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오족공화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언

Ⅰ. 형성배경

Ⅱ. 오족공화론
1. 신해혁명 이전
2. 신해혁명 이후

결어

참고문헌

본문내용

론의 내용의 영향일 것이다.
그러나 양계초 역시 한족중심주의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한 측면이 적지 않다. 혁명 이전에는 아예 “대민족주의가 반드시 한인이 중심이 되어야 하며 그 조직을 완성하는 것도 역시 한인의 손으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좀더 진전된 22년의 의견들에서도 소수민족 고유의 특수성을 인정하는 발언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오히려 그의 인식에 따르면, 중화민족의 범위는 아무리 크게 잡아도 한족화한 만주족의 범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고 있다. 독자적인 민족의식을 갖고 있지 않은 만주인은 이제 중화민족의 일원이라고 인식하고 그렇지 않은 몽고인은 시종 중화민족의 일원이었던 적이 없었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이 바로 그러한 예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논조가 오늘날 중국의 소수민족 정책에도 일정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쑨원을 비롯한 혁명파들은 중화민국의 성립 이후 자신의 강력했던 排滿 성향을 바꾸어 개량파의 의견을 어느정도 수용하기 시작하였다. 이는 신생 중화민국이 영토와 민족 구성에 있어서 청조의 유산을 전면적으로 계승하지 않을 수 없었던 19세기 말 20세기 초 중국사회의 현실과 유관하다고 볼 수 있다. 王柯, 「‘중화민족국가’의 구축 - 근대 중국에서 서양 국민국가 이론의 실천-」, 『민족과 국가 - 중국 다민족통일국가 사상의 계보』, 고구려연구재단, 2005,300면
바로 제국주의 세력의 중국 침략이 점차 강화됨에 따라 사람들은 ‘변강’의 ‘국가’에 대한 의의, 그리고 중국의 변강은 거의 모두 소수민족 거주 지구라는 사실을 새롭게 인식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신해혁명 이후 한족만의 단일국가 건설이라는 희망은 실제에 부합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혁명파가 주장하였던 배만의 민족주의 방침을 계속 주장한다면, 이제 막 청 왕조에서 벗어나 다시 태어난 중화민국을 몇 개의 민족국가, 더 나아가 서로 적대적인 민족국가로 재분열시킴으로서 중국의 광활한 영토를 제국주의 열강의 직접적인 위협 아래에 보다 더 그대로 노출시키는 셈이었기 때문이었다.
여전히 구시대적인 틀에서 많이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그 이전까지 중국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되어 있었던 다양한 소수민족을 중국의, 그리고 그 구성원의 범주로 끌어냈다는 것에 량의 오족공화론의 의의를 둘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여전히 각 민족의 고유성을 배려하지 않은 기본적인 성향은 훗날의 중화민국, 더 나아가 오늘날에 이르는 중국의 소수민족에 대한 정책의 성향에 기초적인 근간을 제공하였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參考文獻
(1) 史料
『飮氷室合集』, 北京 : 中華書局, 1988
耿云志 崔志海 『梁超』 人民出版社,1994
走向未 『梁超中近代思想』 1986
孟祥才 『梁超 - 篇,救篇』云代出版社
天任主 『民梁任公先生超年』台商印行
宋蜀 『中民族理探索』中央民族大出版社 1999
(2) 단행본
요시자와 세이치로, 정지호 譯,『애국주의의 형성 - 내셔널리즘으로 본 근대 중국』,
논형, 2006
김한규, 『天下國家 - 전통 시대 동사이사 세계질서』, 소나무, 2005
梁啓超, 전인영 譯,『중국 근대의 지식인』,혜안, 2005
李澤厚, 임춘성 譯,『중국근대사상사론』, 한길사, 2005
Prasenjit Duara, 문명기손승회 譯,『민족으로부터 역사를 구출하기 - 근대 중국의새로운 해석』, 삼인, 2004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편, 『전통의 변용과 근대개혁』, 태학사, 2004
이혜경, 『천하관과 근대화론 : 양계초를 중심으로』, 문학과 지성사, 2002
허도학, 『(중국근대화 기수) 梁啓超』, 임방서원, 2000
王柯, 『민족과 국가 - 중국 다민족통일국가 사상의 계보』, 고구려 연구재단, 2005
(3) 論文
1) 國文
許道鶴, 「梁啓超思想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97(석사)
朴章培, 「‘中華民族’槪念의 形成에 대한 小考 - 淸末民國前期(1899~1928)를 中心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2(석사)
黃鍾東, 「梁啓超 硏究」, 영남대학교 대학원, 1982(석사)
曺政郁, 「중국 민족주의의 발흥과 근대적 대중에 대한 인식: 양계초의 사유를 중심으로」, 中國人文科學 제28호, 2004,
이일재 外, 「<동아시아의 근대성과 민족주의>의 종합토론」, 아시아문화 14, 1999,
도상범, 「梁啓超 後期思想의 몇 가지 검토」,충북사학 10, 1998,
도상범, 「中國 近代 民族主義 小考: 梁啓超의 民族主義思想 變化를 中心으로」, 동서문화연구 5, 1994,
이철호, 「近代中國 民族主義 性格과 發展: 梁啓超와 孫文의 民族主義를 中心으로」, 中蘇硏究1, 1994,
유용태, 「중화민족론과 동북지정학 - “동북공정”의 논리근거」, 동양사학연구, 2005
허원, 「연구동향: 중화인민공화국의 민족문제 논쟁 - 민족형성과 민족개념을 중심으로」, 중국사연구, 2005
박병석, 「특집: 중국, 중국인, 중국문화: 중국의 국가, 국민 및 민족 명칭 고찰」, 사회이론, 2004,
2) 中文
宋波, 「梁超的民族」,『近代史究』3, 1999
朱文,「梁超究的新成果-耿云志,崔志海著<梁超>」,『近代史究』6,1995,
,「末立派的民」,『近代史究』1,1993
小波,「辛亥前梁超的民族主」,『近代史究』5,1992
胡非,「民族主意在近代中的起源及其表形」,『晋刊』2, 2004
,「末民期"中民族"念同性」,『北京案史料』2, 2004
小,「梁超民族家思想究」,『中范大』2, 2000
葛志毅,「梁超的民族主究近代化的文化思潮」,『探索』2, 1999
3) 일문
戊戌新及康有、梁超. (ロン ボジュツ イシン ウンドウ キュウ コウ ユウイ リョウ ケイチョウ. ) [州] : 人民出版社, 1985.2.
梁啓超 : 西洋近代思想受容と明治日本 : 共同究 (ョウ ケイチョウ : セイヨウ キンダイ シソウ ジュヨウ ト メイジ ニホン : キョウドウ ケンキュウ. ), ハザマ, ナオキ(저자명),東京 : みすず書房, 1999.11
梁超明治日本西方 : 日本京都大人文科究所共同究告 (リョウ ケイチョウ メイジ ニホン セイホウ : ニホン キョウト ダイガク ジンブン カガク ケンキュウジョ キョウドウ ケンキュウ ホウコク. ), ハザマ, ナオキ, 北京 : 社科文出版社, 2001.3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9.21
  • 저작시기2012.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683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