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구중심주의에 대한 비판과 한계-<이슬람의 과학과 문명>과 <마셜 호지슨의 세계사론>을 비교하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이슬람의 과학과 문명』의 의의
2.1 『이슬람의 과학과 문명』은 ‘어떻게’, ‘무엇’을 말하는가
2.2 『마셜 호지슨의 세계사론』과 비교하여

3. 『이슬람의 과학과 문명』의 한계
3.1 이슬람의 과학과 문명에 대한 지나친 과대평가
3.2 모호한 이슬람 과학과 문명의 쇠퇴 원인

4. 나가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혹시 오리엔탈리즘, 서구 중심주의에 가득 찬 사람이 이 책을 읽는다면 이러한 의문들이 명확히 해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유럽은 종교의 힘이 약해질 수밖에 없는 태생이었으니까 서구는 발전한 것이고 따라서 서구는 우월하다-라고 생각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이 책의 저자가 전문 학자가 아니라 큐레이터이기 때문에 이러한 한계를 갖을 수도 있다. 하지만 앞에서 이슬람 과학과 문명의 위대함과 발전에 대해 말해놓고서 그것이 쇠퇴하게 된 원인을 명확히 밝히지 못하는 점은 분명히 내용의 신뢰성을 떨어뜨린다. 이것이 이 책의 두 번째 한계라고 할 수 있다.
4. 나가며
『이슬람의 과학과 문명』은 찬란했던 이슬람의 과학과 문명을 직접 소개함으로써 모든 시대에 서구가 중심에 있었다는 서구 중심주의에 도전하고 비판한다. 게다가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쉬운 단어선택과 다양한 삽화를 통해 쉽게 책을 구성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서구 중심주의에 대해 반성하고 그동안 갖고 있던 이슬람에 대한 무지, 편견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었다.
그러나 너무 서구 중심주의를 비판하고 싶은 의욕이 앞서서 이슬람의 과학과 문명의 중요성을 과대 포장한 것은 아쉬움에 남는다. 마셜 호지슨이 말하는 전세계사 속의 이슬람으로, 세계사적 관점에서 균형 있게 이슬람의 과학과 문명을 소개해보았다면 좋았으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전문 학자가 쓴 것이 아니라고는 해도 이슬람 과학과 예술의 쇠퇴 원인에 관한 명확한 언급이 있었다면 이 책에 신뢰를 더 했을 것이다.
이 책의 겉표지에는 빨간색 글씨로 이슬람의 찬란한 과학과 문명은 창조적 열정으로 가득 찬 유럽 르네상스의 지적 흥분을 불러 일으켰다 라고 쓰여 있다.
물론 이 말이 이 책의 내용을 잘 나타내고 있는 것이기는 하지만 왠지 씁쓸한 느낌이 들었다. 찬란했던 이슬람 문명과 과학을 소개하는 이 책에서 이슬람 문명의 훌륭함의 근거가 르네상스에서 간여했다는 걸로 찾아져야 하는 것일까. 이슬람 문명의 그 자체의 찬란함과 훌륭함을 나타내었다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참고 문헌
조희선,「이슬람의 문화적 특색과 토속관행」, 『중동연구』,한국외국어대학교중동연구소, 1999.
마셜 호지슨, 『마셜 호지슨의 세계사론』, 이은정 옮김, 사계절, 2006.
윌레이스 K. 퍼거슨. 『르네상스』, 김성근 옮김, 문교부, 1963.
하워드 R. 터너, 『이슬람의 과학과 문명』,정규영 옮김, 르네상스, 2004.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2.31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53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