깊게 본 중국의 주택(요약)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중국주택의 공간구조

2. 중국 주거문화의 특징
가. 고유성과 독자성
나. 구성원리의 일관성.
다. 역사적인 지속성

3. 중국주택 사례연구-중국의 가옥의 종류
가. 북경의 사합원(四合院)
나. 휘주의 주택(徽州)
다. 황토 고원의 요동(窯洞)
라. 복건성(福建省)의 토루(土樓)

본문내용

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은 한 층에서 하나의 개간이 각각 한 가구를 이루는 개간식 토루와는 다른 구성방식으로, 이같은 구성을 한 토루를 '단원식' 토루라고 부른다. 이의루의 특징 중 하나는 최상층인 4층의 외주부에 은통랑이라 불리는 내밀한 공동복도를 갖는 것이다. 은통랑은 비상시 피난통로 역할을 한다. 이의루는 현존하는 토루들 중 가장 대표적이고 가장 큰 토루 중 하나이다. 현재는 약 40호, 200명이 이 집합주택 안에 살고 있다. 토루는 기하학적으로 명료한 구성을 가지는데, 이는 단위주거의 구성과 집합의 논리에 바탕을 둔 질서체계의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 질서체계는 단위주거의 시각적 프라이버시를 확보하는 것을 전제로 하며, 단위주거 및 그것과 관련되는 공동공간의 조건을 균등하게 하려는 기본원칙을 바탕으로 성립된 것임을 살펴보았다. 토루의 유형분류가 일반적으로 형태적인 측면에서 이루어지지만 본 연구에서는, 공동건물의 전체적 형상을 제외한 토루의 특징적 공간구성은 형태 유형이 아니라 단위주거의 구성 및 결합방식에 의해 주로 규정됨을 밝혔다.
참고자료
손세관. 『 깊게 본 중국의 주택(중국의 주거문화下)』.열화당미술책방. 2001

키워드

중국,   주택,   문화,   기후,   사합원,   요동,   토루,   전통
  • 가격1,2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1.07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61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