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 조공의 의미와 실체
2. 조공의 기원
3. 조공에 대한 연구 논문
4. 조공에 대한 허와 실에 대한 고찰
Ⅲ.결론
Ⅱ.본론
1. 조공의 의미와 실체
2. 조공의 기원
3. 조공에 대한 연구 논문
4. 조공에 대한 허와 실에 대한 고찰
Ⅲ.결론
본문내용
격할 수 없었다.
이는 당시 동아시아의 국가들의 서로 먹고 먹히는 관계에 놓여 있었으며, 그 관계를 조정하는 쪽은 고구려였다. 북위는 사방으로 적이 놓여 있는 상황이었는데, 정통 한족임을 자처하는 남조와는 정통성 싸움이 있었으며, 막북의 지배자인 유연과의 전쟁 역시 끊이지 않았다.
그리고 그것은 남조 역시 마찬가지였으며, 유연 역시 북위와 싸우면서 매번 식량이 부족하여 고구려로부터 식량을 수입하였으며, 북위는 후방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고구려의 눈치를 보아야 했다. 남조 역시 고구려의 수군을 의식하여 눈치를 볼 수밖에 없었다.
국사책에서도 나오는 내용이지만, 당시 북위는 고구려의 사신을 남조에 이어 서열 2위로 보앗다고 하는데 남조의 사신은 같은 한족漢族의 경쟁자로 보았기 때문에 그렇게 했다는 말이 있으며 또한 남조의 사신이 고구려의 사신이 자신과 동급에 놓여 있다는 것에 항의를 했다는 내용이 남사에 나와있을 정도로 실상은 고구려의 사신이 서열 첫 번째의 대우를 받았다고 생각하는 편이 옳을 것이다.
이는 고구려 뿐 아니라 백제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백제는 고구려에 대항하기 위해서 북위에 사신을 보내는데 처음에는 고구려의 수군에 의해서 가지 못하고 두 번째에는 비록 사신이 가긴 하지만 풍랑 때문에 북위의 황제의 뜻이 담긴 서한(북위에서도 고구려를 의식하여 고구려의 후방에 있는 백제를 자신의 편으로 만들 필요가 있었다.)이 백제로 오지 못하자 곧 사신을 보내지 않았다고 한다. 이런 경우를 봐서 조공이란 시대에 따라 자신의 필요 이유로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Ⅲ.결론
여러 가지 논문자료와 사료를 통해 살펴보았을 때 조공이라는 것은 이데올로기적인 것일 뿐 형식적인 것이었다. 조공 관계는 주변국이 중국과의 마찰을 피하고 상호공존하는 국제질서 형성을 위한 외교정책이었다. 반드시 경제적·문화적인 교류가 동반되었고 정치적인 것은 형식적인 데 그쳤다. 그래서 조공무역이라고 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현재 중국은 조공을 이유로 고구려를 중원 왕조의 지방 정권이라고 주장하면서 고구려사를 중국 자신의 역사에 편입시키는 '동북공정'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앞선 논문 자료들을 통해 볼 때 조공은 본래 중국 내부에서 중앙의 황제와 지방 사이에 맺어지는 정치 질서였지만, 점차 확대되어 국가 간의 외교 형식으로 발전하게 되었음은 이미 밝혀진 사실일 것일 것이고, 이러한 조공을 근거로 고구려를 지방정권으로 규정하는 것은 당연히 논리적 모순이 있을 것이라는 사실도 명백해 진다.
이렇듯 조공이라는 하나의 외교 과정을 통해서 우리는 조금 더 분명하게 한국과 중국의 관계를 알 수 있었고 이러한 한국과 중국의 과거로부터 이어진 관계를 통해 그들이 현실을 얼마나 왜곡하는지 또한 알 수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한국과 중국의 조공에 관한 실상을 조금 더 확고히 밝힐 수 있는 많은 논문들이 등장해야 하며, 비록 한국과 중국의 관계를 짧은 시간이나마 공부한 학생으로서 사료를 분석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 수 있는 또 한 번의 계기가 되었다.
이는 당시 동아시아의 국가들의 서로 먹고 먹히는 관계에 놓여 있었으며, 그 관계를 조정하는 쪽은 고구려였다. 북위는 사방으로 적이 놓여 있는 상황이었는데, 정통 한족임을 자처하는 남조와는 정통성 싸움이 있었으며, 막북의 지배자인 유연과의 전쟁 역시 끊이지 않았다.
그리고 그것은 남조 역시 마찬가지였으며, 유연 역시 북위와 싸우면서 매번 식량이 부족하여 고구려로부터 식량을 수입하였으며, 북위는 후방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고구려의 눈치를 보아야 했다. 남조 역시 고구려의 수군을 의식하여 눈치를 볼 수밖에 없었다.
국사책에서도 나오는 내용이지만, 당시 북위는 고구려의 사신을 남조에 이어 서열 2위로 보앗다고 하는데 남조의 사신은 같은 한족漢族의 경쟁자로 보았기 때문에 그렇게 했다는 말이 있으며 또한 남조의 사신이 고구려의 사신이 자신과 동급에 놓여 있다는 것에 항의를 했다는 내용이 남사에 나와있을 정도로 실상은 고구려의 사신이 서열 첫 번째의 대우를 받았다고 생각하는 편이 옳을 것이다.
이는 고구려 뿐 아니라 백제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백제는 고구려에 대항하기 위해서 북위에 사신을 보내는데 처음에는 고구려의 수군에 의해서 가지 못하고 두 번째에는 비록 사신이 가긴 하지만 풍랑 때문에 북위의 황제의 뜻이 담긴 서한(북위에서도 고구려를 의식하여 고구려의 후방에 있는 백제를 자신의 편으로 만들 필요가 있었다.)이 백제로 오지 못하자 곧 사신을 보내지 않았다고 한다. 이런 경우를 봐서 조공이란 시대에 따라 자신의 필요 이유로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Ⅲ.결론
여러 가지 논문자료와 사료를 통해 살펴보았을 때 조공이라는 것은 이데올로기적인 것일 뿐 형식적인 것이었다. 조공 관계는 주변국이 중국과의 마찰을 피하고 상호공존하는 국제질서 형성을 위한 외교정책이었다. 반드시 경제적·문화적인 교류가 동반되었고 정치적인 것은 형식적인 데 그쳤다. 그래서 조공무역이라고 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현재 중국은 조공을 이유로 고구려를 중원 왕조의 지방 정권이라고 주장하면서 고구려사를 중국 자신의 역사에 편입시키는 '동북공정'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앞선 논문 자료들을 통해 볼 때 조공은 본래 중국 내부에서 중앙의 황제와 지방 사이에 맺어지는 정치 질서였지만, 점차 확대되어 국가 간의 외교 형식으로 발전하게 되었음은 이미 밝혀진 사실일 것일 것이고, 이러한 조공을 근거로 고구려를 지방정권으로 규정하는 것은 당연히 논리적 모순이 있을 것이라는 사실도 명백해 진다.
이렇듯 조공이라는 하나의 외교 과정을 통해서 우리는 조금 더 분명하게 한국과 중국의 관계를 알 수 있었고 이러한 한국과 중국의 과거로부터 이어진 관계를 통해 그들이 현실을 얼마나 왜곡하는지 또한 알 수 있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 한국과 중국의 조공에 관한 실상을 조금 더 확고히 밝힐 수 있는 많은 논문들이 등장해야 하며, 비록 한국과 중국의 관계를 짧은 시간이나마 공부한 학생으로서 사료를 분석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알 수 있는 또 한 번의 계기가 되었다.
추천자료
조선전기의 조공관계
영화 <신화 - 진시황릉의 비밀> 분석 - 한중 관계와 베이징 올림픽
[지방재정][지방재정자립도][지방재정][지방세]지방재정자립도, 지방자치단체 재정규모, 지방...
[고구려][고구려사][고구려문화][고구려의 문화]고구려의 건국신화, 고구려의 성립, 고구려의...
[종교][스포츠][종교와 스포츠의 관계][종교제도][의사종교][신앙]종교의 특성, 스포츠의 의...
정부와 NGO 관계모델) 보스웰의 7대관계유형, 기드론의 4대 관계유형, 코스튼의 8대 관계유형...
UN과 NGO의 관계, UN-NGO 관계의 제도화
국가기관과 지방자치단체의 관계 모형 및 제도적 관계
[중소기업][기업][중소기업 개념][중소기업 역할]중소기업의 개념, 중소기업의 역할, 중소기...
사회공헌활동 기업이미지 영향, 은행합병 기업대출 영향, 은행합병 기업여신 영향, EDI이용수...
[공공부조제도] 공공부조제도, 공적 부조제도 개념, 원인, 관계법률, 비정규직 보호법 문제점...
김대중 정권 (정치, 경제, 사회, 외교), 국민정부, 김대중 대통령, 정치적 평가, 경제적 평가...
[국제통화기금] IMF(International Monetary Fund)와 환율제도의 변천(브레튼우즈체제, 스미...
MBO와 PPBS의 효과성 및 비교분석 - MBO(Management By Objectives : 목표관리)와 PPBS(Plan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