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1. 선택동기
II. 본론
1. 심근경색의 정의.
2. 관상동맥의 해부학적 구조.
3. 심근경색의 원인
4. 심근경색의 위험요인
5. 심근경색의 분류
6. 심근경색의 병태생리
7. 심근경색의 증상
8. 심근경색의 진단
9. 심근경색의 치료
10. 심근경색의 간호문제
III 간호력
1. 진단검사
2. midication
3. 경과기록
4. 간호과정
IV. 실습소감
𐐜참고문헌.
1. 선택동기
II. 본론
1. 심근경색의 정의.
2. 관상동맥의 해부학적 구조.
3. 심근경색의 원인
4. 심근경색의 위험요인
5. 심근경색의 분류
6. 심근경색의 병태생리
7. 심근경색의 증상
8. 심근경색의 진단
9. 심근경색의 치료
10. 심근경색의 간호문제
III 간호력
1. 진단검사
2. midication
3. 경과기록
4. 간호과정
IV. 실습소감
𐐜참고문헌.
본문내용
155/84 76 22 20:00 134/76 70 21
20:35 137/76 68 23 21:00 137/73 70 21
21:35 140/78 74 24
로 측정했으며 환자의 처음 V/S에서 열이 없었기에 측정하지 않았다. 고혈압이 있지만 본원에 있는동안 혈압약을 드시지 않고서도 혈압이 조금 높게 측정됐을뿐, 혈압이 그리 높으시지는 않으셨고, 또한 심근경색인데도 불구하고 본원을 방문하고 침상에 누워계시는 동안은 흉통이 심하지 않으셨던 분이라 맥박과 호흡이 고르셨다.
4. 간호과정
chest comfort (03월13일 19시25분경)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가슴이 그리 아픈건 아닌데 답답하니 불편하네”
객관적 자료: V/S: 155/84 76 22 36.8
O2 SAT : 97%
대상자가 얼굴을 찌푸림
작은 목소리로 말하고 가슴을 움츠리고 계심
간호진단 - 산소공급량과 요구량의 불균형과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단기목표 ; chest pain 과 chest comfort가 사라진다.
장기목표 : 대상자가 chest comfort가 사라지고 긴장이 완화되어 편안한 자세를 취한다.
간호계획
1. V/S를 1시간 마다 측정한다.
2. 필요시 O2를 nasal로 2L 공급한다.
3. 대상자가 편안하게 쉬실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한다.
4. Folwler 체위를 취하도록 한다.
5. 동통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시 활동을 제한하도록 한다.
6. IV를 유지한다.
간호중재
1. V/S를 1시간 마다 측정했다.
(학생간호사- ‘내 혈압이 아직도 많이 높아?‘하고 많이 물어오셨다)
19:25 155/84 76 22 20:00 134/76 70 21
20:35 137/76 68 23 21:00 137/73 70 21
21:35 140/78 74 24
2. O2를 nasal로 2L 공급했다.
(학생간호사 - 대상자는 ‘이거 끼니까 한결 낳은거 같네’라고 말씀하셨다)
3. 대상자가 편안하게 쉬실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 드리지 못했다.
(응급실의 특성상 많은 환자들과 보호자들이 오므로 조용한 환경을 조성해 드리지는 못 했다.
4. Folwler 체위를 취하도록 해드렸다.
(학생간호사 - Bed위 머리부분을 올려서 대상자가 편안하게 숨쉬도록 해드렸다)
5. 동통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시 활동을 제한하도록 한다.
(대상자는 밖에 나가시려고 하시지 않았다.)
6. IV를 유지한다
( 학생간호사는 IV가 빠지나 안빠지나 관찰하였다)
간호평가
산소를 투입 하므로써 대상자는 처음보다 chest comfort가 사라졌다고 했고,
얼굴을 찡그리시지 않고 편안하게 bed에 누워계셨다.
.
Anxiety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급사할수도 있다고 그럼 죽는병이여?”
“ 치료 잘 받아도 어떻게 될지 모르니까...”
객관적 자료 : 표정이 어두워 지심.
심근경색에 대해서 물어보심
간호진단- 죽음에 대해 관련된 불안함
간호목표
단기목표: 심리적인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장기목표: 표정에서 불안감이 사라지고, 침상에서 안정을 취하신다.
간호계획
1. V/S을 1시간 마다 측정한다.
2. 대상자를 안심시키도록 한다.
3. 불안감이 사라지도록 편안한 환경을 조성한다.
4. 대상자의 불안감이 사라지도록 보호자가 옆에서 지지해준다.
5. 대상자에게 심근경색에 대해 설명한다
간호수행
1. V/S을 1시간 마다 측정했다.
(학생간호사- ‘내 혈압이 아직도 많이 높아?‘하고 많이 물어오셨다)
19:25 155/84 76 22 20:00 134/76 70 21
20:35 137/76 68 23 21:00 137/73 70 21
21:35 140/78 74 24
2. 대상자를 안심시키도록 했다
(종종 대상자에게 가서 손을 잡아드리고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해서 대상자의 마음이 편해지 도록 유도했다.)
3. 불안감이 사라지도록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지 못했다.
(응급실의 특성상 많은 환자들과 보호자들이 오므로 조용한 환경을 조성해 드리지는 못 했다.)
4. 대상자의 불안감이 사라지도록 보호자가 옆에서 지지해 줬다.
(보호자분께 화장실과 식사시간 외에는 환자분 옆에 계셔달라고 말씀드렸고, 대상자는 보호자를 보면서 이런저런 애기를 함으로써 정서적으로 안정을 취했다)
5. 대상자에게 심근경색에 대해 설명했다.
(대상자에게 심근경색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이해하게끔 설명해 드렸고 대상자는 심근경색에 대해서 이해하는듯해 보였다.)
간호평가
대상자가 조금의 불안감은 남아있었지만 처음 본원에 들어오실때 보다는 표정이 한결 여유로워 보였다.
.
Knowledge deficit
간호사정
주관적 사정: ‘내가 협심증은 아는데, 이병은 머여?그냥 협심증 아녀?’
“의사선생님이 심근경색이라고 했는데, 그병이 머에요?
객관적 사정 : 대상자가 질병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궁금해 하심
질병에 대해 물어보심
간호진단
심근경색에 대한 지식부족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가 질병에 대해서 아는 것을 말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가 질병에 대한 시술후 더욱더 관심을 가지고 재활치료 하는것을 말 한다.
간호계획
1. 대상자의 지식 수준을 사정한다
2. 심근경색에 대해서 교육한다.
3. 심근경색의 약물과 치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4. 대상자에게 심근경색의 합병증과 그 예방법을 설명한다
간호수행
1. 대상자의 지식 수준을 사정했다.
( 학생간호사 - 대상자에게 심근경색에 대해 아시냐고 물어보았고, 대상자는 ‘협심증의 하나가 아니냐’라고 말씀하셨다.)
2. 심근경색에 대해서 교육했다.
(학생간호사 - 대상자에게 심근경색에 대해서 설명하고 나서 대상자는 이해 하셨다는 듯 이 고개를 끄덕거렸다)
3. 심근경색의 약물과 치료에 대해서 설명하지 못했다.
(깊게 공부하지 못하여 심근경색의 약물과 치료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못하였다)
4. 대상자에게 심근경색의 합병증과 그 예방법을 설명하지 못했다
(심근경색의 합병증과 그 예방법에 대해서 알지 못하여 설명하지 못하였다)
간호평가
대상자가 심근경색에 질병에 대해서는 알게 되었지만 치료후 합병증과 예방법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였다.
문헌고찰
현문사 - 성인간호학 심근경색 부분
현문사 - 병리학
20:35 137/76 68 23 21:00 137/73 70 21
21:35 140/78 74 24
로 측정했으며 환자의 처음 V/S에서 열이 없었기에 측정하지 않았다. 고혈압이 있지만 본원에 있는동안 혈압약을 드시지 않고서도 혈압이 조금 높게 측정됐을뿐, 혈압이 그리 높으시지는 않으셨고, 또한 심근경색인데도 불구하고 본원을 방문하고 침상에 누워계시는 동안은 흉통이 심하지 않으셨던 분이라 맥박과 호흡이 고르셨다.
4. 간호과정
chest comfort (03월13일 19시25분경)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가슴이 그리 아픈건 아닌데 답답하니 불편하네”
객관적 자료: V/S: 155/84 76 22 36.8
O2 SAT : 97%
대상자가 얼굴을 찌푸림
작은 목소리로 말하고 가슴을 움츠리고 계심
간호진단 - 산소공급량과 요구량의 불균형과 관련된 통증
간호목표
단기목표 ; chest pain 과 chest comfort가 사라진다.
장기목표 : 대상자가 chest comfort가 사라지고 긴장이 완화되어 편안한 자세를 취한다.
간호계획
1. V/S를 1시간 마다 측정한다.
2. 필요시 O2를 nasal로 2L 공급한다.
3. 대상자가 편안하게 쉬실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한다.
4. Folwler 체위를 취하도록 한다.
5. 동통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시 활동을 제한하도록 한다.
6. IV를 유지한다.
간호중재
1. V/S를 1시간 마다 측정했다.
(학생간호사- ‘내 혈압이 아직도 많이 높아?‘하고 많이 물어오셨다)
19:25 155/84 76 22 20:00 134/76 70 21
20:35 137/76 68 23 21:00 137/73 70 21
21:35 140/78 74 24
2. O2를 nasal로 2L 공급했다.
(학생간호사 - 대상자는 ‘이거 끼니까 한결 낳은거 같네’라고 말씀하셨다)
3. 대상자가 편안하게 쉬실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 드리지 못했다.
(응급실의 특성상 많은 환자들과 보호자들이 오므로 조용한 환경을 조성해 드리지는 못 했다.
4. Folwler 체위를 취하도록 해드렸다.
(학생간호사 - Bed위 머리부분을 올려서 대상자가 편안하게 숨쉬도록 해드렸다)
5. 동통을 예방하기 위해 필요시 활동을 제한하도록 한다.
(대상자는 밖에 나가시려고 하시지 않았다.)
6. IV를 유지한다
( 학생간호사는 IV가 빠지나 안빠지나 관찰하였다)
간호평가
산소를 투입 하므로써 대상자는 처음보다 chest comfort가 사라졌다고 했고,
얼굴을 찡그리시지 않고 편안하게 bed에 누워계셨다.
.
Anxiety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 “급사할수도 있다고 그럼 죽는병이여?”
“ 치료 잘 받아도 어떻게 될지 모르니까...”
객관적 자료 : 표정이 어두워 지심.
심근경색에 대해서 물어보심
간호진단- 죽음에 대해 관련된 불안함
간호목표
단기목표: 심리적인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장기목표: 표정에서 불안감이 사라지고, 침상에서 안정을 취하신다.
간호계획
1. V/S을 1시간 마다 측정한다.
2. 대상자를 안심시키도록 한다.
3. 불안감이 사라지도록 편안한 환경을 조성한다.
4. 대상자의 불안감이 사라지도록 보호자가 옆에서 지지해준다.
5. 대상자에게 심근경색에 대해 설명한다
간호수행
1. V/S을 1시간 마다 측정했다.
(학생간호사- ‘내 혈압이 아직도 많이 높아?‘하고 많이 물어오셨다)
19:25 155/84 76 22 20:00 134/76 70 21
20:35 137/76 68 23 21:00 137/73 70 21
21:35 140/78 74 24
2. 대상자를 안심시키도록 했다
(종종 대상자에게 가서 손을 잡아드리고 여러 가지 이야기를 해서 대상자의 마음이 편해지 도록 유도했다.)
3. 불안감이 사라지도록 편안한 환경을 조성하지 못했다.
(응급실의 특성상 많은 환자들과 보호자들이 오므로 조용한 환경을 조성해 드리지는 못 했다.)
4. 대상자의 불안감이 사라지도록 보호자가 옆에서 지지해 줬다.
(보호자분께 화장실과 식사시간 외에는 환자분 옆에 계셔달라고 말씀드렸고, 대상자는 보호자를 보면서 이런저런 애기를 함으로써 정서적으로 안정을 취했다)
5. 대상자에게 심근경색에 대해 설명했다.
(대상자에게 심근경색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이해하게끔 설명해 드렸고 대상자는 심근경색에 대해서 이해하는듯해 보였다.)
간호평가
대상자가 조금의 불안감은 남아있었지만 처음 본원에 들어오실때 보다는 표정이 한결 여유로워 보였다.
.
Knowledge deficit
간호사정
주관적 사정: ‘내가 협심증은 아는데, 이병은 머여?그냥 협심증 아녀?’
“의사선생님이 심근경색이라고 했는데, 그병이 머에요?
객관적 사정 : 대상자가 질병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고 궁금해 하심
질병에 대해 물어보심
간호진단
심근경색에 대한 지식부족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가 질병에 대해서 아는 것을 말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가 질병에 대한 시술후 더욱더 관심을 가지고 재활치료 하는것을 말 한다.
간호계획
1. 대상자의 지식 수준을 사정한다
2. 심근경색에 대해서 교육한다.
3. 심근경색의 약물과 치료에 대해서 설명한다.
4. 대상자에게 심근경색의 합병증과 그 예방법을 설명한다
간호수행
1. 대상자의 지식 수준을 사정했다.
( 학생간호사 - 대상자에게 심근경색에 대해 아시냐고 물어보았고, 대상자는 ‘협심증의 하나가 아니냐’라고 말씀하셨다.)
2. 심근경색에 대해서 교육했다.
(학생간호사 - 대상자에게 심근경색에 대해서 설명하고 나서 대상자는 이해 하셨다는 듯 이 고개를 끄덕거렸다)
3. 심근경색의 약물과 치료에 대해서 설명하지 못했다.
(깊게 공부하지 못하여 심근경색의 약물과 치료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못하였다)
4. 대상자에게 심근경색의 합병증과 그 예방법을 설명하지 못했다
(심근경색의 합병증과 그 예방법에 대해서 알지 못하여 설명하지 못하였다)
간호평가
대상자가 심근경색에 질병에 대해서는 알게 되었지만 치료후 합병증과 예방법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였다.
문헌고찰
현문사 - 성인간호학 심근경색 부분
현문사 - 병리학
추천자료
뇌졸증 case study
가와사키 아동 case study
cbr infarction case
PED CASE 소아과 케이스
성인간호학-유방암 case study
경막하출혈 CASE STUDY (응급실)
OS case Humerus shaft fracture
식도 정맥류 case study
만성신부전 case study 입니다.
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대동맥류 aortic aneurysm
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기흉 (pneumothorax)
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급성 췌장염 acute pancreatitis
[동서협진과 CASE] Locked-in syndrome을 주소로 하는 환자 1례
[동서협진과 CASE] 안면마비를 보인 뇌출혈 환자 1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