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서경략설의 검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요서경략설의 이해
2. 긍정론
3. 부정론
4. 부정론에 대한 반론

III. 결론

본문내용

고 쉽게 생각해 볼 수 있다. 즉 백제는 이들을 매개로 과거 낙랑군대방군이 가지고 있던 대중국 무역의 주도권을 그대로 손에 쥘 수 있었을 것이고, 활발한 해상활동을 펴는 가운데 요서지방까지 진출할 수 있는 능력과 기반을 갖추었을 가능성도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역사서 기록대로의 백제가 요서를 경략했던 시기는 중국이 5호 16국 시대라고 불리는 혼란한 정국이었다. 당시 중국은 전역이 여러 나라로 분열되어 패권을 차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전쟁을 하던 시기였다. 북위가 통일할 때까지 혼란을 거듭하고 중국의 광활한 영토는 무수히 많은 국가와 민족으로 분열되어 패권다툼에 여념이 없었기 때문에 요서 지역까지는 그 힘이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백제의 요서경략은 가능성이 있는 주장인 것이다.
III. 결론
지금까지 백제의 요서경략설에 대하여 자세한 뜻부터 시작하여 긍정부정론에 이은 반론까지 살펴보았다. 나는 백제의 중국진출에 따른 요서경략을 믿고 싶다. 하지만 섣불리 인정하기보다는 신중을 가하여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요서경략을 믿기 위해서는 백제의 요서경략과 관련된 미스터리를 풀기 위한 모든 가능성을 고려해보아야 한다. 현재로서는 당시 시대적 상황을 고려해보았을 때엔 백제의 요서경략이 가능한 듯 하나, 현재까지 발견된 우리나라 역사서의 사료나, 거리상의 문제, 유적유물의 미발견으로 아직까지 그 사실이 의문시되고 있다.
백제가 서해바다를 건너 중국 요서 지방을 경략하고 백제 영역으로 편입시켰다는 것이 사실이든 아니든, 당시 백제의 항해술과 국력이 상당한 수준이었음을 암시하는 것만은 분명하다. 어떻게 본다면, 해양문화가 발달했던 통일신라시대에 장보고가 산동 반도에 진출해 법화원을 중심으로 자치권을 행사하며 치외법권적 통치를 하면서 짧은 기간 동안 지배했다는 사실에 비추어 볼 때, 백제 시대 때 멀리 요서지방까지 진출했다는 기록은 자랑스럽고 뿌듯하기까지 하다.
‘요서경략’으로 일컬어지는 백제의 중국 동부 해안지역 지배는 백제가 고구려와 더불어 동북아시아에서 강대국이었음을 다시금 일깨워주는 바다.
☆ 참고문헌 ☆
金庠基, 百濟의 遼西經略에 대하여, <白山學報> 3, 1967
兪元載, <百濟略有遼西> 記事의 分析, 백제연구 20집, 1986
한국역사연구회 고대사분과, 한국고대사 산책, 역사비평사, 1994
박현숙, 백제이야기, 대한교과서(주), 1999
엄기표, 정말 거기에 백제가 있었을까, 고래실, 2004

키워드

  • 가격1,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1.22
  • 저작시기200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80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