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검사의 이론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Hematology

Urinalysis

Blood Chemmistry

ABGA ( Arterial Blood Gas Analysis)

본문내용

: alkali deficit, addison's disease, myxedema 점액수종
K(Potassium)
정 의: 알칼리 금속 원소로 지구의 지질에서 7번째로 가장 풍부한 원소이다. 신체 내에 서 칼륨은 세포 내액의 주요 양이온으로서, 신경근의 흥분성과 근육 수축을 조절 하도록 돕는다.
정상수치: 3.5-5.0mEq/L
증가요인: addison's disease, oliguria, anuria, tissue breakdown 조직파괴 or hemolysis
감소요인: diabetic acidosis, 설사, 구토
Cl(Chloride)
정 의: 염소와 염소보다 양성인 원소와의 화합물
정상수치: 103-111mEq/L
증가요인: nephritis, urinary obstruction, cardiac decompensation 심장의 대상 부전, anemia, ether anesthesia
감소요인: diabets, diarrhea, vomiting, pneumonia, heavy metal poisoning, cushing's syndrome, burns, intestinal obstruction
TCO2(carbon dioxide Taltal)
정 의: 탄소의 산호로 생셩되는 무색. 무취의 기체. 세포호흡의 산물로 혈액에 의해 폐로 운반되어 배출된다. 체액과 조직의 산-염기 균형은 이산화탄소와 탄산염 화합물의 수치에 영향을 받는다.
정상수치: 23-34mEq/L
증가요인: metabolic alkalosis
감소요인: metabolic acidosis
Iron(Fe)
정 의: 헤모글로빈 합성에 필수적인 일반 금속 원소로 원자 26, 원자량은 55.85이다.
정상수치: 60-190
증가요인: pernicious anemia, aplastic anemia 무형성 빈혈, hemolytic anemia, hepatitis, hemocromatosis 혈색소 침착증
감소요인: iron deficiency anemia
TIBC(Total Iron Binding capacity)
정상수치: 280-400
증가요인: iron deficiency anemia
감소요인: chronic infection disease
Mg(Magnesium)
정 의: 은백색의 경금속 원소. 세포 내액에서 두 번째로 많은 양이온 성분으로 효소 활 동이나 세포 내 입자의 상호 작용, 거대분자와 세포하소 기관과의 결합에 필수적 이다.
정상수치: 1.9-3.1mg/dL
증가요인: ingestion of epson salts, parathyroidectomy
감소요인: chronic alcholism, toxemia of pregnancy, severe renal disease
CK(Creatine Kinase)
정 의: 근육, 뇌, 조직 등에 있는 전이 효소 중의 하나
정상수치: 0-185IU/L
증가요인: skeletal muscle disease, intramuscular injection, crush syndrome, hypothyroidism, delirium tremens, cerebrovascular disease
감소요인: 갑상선 기능항진증, SLE 화학요법, 류미티스 관절염, 고빌리루빈 혈증
LD(Lactate Dehydrogenage)
정 의: 거의 모든 조지그이 세포질에서 발견도는 효소이며, L-lactate를 pyruvate로 산화 하는 과정을 촉매한다.
정상수치: 50-400IU/L
증가요인: untreated pernicious, anemia, pulmonary infarection, liver disease, myocardial infarection
Amylase
정 의: 전분을 작은 탄수화물 분자로 가수분해하는 데 촉매하는 효소.
정상수치: 28-160U/L
증가요인: acute pancreatitis, mumps, duodenal ulcer, carcinoma of head of pancreas, pseudocyst of pancreas
감소요인: chronic pancreatitis, pancreatic fibrosis and atrophy, liver cirrhosis, acute alcoholism, toxemias of pregnancy
Lipase
정 의: 트리글리세라이드와 인지질 내에서 지방산과 글리세롤 간의 결합 가수분해를 통 해 지방분해의 촉매 역할을 하는 소화기관에 의해 산출되는 일존의 몇몇 효소들.
정상수치: 0-60U/L
증가요인: lipase and chronic, pancreatitis, biliary obstruction, cirrhosis, hepatitis, peptic ulcer
Hb A1C
정상수치: 4-6%
ABGA ( Arterial Blood Gas Analysis)
pH
용액의 상대적인 산성, 알칼리성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
정상수치 7.35-7.45
증가요인 구토 , 과다호흡, 발열, 위장관폐쇄
감소요인 무뇨, 당뇨병성 산증, 신장염, 출혈
pCO₂
이산화탄소 분압(동맥속에 녹아 있는 CO2의 분압)
정상수치 35-45 mmHg
증가요인 호흡성 산증
감소요인 호흡성 알칼리증
pO₂
산소분압 (동맥속에 녹아있는 O2 분압)
정상수치 83-108 mmHg
증가요인 산소공급의 직접적인 영향
HCO₃(bicarbonate)
중탄산염. sodium bivarbonate 와 같이 수소 원자 하나만이 금속 또는 기(radical)에 의해 대체되는 탄산이온.
정상수치 22-26 mmol/L
증가요인 대사성 알칼리증(Metabolic alkalosis)
감소요인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
TCO₂(CO₂content)
동맥혈 속에 들어있는 CO2 함유량.
정상수치 23-27 mmol/L
증가요인 대사성 산증(Metabolic acidosis)
감소요인 대사성 알칼리증(Metabolic alkalosis)
SaO₂(O₂saturation)
산소포화도. 산소가 헤모글로빈에 결합된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서 가능한 한계의 백분율로 나타낸다.
정상수치 95-100 %
증가요인 적혈구 증가
감소요인 빈혈, 심장부전, 만성폐쇄성폐질환
  • 가격4,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01.06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59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