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지역주의 그 진단과 처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새로운 이론, 새로운 극복 전략들

지역주의의 원인

제1기: 잠재적 균열기(61~87년 6월 항쟁)

제2기: 지역주의의 전면화와 지역 할거체제(87년 대선~90년 3당 통합)

제3기: 지역 연합에 의한 지역 패권체제(90년 3당 통합~95년 자자체 선거)

제4기: 지역 패권체제의 해체와 재지역 할거체제화 (95년 지자체 선거~)

지역주의의 극복방안에 대한 주요쟁점

결 론

본문내용

지역주의의 원인
수출 주도형 산업화에 따른 호남의 낙후와 인사차별
직접적인 계기 내지 원인은 87년 대선을 통해 ‘지역주의의 정치화’가 본격화 됨.
제1기: 잠재적 균열기 (61~87년 6월 항쟁)
71년 대선에서 박정희와 김대중이 맞부딪치면
서 군사정권은 경상도 대통령론을 유포, 지역
주의적인 정치 전략이 공식적으로 처음 등장했
고, 이에 호남의 한이 김대중에게 응집되면서
지역적 균열이 부상하기 시작.
제2기: 지역주의의 전면화와 지역 할거체제 (87년 대선~90년 3당 통합
지역주의가 전면화한 것은 87년 대선, 특히
그 과정에서의 김영삼 전대통령과 김대중 전
대통령의 분열이다.
여기에 김종필 총리까지 가세하여 4개의 지역
당구조로 변화, 4개의 지역당체제는 88년 총
선에도 이어져 여소 야대 정국으로 나타남
제3기: 지역 연합에 의한 지역 패권체제 (90년 3당 통합~95년 자자체 선거)
4개의 지역당체제가 3당 통합에 의해
호남 대 비호남이라는 지역 패권체제로
변화한 시기.
제4기: 지역 패권체제의 해체와 재지역 할거체제화 (95년 지자체 선거~)
김종필이 탈당하여 유신세력과 5∙6공 세력의
일부를 규합, 자민련을 창당하고 김대중 대통
령이 정계에 복귀하여 지자체 선거에서 승리,
지역 패권체제를 깬 것을 계기로 해서 현재에
이르는 시기
지역주의의 극복방안에 대한 주요쟁점
국가∙정치사회인가? 시민사회인가?
역(逆)지역 연합? 지역주의 해체?
소선거구제인가? 중선거구제인가?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12.16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4424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