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인이론과 형사정책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서 낙인이론은 형사정책과 관련하여 사회가 정책을 세우는데 가장 설득력 있어 보인다. 범죄의 전통적인 원인론적 범죄학을 부정하였지만 사회속에서 또 다른 범죄의 원인을 찾아갔다고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1차적 범죄보다 2차적 범죄에 중점을 두었지만 그 이상의 범죄를 예방한다면 성공한 범죄예방이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 하고 생각이 든다. 가장 큰 문제는 낙인의 과정이다. 낙인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하기 보다는 좀더 거르고 걸러서 낙인을 찍는다면 수정된 낙인이론으로서 범죄예방을 하는데 형사정책상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참고문헌
D.라이트S켈러지음-사회학입문
알기쉬운 사회학-정림사
송정부 역, 사회문제이론, 평화사, 1979
범죄학개론 / [John Sanderson 저] ; 김형만; 이동원 공역.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8.01.29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89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