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물질의학과 기의학
2) 기와 물질의 관계
3) 기의학의 장점
4) 기의학에서 심신의학으로
5) 의학철학의 발달로 제도문제 해결
2) 기와 물질의 관계
3) 기의학의 장점
4) 기의학에서 심신의학으로
5) 의학철학의 발달로 제도문제 해결
본문내용
만이 아니라 TV, 신문, 잡지들도 이들 내용을 다루어 보도하기가 어렵게 된다.
현금(現今)은 이러한 어려운 문제들이 많지만 앞으로 정신문화(精神文化)가 좀 더 발전하여 질병(疾病)에 대한 이해(理解)가 깊어지고 의학의 기본(基本)을 이루고 있는 철학(哲學)이 바뀌고 그 이론이 바뀌어야 한다. 그런데 현대는 정보통신이 매우 발달하고 있는 때이므로 이러한 문제가 좀 더 빨리 해결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5) 의학철학의 발달로 제도문제 해결
지금 우리나라는 한양방(韓洋方) 이원(二元)체계 의료제도가 실시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이 두 제도를 일원화(一元化)하기를 바라고 있다.
실정을 깊이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병은 하나인데 왜 제도가 둘이어야 하느냐 ? 또는 한의사와 양의사가 이권다툼 때문에 통합되지 않는 것이 아니냐? 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너무나 그 실정을 모르고 하는 소리이다. 모든 학문은 반드시 기본 이론이 있어야 하고 또 그 이론(理論)은 철학(哲學)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동서(東西)의 의학(醫學)은 각기 서로 다른 이론과 철학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어떻게 갑자기 두 의학(醫學)을 하나로 통합한단 말인가 ?
그럼 이 두 의학(醫學)은 영원히 통합될 수 없단 말인가 ? 그렇지는 않을 것 같다. 지금 동서의 철학(哲學)이 서로를 좀 더 이해해가고 있으며, 동서(東西)의 의학(醫學)도 좀 더 서로를 이해하고 있는 것 같다.
서양의학은 지금까지 기(氣)의 존재를 부인하였으나 점차 그 존재를 인정하고 있으며, 계속 분석적인 개념에서 종합적인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반대로 동양에서도 서양의 분석적이고 물질적인 개념을 충분히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 질병의 접근에 있어 어느 한쪽으로만 치우쳐 접근하지 않고 다방면에서 접근이 가능해지며 치료에 있어서도 그 방법이 다양해 질 것이다. 즉 물질(物質)을 이용하는 치료법에서 기(氣), 정신(精神)을 이용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모두 동원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금(現今) 의학계는 기초이론이나 임상의학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지만, 의학의 기본이론과 그 철학에 대한 연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기본에 대한 연구가 선행된다면 자연 질병을 바라보는 시각이 통일되고 의학철학이 정립되어 자연 동서의학(東西醫學)의 이론적(理論的) 차별도 없어져 하나의 보다 나은 의료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박찬국 저 [한의학 특강]
현금(現今)은 이러한 어려운 문제들이 많지만 앞으로 정신문화(精神文化)가 좀 더 발전하여 질병(疾病)에 대한 이해(理解)가 깊어지고 의학의 기본(基本)을 이루고 있는 철학(哲學)이 바뀌고 그 이론이 바뀌어야 한다. 그런데 현대는 정보통신이 매우 발달하고 있는 때이므로 이러한 문제가 좀 더 빨리 해결될 수 있을 지도 모른다.
5) 의학철학의 발달로 제도문제 해결
지금 우리나라는 한양방(韓洋方) 이원(二元)체계 의료제도가 실시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이 이 두 제도를 일원화(一元化)하기를 바라고 있다.
실정을 깊이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병은 하나인데 왜 제도가 둘이어야 하느냐 ? 또는 한의사와 양의사가 이권다툼 때문에 통합되지 않는 것이 아니냐? 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는 너무나 그 실정을 모르고 하는 소리이다. 모든 학문은 반드시 기본 이론이 있어야 하고 또 그 이론(理論)은 철학(哲學)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동서(東西)의 의학(醫學)은 각기 서로 다른 이론과 철학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어떻게 갑자기 두 의학(醫學)을 하나로 통합한단 말인가 ?
그럼 이 두 의학(醫學)은 영원히 통합될 수 없단 말인가 ? 그렇지는 않을 것 같다. 지금 동서의 철학(哲學)이 서로를 좀 더 이해해가고 있으며, 동서(東西)의 의학(醫學)도 좀 더 서로를 이해하고 있는 것 같다.
서양의학은 지금까지 기(氣)의 존재를 부인하였으나 점차 그 존재를 인정하고 있으며, 계속 분석적인 개념에서 종합적인 개념을 도입하고 있다. 반대로 동양에서도 서양의 분석적이고 물질적인 개념을 충분히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 질병의 접근에 있어 어느 한쪽으로만 치우쳐 접근하지 않고 다방면에서 접근이 가능해지며 치료에 있어서도 그 방법이 다양해 질 것이다. 즉 물질(物質)을 이용하는 치료법에서 기(氣), 정신(精神)을 이용하는 여러 가지 방법이 모두 동원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금(現今) 의학계는 기초이론이나 임상의학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지만, 의학의 기본이론과 그 철학에 대한 연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기본에 대한 연구가 선행된다면 자연 질병을 바라보는 시각이 통일되고 의학철학이 정립되어 자연 동서의학(東西醫學)의 이론적(理論的) 차별도 없어져 하나의 보다 나은 의료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 박찬국 저 [한의학 특강]
추천자료
대체의학의 정의와 범주
의학입문상한근척육순 계종 전률 회궐 호혹 상한잡병 원문 및 해석
의학입문발반 온독 시독 여광 발광 흉광 상한잡병 원문 및 해석
의학입문상한변증 다면 불면 음증 음궐 양궐 훈궐 장궐 음독 양독 양성거음 음성거양 취증불취
의학입문 상한편의 오장사망징후 순의모상 요두직시 구장목함 유뇨 실음 부인상한 산전산후
의학입문 翕翕發熱흡흡발열 번조 자한식은땀 원문 및 해석 영어해석
노인의학의 실태와 문제점 및 개선 방안(A+발표)
노인의학의 실태와 문제점및 개선방안(A+)
미래의학
노인의학의 정의, 최근동향, 문제점 및 개선방안과 전망에 대해 논하시오.
재활의학입문
대체의학-카이로프랙틱
재활의학과case
의학의 발달과 다양성 & 인터넷 발달과 사회의 다양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