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로시오렘의 자가간호결핍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리적, 정신 사회적 상황이라고 설명되어있다. 발전적 상황은 현재 또는 미래의 활동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개인적 발전을 촉진하는 환경과 같은 것이다.
3) 건강
건강은 구조적, 기능적으로 전체적이고 완벽한 전체성이나 신체적, 정신적, 대인적, 사회적 측면을 분리할 수 없는 통합의 상태를 말한다. 건강을 안녕과 불건강으로 구분하여 자기간호가 유지되지 않을 때 불건강, 질병, 죽음 등이 발생한다고 보았다. 안녕은 영적 경험과 인격화의 감정에 의해 얻어지는 만족, 행복 및 즐거움에 대한 인식이다.
4) 간호
① 오렘은 자신과 다른 사람을 돕는데 목표를 둔 서비스로 간주한다.
② 자가간호요구를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치료적 자가간호요구가 환자의 자가간호역량을 초 과 할 때 요구된다.
③ 궁극적으로 환자를 자가간호 행위자가 되도록 한다.
④ 몇 가지 구성요소, 즉 간호예술, 간호분별력, 간호서비스, 역할이론 및 특수기술을 가지 고 있다.
⑤ 간호예술은 간호 분야는 물론 과학, 예술, 인문과학과 같은 타 분야의 이론을 토대로 한 다.
⑥ 간호분별력은 간호사가 새롭거나 어려운 상황에서 조언을 구하고 정확한 판단을 내리 며, 특정한 방식으로 행동하려고 결정하고, 행동하도록 하는 자질이다.
⑦ 간호서비스는 돕는 서비스이다. 오렘은 간호사의 능력을 간호역량이라고 한다.
⑧ 역할이론은 특정 상황에서 간호사 및 환자에게 기대되는 행위로 정의된다. 간호사와 자 가간호를 행하기 위하여 함께 일하면서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한다.
⑨ 특수기술을 사용하는데, 여기에는 사회적 대인적 기술(의사소통하기, 집단관계를 조정 하기,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도움을 제공하기)과 조절기술(생의 과정을 유 지하고 증진시키기, 생리심리적 기능을 조절하기, 성장과 발달을 촉진시키기)이 포함된 다.
⑩ 간호사는 환자의 자가간호 요구와 능력에 토대를 두고 계획한 세 가지 간호체계(전 보 상, 부분보상, 교육지지적)중 하나 혹은 그 이상을 사용한다.
⑪ 각 간호체계에서는 돕는 방법을 사용한다.
Ⅴ. 이론의 적용 및 평가
1. 이론의 적용
1) 실무 측면
⑴ 적용사례 : 존스홉킨스병원 외래크리닉(nurse-managed clinics)
⑵ 적용실례 -성인알코올 남용자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유방절제술을 받은 환자
-선천적 심장결손 환자
-심장환자
-당뇨환자
-암환자
-복막투석환자
2) 교육 측면
⑴ 조지타운 간호대학교: 신입생때 자가간호결핍 이론을 교육과정에 적용시킴으로써 학 생들이 간호에 대해 보다 폭넓은 관점을 갖도록 하고 있다.
⑵ 미조리 주립 간호대학: RN-BSN 프로그램 교육과정으로 광범위하게 사용하게 하고, 간호계획, 환자교육, 일상적인 간호실무에 이 이론을 구체적 으로 적용시키도록 교육하고 있음
3) 연구 측면
⑴ 커니 와 프라이셔(Keatney & Fleischer): 자기간호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 하였다.
⑵ 데니스(Denyes): 간호사정을 하기위한 도구를 개발하였다
⑶ 혼과 스와인 (Horn & Swain): 보편적 간호요구와 건강이탈적 간호요구를 중심으로 환자간호의 질을 측정하기 위한 기준을 개발
⑷ 기타-도드(Dodd): 화학요법중인 암환자 자기간호행위연구에 적용
-로드리스(Rothlis ):건강이탈적 자기간호결핍으로서 반응성 우울연구에 적용
-크로켓(Crockett): 성인 및 정신질환자에 의해 사용된 적용을 위한 자기간호
수행연구에 적용
-토드(Toth): 심혈관계중환자실에서 이송되는 환자의 불안에 대한 연구에 적용
2. 이론의 평가
오렘의 간호이론은 다양한 건강수준에 있는 각 개인들에 대해 자가간호의 주요전제를 통합 한 것이다. 자가간호행위에 가족, 지역사회, 환경 등이 고려되었지만 무엇보다도 개인에게 초점을 두고 있다.
또한 주로 간호사의 활동과 기능에 초점을 맞추었다. 예를 들어 필요한 간호능력의 종류와 양에 근거하여 간호실무를 위한 틀을 만들 수 있다.
자기간호 능력에 대한 강조와 인식은 건강간호 서비스의 이용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서비스 기간을 단축시킴으로써 비용절감이라는 면에도 기여할 수 있 다.
참고문헌
간호이론(2007) 포유편집부 저 포유출판사
간호요점(2006) 예하미디어 편집부 저 예하미디어
간호이론의 이해(2000) 이소우외 저 수문사
간호학이론과 탐구의 입문(2004) 장성옥 저 군자출판사
간호와 이론(2000) 조계화, 김명자 저 현문사
핵심 간호이론(1999) 은하출판사편집부 저 은하출판사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12.31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53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