는 누구에게나 열려있다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점점 더 유복한 환경의 중산층 자녀들이 학생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점도 하나의 문제로 지적 된다. 일부 국립 특수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월급까지 주며 공부를 시키지만 사립학교의 경우 연간 수천, 수만 프랑의 학비(몇십, 몇백만원)가 소요되기도 하여 사회적으로 불리한 계층에게 그랑제꼴의 문은 더욱 더 좁아지게 한다는 것도 문제이다(일반적으로 프랑스 대학의 모든 학비는 무료).
④ 상경계 그랑제꼴(GRANDES ECOLES DE COMMERCE ET DE GESTIONS)
⑤ 엔지니어 그랑제꼴(GRANDES ECOLES D'INGENIEURS)
⑥ 농업, 식품산업 그랑제꼴(GRANDES ECOLES D'AGRICULTURE)
⑦ 사관학교(GRANDES ECOLES MILITAIRES)
⑧ 이외에 보자르(BEAUX-ARTS)나 아르데꼬(ARTS-DECO), 건축학교들도 그랑제꼴의 한 가지라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랑제꼴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가.
그랑제꼴의 시험은 어렵기로 정평이 나 있는 만큼 들어가기 매우 어렵지만 들어가기만 하면 매우 높은 수준의 교육과 확실한 직업 교육을 제공 받는다. 따라서 일반대학과 그랑제꼴 출신자들은 임금, 사회, 정치적 지위 등 이후의 사회 생활에서 일반대학 출신자들과 상당히 다른 대우를 받는다. 따라서 그랑제꼴을 나왔다는 것은 종종 예전의 귀족이 갖던 사회적 명예와 권위를 갖는 것으로까지 여겨지는데, 학력 중심사회인 프랑스에서는 학력이 개인의 사회적 지위 획득에 결정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생들은 능력만 있다면 그랑제꼴에 입학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그랑제꼴에 입학한다는 것은 사회적으로도 직업적으로도 삶의 성공의 열쇠를 손에 장악하는 것을 의미하고, 이 그랑제꼴의 시스템은 우수한 엘리트들만 선발해 감으로써 자연히 일반대학의 지위를 낮추고 더구나 그랑제꼴을 나온 사람들끼리의 단결정신을 촉진하기까지 한다.
이러한 대학의 이원화는 많은 불평등을 양산하고 있고, 불평등성을 내재하고 있다. 대학예산만 보더라도 고등교육을 받는 학생 중 그랑제꼴 학생은 4%인데 반해 이들을 위해 사용되는 예산은 전체 고등교육 예산 중 30%를 차지한다. 이러한 예산의 차이는 교육의 질로 이어져 더 많은 불평등을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또 그랑제꼴의 문이 형식적으로는 누구에게나 열려있다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점점 더 유복한 환경의 중산층 자녀들이 학생의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점도 하나의 문제로 지적 된다. 일부 국립 특수학교에서는 학생들에게 월급까지 주며 공부를 시키지만 사립학교의 경우 연간 수천, 수만 프랑의 학비(몇십, 몇백만원)가 소요되기도 하여 사회적으로 불리한 계층에게 그랑제꼴의 문은 더욱 더 좁아지게 한다는 것도 문제이다(일반적으로 프랑스 대학의 모든 학비는 무료).
추천자료
[오늘날의프랑스]프랑스어권 분석
덴마크의 법안의 실용성과 장단점을 연구하고 왜 프랑스에서는 이 법안이 통용될 수 없었는가...
[오늘날의프랑스] 프랑스어의 형성과정에 대하여
북한문학(북한의 문학), 독일문학(독일의 문학), 프랑스문학(프랑스의 문학), 영국문학(영국...
[대학개방][도서관개방][프랑스 싱가포르 대학개방 사례]대학개방의 필요성, 대학개방의 현황...
[고전주의 문학][프랑스문학][독일문학]고전주의 문학의 개념, 고전주의 문학의 특징, 고전주...
프랑스의 역사 & 기업문화 & 일반문화 [프랑스 절대왕정]
[위성방송, 미국 위성방송, 프랑스 위성방송, 영국 위성방송, 홍콩 위성방송, 말레이시아, 한...
[프랑스문화읽기 공통] A. 1968년 5월 사태에 대해 서술 [프랑스]
[오늘날의프랑스 A형] 프랑스에서의 이민자 문제를 설명하고, 이민자들과 관련된 사건 3가지...
(프랑스어와문화 A) 프랑스어권 아프리카에 대해 간략하게 서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