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LMP(Last Menstural Period; 최종월경일)
2. EDC(Expected Date of Confinement; 분만예정일)
3. Gestation(재태연령)
4. Labor onset(진통시작)
5. Membrane Rupture(양막파열)
6. Parity(산과력)
7. Presentation(선진부)
8. FHR(Fetal Heart Rate; 태아심음)
9. Pitocin(Oxytocin)
10. Dila.(Dilatation; 개대)
11. Effa.(Effacement; 거상)
12. Stat.(Station; 하강도)
13. Memb.(Membrane; 양막)
14. Cont.(Contraction; 자궁수축)
2. EDC(Expected Date of Confinement; 분만예정일)
3. Gestation(재태연령)
4. Labor onset(진통시작)
5. Membrane Rupture(양막파열)
6. Parity(산과력)
7. Presentation(선진부)
8. FHR(Fetal Heart Rate; 태아심음)
9. Pitocin(Oxytocin)
10. Dila.(Dilatation; 개대)
11. Effa.(Effacement; 거상)
12. Stat.(Station; 하강도)
13. Memb.(Membrane; 양막)
14. Cont.(Contraction; 자궁수축)
본문내용
로 윤이 난다. 막이 파열되는 곳은 대개 윗부분이며, 보통 태반이 착상되는 부위를 결정할 수 있다. 가끔 막들이 비정상적으로 붙기도 하는데 특히 자궁저부에서 잘 일어난다. 모든 막은 분만시 배출된다. 양막은 양수를 지지할 뿐 아니라 양수를 생산하고, 인지질(phospholipid)을 생산하여 자궁수축을 야기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을 형성한다. 분만진행기록지에서 Memb.은 파막여부를 체크한다.
14. Cont.(Contraction; 자궁수축)
- Inte.(Interval; 간격) : 수축의 시작부터 다음의 시작까지를 말한다. 수축과 수축사이를 휴식기라 하고, 분만이 진전됨에 따라 수축의 간격은 좁아지는데 처음에는 10분 간격으로 있다가 태아를 만출시키는 분만 2기에는 2~3분 간격으로 온다.
- Dura.(Duration; 기간) : 수축이 시작되어 사라지기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처음에는 30초 정도이나 경부가 전 개대시에는 60~90초까지 이른다. 태아가 만출될 때까지 계속 60초 정도의 기간을 유지한다.
- Inten.(Intensity; 강도) : 수축의 강도는 mmHg로 측정된다. 정상적인 수축시 압력은 20~75mmHg이고 평균 60mmHg이다.
14. Cont.(Contraction; 자궁수축)
- Inte.(Interval; 간격) : 수축의 시작부터 다음의 시작까지를 말한다. 수축과 수축사이를 휴식기라 하고, 분만이 진전됨에 따라 수축의 간격은 좁아지는데 처음에는 10분 간격으로 있다가 태아를 만출시키는 분만 2기에는 2~3분 간격으로 온다.
- Dura.(Duration; 기간) : 수축이 시작되어 사라지기까지의 시간을 말한다. 처음에는 30초 정도이나 경부가 전 개대시에는 60~90초까지 이른다. 태아가 만출될 때까지 계속 60초 정도의 기간을 유지한다.
- Inten.(Intensity; 강도) : 수축의 강도는 mmHg로 측정된다. 정상적인 수축시 압력은 20~75mmHg이고 평균 60mmHg이다.
추천자료
Intracerebral hemorrhage(뇌내출혈)환자에 대한 간호사례 연구
위암에 대한 사례연구
간경화, 간성혼수의 사례연구
급성담낭염에 대한 사례연구
중풍에대한 사례보고서
상부위장관출혈 대상자 케이스 스터디
심근경색 case
[간호학]케이스 내과 백혈병(ALL)
분만실 - 자연분만 case
MCA infarction
상부위장관 출혈(진)
아동 Pneumonia(폐렴) 케이스
[아동간호학][Diarrhea][Rotavirus][신생아설사][로타바이러스]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아동간호학][Diarrhea][Rotavirus][신생아설사][로타바이러스]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