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문화적 세계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인도의 음식산업과 세계적인 음식 대기업의 진출에 대한 반응

2. 국제적인 추종자를 거느리고 있는 ‘사이바바’라는 신적 존재와 관련된 종교적.사회적 현상

3. 인도의 실리콘 밸리

본문내용

T 수출이 예상되고 있으며, 총 시규
모는 700억~80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인도에서는 IT 인력난이 심각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IT아웃소싱의
거점을 인도 이외의 지역으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어 안정적인 성장세
에 변수가 되고 있다. 또한 인도 내부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한 정보화 격차가 심화되고 있으며, 국가의 정보화 수준이 매우 낮아 안정적인 성장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인도 IT 서비스 산업은 Infosys Technologies, Wipro, Tata Consultancy Service
등과 같은 기업들이 고객지원, 물류, 회계 등 기업의 업무 처리 공정을 전산화해 외
부에 맡기는 BPO 아웃소싱을 통해 크게 성장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기업들은 향
후에도 높은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으며 IT 시장의 중요한 한 축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8월 전략컨설팅 회사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은 새롭게 글로벌 기업으로 부
상하고 있는 고성장 개발도상국(RDE)3)의 100대 기업을 선정, 발표했다. 인도 기업으로는 Wipro, Tata Consultancy Service, Satyam Computer Service, Infosys Technologies가 포함돼 IT시장에서의 차지하고 있는 인도 기업의 높은 위상을 잘 보여주고 있다.
⑵ 인도 IT산업의 당면과제
① 사회기반시설의 부족
인도 IT산업이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그 규모 및 발전 속도에 비해 전력, 통신, 도로 등의 사회기반시설은 상대적으로 매우 열악한 취약점을 가지고 있다. 또
한 인터넷 이용자, 이동전화 가입자,PC/노트북 보급률 또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IT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국가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기반시설의 부족과 낮은 정보화 지수 통계로 인해 인도는 지역ㆍ계층간 정보격차가 심화되고 있다. 이는 넓은 영토와 대규모 인구뿐만 아니라 인종, 종교, 문화 등 복합적 요인이 작용하고 있어 장기적인 대책 마련이 시습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② IT 인력 부족의 심화
인도는 아웃소싱 거점으로 부각되면서 글로벌 IT기업들의 인도 진출이 증가하고 아
웃소싱 비즈니스의 확대, 인도 내수 IT시장의 성장 등으로 인력 부족이 심각해지고
있다. 현재 인도에서는 인도 IT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자국 IT서비스 기업 외에 글로벌아웃소싱 기업과 IT기업들이 앞 다퉈 진출하고 있어 인력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더군다나 최근 들어 내수 시장이 성장하면서 인도 로컬 서비스 업체의 인력수요도 증가하고 있어 인력난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인력 부족 현상은 상대적으로 저렴했던 인도 IT 인력의 임금 상승을 가져오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일부 글로벌 기업들은 인도의 소도시로 이동하거나 인도 이외의 아웃소싱 거점으로의 이주하는 등 연쇄 반응을 불러오고 있다. 인도의 숙련된 IT 인력의 부족은 그동안의 성장세를 저해할 심각한 위협요소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인도 최대 IT 기업인 TCS의 경우 치열한 인력 쟁탈전의 여파로 지난해 10~12월사이 직원의 이직율이 전년 동시 8.7%에서 10.8%로 상승했다. 이런 상황에서 인도정부 관계자는 지난해 6월 인도 IT업계는 2009년까지 약 100만 명의 신규 인력수요가 있을 것으로 보이지만, 26만 2,000명의 인력 부족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현 인도 IT 시장은 내수 시장의 성장으로 내수와 수출이 균형을 잡아가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으며, 가장 큰 장점인SW 및 서비스 품질 경쟁력 역시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최근 급격하게 악화되고 있는 IT인력 수급의 불균형 문제가 인도 IT의 성장세를 근본적으로 흔들 수 있는 사안으로 평가되며, 효과적인 대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인도를 성장시켜왔던 IT아웃소싱의 거점이 중국, 동유럽 등 신흥 국가로 빠르게 이동하는 모습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
우리는 인도의 음식사업과 모든 종교를 통합한다는 인도의 사이바바교, 그리고 인도의 실리콘벨리와 그에 따른 인도가 세계화시장에 진출 사례등을 조사함으로써 인도가 문화적 기반에는 이른바 ‘문화적 발산자’로서의 자원이 풍부하다는 사실을 확인 했다 문화는 그 나라의 경제력과 무관하게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그러나 발산하는 국가가 인도처럼 가난한 저개발국 이라면 중개자가 문화적 발산에 가담한다. 그러나 어느 정도 경제적 안정에 이르면 중재자는 더 이상 필요 없어지고 발산국은 문화 발산국 으로서의 자의식을 획득한다. 이 자의식은 대개 서계적이고 현대적인 것을 전통적이고 지방적인 것과 통합함으로써 문화적 개념과 제도를 재구성 한다. 현재의 세계화 이론에서는 미국을 가장 중요한 문화 발산국 으로 보고 그 주변에 수용 국가들이 포진한 것으로 보지만, 그러나 우리는 인도 같이 개발도상국이면서도 점차 세계화에 진입함으로서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는 나라와 문화적 발산국의 위치에 있는 나라들을 조사하는 것도 세계화 논의에 필수적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문화적 발산자나 발산국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야 한다. 국제적 힘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발산국의 정치력, 경제력, 노동력, 기술력, 현재의 미학적 기준, 발산국의 문화자원이 그것이다.
※참고자료
IT수출정보데이터베이스, 인도 현황
한국정책TV - KTV :인도의 실리콘 벨리
매일경제 뉴스 - http://news.mk.co.kr/newsRead.php?sc
http://www.gate4india.com/news/viewform.html?seq=849&page=4&k....
http://giikorea.co.kr/korean/id13422_indian_china.html
http://www.youngki.org/technote/read.cgi?board=FREE_BOARD&y_n....
http://www.dt.co.kr/print.html?gisaid=20020214DT13332671119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
  • 가격1,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12.21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38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