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경기장
1.1.규격
1.2 코트의 표면
1.3 코트의 라인
1.4 코트의 죤
1.5 기온
1.6 조명
2. 네트와 지주
2.1 네트
2.2 사이드 밴드
2.3 안테나
2.4 네트의 높이
2.5 지주
2.6 기타의 용구
3.경기구
3.1 볼의 특성
3.2 볼의 균일성
3.3 쓰리 볼 시스템
4. 팀
4.1 구성과 등록
4.2 주장
5. 경기자의 복장
5.1 복장
5.2 복장의 변경
5.3 금지된 장신구 및 유니폼
6. 경기 참가자의 권리와 의무
6.1 기본적 의무
6.2 주장
6.3 코치
6.4 부코치
6.5 경기 참가자의 위치
7. 득점의 방법
7.1 경기의 승자
7.2 세트의 승자
7.3 랠리의 승자
7.4 최종(5)세트의 랠리의 승자
7.5 부전패와 불완전 팀
8. 경기의 준비
8.1 토스
8.2 공식 연습
9. 팀 라인-업
9-1 스타팅 라인-업
9.2 로테이션 순서
10. 경기자의 위치와 로테이션
10.1 경기자의 위치
10.2 로테이션
10.3 위치의 반칙
10.4 로테이션 반칙
11. 경기자 교대
11.1 정의
11.2 경기자 교대의 제한
11.3 예외적인 경기자 교대
11.4 퇴장에 의한 경기자 교대
11.5 불법적인 경기자 교대
12. 플레이의 상태
12.1 인 플레이 볼 :
12.2 아웃 오프 플레이 볼
12.3 볼 인
12.4 볼 아웃
13. 플레잉 반칙
13.1 정의
13.2 반칙의 결과
14. 볼을 플레이 하는 것
14.1 팀의 타구
14.2 동시의 접촉
14.3 물체 이용의 플레이
14.4 타구의 특성
14.5 볼을 플레이 했을 때의 반칙
15. 네트 부근의 볼
15.1 네트를 통과하는 볼
15.2 네트에 접촉된 볼
15.3 네트의 볼 (서어비스 볼은 제외)
16. 네트 부근의 경기자
16.1 플레이 지역과 공간
16.2 손이 네트를 넘었을 경우
16.3 네트 아래의 침범
16.4 터치 네트
16.5 네트 부근에서의 경기자의 반칙
17. 서어비스
17.1 정의
17.2 세트의 첫번째 서어비스
17.3 서어비스의 순서
17.4 서어비스의 허가
17.5 서어비스의 실행
17.6 서어비스의 시도
17.7 스크린의 형성
17.8 서어빙 반칙
17.9 서어비스 후의 서어빙 반칙 볼이 정확히 쳐진 후 다음의 경우에는 서어비스 반칙
18. 경우
18.1 정의
18.2 전위 경기자의 공격
18.3 후위 경기자의 공격 제한
18.4 공격 반칙
19. 블로킹
19.1 정의
19.2 블로킹 팀의 타구
19.3 상대편 공간에서의 블로킹
19.4 블로킹의 접촉
19.5 블로킹 반칙
20. 정규의 경기중단
20.1 종류
20.2 정규의 경기 중단 회수
20.3 경기 중단의 요구
20.4 연속적인 경기 중단
20.5 타임 아웃
20.6 경기자 교대
20.7 부당한 요구
21 . 경기의 지연
21.1 지연의 종류
21.2 지연의 제재
22. 예외적인 경기 중단
22.1 부상
22.2 외부의 방해
22.3 중단의 연장
23. 세트간의 중단과 코트의 교대
23.1 세트 간의 중단
23.2 코트의 교대
24. 불법행위
24.1 종 류
24.2 제 재
24.3 제재의 단계
24.4 세트 전과 간의 불법행위
25. 심판단의 구성과 절차
25.1 구 성
25.2 절 차
26. 주 심
26.1 위치
26.2 권 한
26.3 의 무
27. 부 심
27.1 위 치
27.2 권 한
28.2 의무
29. 선심
29.1 위치
29.2 의무
세트시간제한 경기방식(STLPS) 그랜드 챔피온컵 규정
1.1.규격
1.2 코트의 표면
1.3 코트의 라인
1.4 코트의 죤
1.5 기온
1.6 조명
2. 네트와 지주
2.1 네트
2.2 사이드 밴드
2.3 안테나
2.4 네트의 높이
2.5 지주
2.6 기타의 용구
3.경기구
3.1 볼의 특성
3.2 볼의 균일성
3.3 쓰리 볼 시스템
4. 팀
4.1 구성과 등록
4.2 주장
5. 경기자의 복장
5.1 복장
5.2 복장의 변경
5.3 금지된 장신구 및 유니폼
6. 경기 참가자의 권리와 의무
6.1 기본적 의무
6.2 주장
6.3 코치
6.4 부코치
6.5 경기 참가자의 위치
7. 득점의 방법
7.1 경기의 승자
7.2 세트의 승자
7.3 랠리의 승자
7.4 최종(5)세트의 랠리의 승자
7.5 부전패와 불완전 팀
8. 경기의 준비
8.1 토스
8.2 공식 연습
9. 팀 라인-업
9-1 스타팅 라인-업
9.2 로테이션 순서
10. 경기자의 위치와 로테이션
10.1 경기자의 위치
10.2 로테이션
10.3 위치의 반칙
10.4 로테이션 반칙
11. 경기자 교대
11.1 정의
11.2 경기자 교대의 제한
11.3 예외적인 경기자 교대
11.4 퇴장에 의한 경기자 교대
11.5 불법적인 경기자 교대
12. 플레이의 상태
12.1 인 플레이 볼 :
12.2 아웃 오프 플레이 볼
12.3 볼 인
12.4 볼 아웃
13. 플레잉 반칙
13.1 정의
13.2 반칙의 결과
14. 볼을 플레이 하는 것
14.1 팀의 타구
14.2 동시의 접촉
14.3 물체 이용의 플레이
14.4 타구의 특성
14.5 볼을 플레이 했을 때의 반칙
15. 네트 부근의 볼
15.1 네트를 통과하는 볼
15.2 네트에 접촉된 볼
15.3 네트의 볼 (서어비스 볼은 제외)
16. 네트 부근의 경기자
16.1 플레이 지역과 공간
16.2 손이 네트를 넘었을 경우
16.3 네트 아래의 침범
16.4 터치 네트
16.5 네트 부근에서의 경기자의 반칙
17. 서어비스
17.1 정의
17.2 세트의 첫번째 서어비스
17.3 서어비스의 순서
17.4 서어비스의 허가
17.5 서어비스의 실행
17.6 서어비스의 시도
17.7 스크린의 형성
17.8 서어빙 반칙
17.9 서어비스 후의 서어빙 반칙 볼이 정확히 쳐진 후 다음의 경우에는 서어비스 반칙
18. 경우
18.1 정의
18.2 전위 경기자의 공격
18.3 후위 경기자의 공격 제한
18.4 공격 반칙
19. 블로킹
19.1 정의
19.2 블로킹 팀의 타구
19.3 상대편 공간에서의 블로킹
19.4 블로킹의 접촉
19.5 블로킹 반칙
20. 정규의 경기중단
20.1 종류
20.2 정규의 경기 중단 회수
20.3 경기 중단의 요구
20.4 연속적인 경기 중단
20.5 타임 아웃
20.6 경기자 교대
20.7 부당한 요구
21 . 경기의 지연
21.1 지연의 종류
21.2 지연의 제재
22. 예외적인 경기 중단
22.1 부상
22.2 외부의 방해
22.3 중단의 연장
23. 세트간의 중단과 코트의 교대
23.1 세트 간의 중단
23.2 코트의 교대
24. 불법행위
24.1 종 류
24.2 제 재
24.3 제재의 단계
24.4 세트 전과 간의 불법행위
25. 심판단의 구성과 절차
25.1 구 성
25.2 절 차
26. 주 심
26.1 위치
26.2 권 한
26.3 의 무
27. 부 심
27.1 위 치
27.2 권 한
28.2 의무
29. 선심
29.1 위치
29.2 의무
세트시간제한 경기방식(STLPS) 그랜드 챔피온컵 규정
본문내용
중단 요구가 있으면 이를 주,부심에게 알린다.
e) 각 세트 종료 및 최종 세트(5세트)에 있어서 한 팀이 8점이 되면 주,부심에게 알린다.
f) 경고나 벌칙의 제재를 기록한다.
28.2.3 경기 종료후 기록원은
a) 최종 결과를 기록한다.
b) 기록 용지에 자신이 서명하고 팀 주장과 부심 및 주심의 서명을 받는다.
c) 이의 신청을 했을 경우 그 이의를 자신이 기입하거나 혹은 팀 주장이 항의한 내용에 관한 의견을 기록 용지에 기입할 것을 허가한다.
29. 선심
29.1 위치
29.1.1 공식 국제 경기에 있어서는 4명의 선심이 필수적이다. 선심들은 각 코너에서 부터 1-3m 사이에 그들이 통제할 수 있는 프리 죤에 서있어야 한다. 앤드 라인은 서어비스 코너에 있는 선심이 통제하고 사이드 라인은 맞은편에 있는 선심이 통제한다.
29.1.2 선심의 수가 2인일 경우에는 서어비스 죤 반대편 코너에서 1 -2m떨어진 프리 죤에서 있 어야 한다. 이들은 각자의 가장 가가운 앤드 라인과 사이드 라인을 감시한다.
29.2 의무
29.2.1 선심은 다음과 같이 소기(30*30cm)로 신호함으로써 자기의 임무를 수행한다.
a)볼이 자기 관할 라인 근처에 낙하됐을 때마다 "인"과 "아웃"으로 시그널 한다.
b) 리시이빙 팀이 접촉한 볼이 "아웃"되었을 때 시그널한다.
c) 볼이 허용 공간 외측 네트를 지날 때나 안테나에 접촉할 때 시그널 한다(규칙 15.1.1). 시그 널의 책임자 선심은 볼이 가는 길에 가장 가까이 있는 선심이다.
d) 엔드 라인을 책임지는 선심은 서어버의 풋 폴트를 시그널한다 (규칙 17.5.1)
1.서어비스 허가
서어비스 팀 쪽의 팔을 어깨 높이에서 팔굽을 굽힌다.
2. 사이드 아웃 또는 포인트
서어비스를 행한 타임 쪽의 팔을 어깨 높이로 올린다.
3. 코트의 교대
왼 손을 앞에서 뒤로 돌리고 오른손을 뒤에서 앞으로 돌린다.
4. 타임 아웃
양 손으로 T자 형을 만든다.
5. 경기자 교대
두 팔꿈치를 앞으로 구부리고 돌린다.
6. 경고 및 벌칙 경고는 노랑
카드를 보이고 벌칙 즉 사이드 아웃 또는 포인트는 빨강 카드를 보인다.
7. 퇴장
노랑, 빨강 카드를 동시에 보인다.
8. 자격 상실
노랑, 빨강카드를 양 손에 따로 따로 보인다.
9. 세트 및 경기의 종료
가슴 앞에서 양 손을 교차한다.
10. 서어비스 토스 위반
팔을 펴서 손바닥을 위로 향하여 들어 올린다.
11. 서어비스의 지연
손가락을 펴서 5 또는 3을 표시한다.
12. 블로킹 반칙 및 스크린
손바닥을 앞으로 향하게 하고 양 팔을 수직으로 올린다.
13. 위치 및 로테이션 반칙
손가락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리고 반칙한 경기자를 가리킨다.
14. 인
손 끝으로 코트의 중앙을 가리킨다.
15. 아웃
두 팔을 몸 앞으로 굽혀 손바닥이 뒤로 향하게 하여 위로 들어 뒤로 제친다.
16. 홀딩
한쪽 손바닥을 위로 하여 천천히 들어올린다.
17. 드리블
둘째와 세째 손가락을 펴 2를 표시한다.
18. 오버 타임
한 손을 앞으로 올리고 엄지손가락을 구부리고 4를 표시한다.
19.풋볼
한 손을 굽혀 허리로 부터 아래로 내린다.
20. 터치네트
한 손으로 네트의 상부 또는 옆을 터치한다.
21. 오버 네트
한 손을 네트 위로 넘긴다.
22. 후위 경기자 공격 반칙 또는 상대편의 서어비스를
공격 했을 때 한 손을 높이 올린 다음 팔을 꺽고 반칙한
경기자를 가리킨다.
23. 센터 라인 침범
센터 라인을 가리킨 다음 반칙한 경기자를 가리킨다.
24. 더블 폴트 또는 노 카운트
양손의 엄지 손가락을 어깨 높이보다 약간 높게 수직으로 올린다.
25. 터치 아웃
한 쪽 손 바닥을 수직으로 올리고 그손 바닥으로 비비는 동작을 말한다.
26. 지연 경고 또는 벌칙 노랑(경고) 또는
빨강(벌칙) 카드로 손목을 가리킨다.
27. 인
선심기로 코트를 가리킨다.
28. 아웃
선심 기를 머리 위로 올린다.
29. 터치 아웃 선심
기를 상단에 한손을 댄다.
30. 허용 공간
선심 기를 머리 위에서 좌우로 흔들면서 한쪽
손으로 안테나 또는 앤드라인을 가리킨다.
31. 판정 불가능
가슴 앞에서 양손을 교차한다.
세트시간제한 경기방식(STLPS) 그랜드 챔피온컵 규정
1. 세트시간제한방식은 5세트 3선승제로 진행된다.
2. 첫 4세트는 현행경기방식대로 15점까지 2점차리드로 최고 17점까지 서비스포인트제로 진행된다.
3. 4세트까지 각 세트는 25분 제한으로 진행되며, 선수부상, 외부의 방해, 중단지연과 같은 예외적인 경기중단지연은 제외한다.
한 세트가 25분이내에 세트종료점수에 도달하면 이 세트는 끝난다.
다음 세트는 3분간의 세트인터벌후 시작한다.
4. 첫 4세트까지 세트가 25분이내에 세트를 끝내는 점수를 얻지못할 경우, 이 세트는 기록원의 요청에 의한 30초간의 특별 타임아웃후 랠리포인트 시스템으로 전환한다.
랠리포인트 시스템은 한팀이 2점차 리드로 그 세트를 끝낼때까지 계속된다.
5. 세트 스코어가 2:2가 되었을 때 5세트 (타이브레이크)는 현행 방식대로 15점까지 2점 리드하는 랠리포인트 방식으로 진행하여 경기 승자를 결정한다.
6. 세트 중간 휴식시간은 3분씩이다.
7. 타임아웃, 테크니칼 타임아웃 및 선수교체를 포함한 모든 규정에 따른 중단은 현행 규정대로 한다.
8. 21분 시작부터 25분 종료까지 다음이 적용된다 ;
1) 타임아웃, 선수교체, 부상시 시간멈춤, 부상선수는 즉시 교체되어야 한다.
2) 이 시간내 선수의 첫번째 지연에 대한 제재조처로서 팀에 대한 일반적(general) 경고가 주어진 다. 그러나 같은 팀내 어느 선수던지 재차 지연을 했을 경우 제재조처는 벌칙이 된다.
3) 한 선수가 한 세트의 20분 이전에 경고를 받고 그 세트의 20분~25분내 두번째 지연을 했을 경우 제재조처는 벌칙이 되고 동시에 팀전체에 대한 일반적(general) 경고가 된다.
4) 선수는 플로어를 닦기위하여 경기를 중단할 수 없다. 심판만이 그것을 명령할 수 있다. 플로어 를 닦기 위하여 경기를 중단할 경우 그 선수는 레드카드를 받는다.
e) 각 세트 종료 및 최종 세트(5세트)에 있어서 한 팀이 8점이 되면 주,부심에게 알린다.
f) 경고나 벌칙의 제재를 기록한다.
28.2.3 경기 종료후 기록원은
a) 최종 결과를 기록한다.
b) 기록 용지에 자신이 서명하고 팀 주장과 부심 및 주심의 서명을 받는다.
c) 이의 신청을 했을 경우 그 이의를 자신이 기입하거나 혹은 팀 주장이 항의한 내용에 관한 의견을 기록 용지에 기입할 것을 허가한다.
29. 선심
29.1 위치
29.1.1 공식 국제 경기에 있어서는 4명의 선심이 필수적이다. 선심들은 각 코너에서 부터 1-3m 사이에 그들이 통제할 수 있는 프리 죤에 서있어야 한다. 앤드 라인은 서어비스 코너에 있는 선심이 통제하고 사이드 라인은 맞은편에 있는 선심이 통제한다.
29.1.2 선심의 수가 2인일 경우에는 서어비스 죤 반대편 코너에서 1 -2m떨어진 프리 죤에서 있 어야 한다. 이들은 각자의 가장 가가운 앤드 라인과 사이드 라인을 감시한다.
29.2 의무
29.2.1 선심은 다음과 같이 소기(30*30cm)로 신호함으로써 자기의 임무를 수행한다.
a)볼이 자기 관할 라인 근처에 낙하됐을 때마다 "인"과 "아웃"으로 시그널 한다.
b) 리시이빙 팀이 접촉한 볼이 "아웃"되었을 때 시그널한다.
c) 볼이 허용 공간 외측 네트를 지날 때나 안테나에 접촉할 때 시그널 한다(규칙 15.1.1). 시그 널의 책임자 선심은 볼이 가는 길에 가장 가까이 있는 선심이다.
d) 엔드 라인을 책임지는 선심은 서어버의 풋 폴트를 시그널한다 (규칙 17.5.1)
1.서어비스 허가
서어비스 팀 쪽의 팔을 어깨 높이에서 팔굽을 굽힌다.
2. 사이드 아웃 또는 포인트
서어비스를 행한 타임 쪽의 팔을 어깨 높이로 올린다.
3. 코트의 교대
왼 손을 앞에서 뒤로 돌리고 오른손을 뒤에서 앞으로 돌린다.
4. 타임 아웃
양 손으로 T자 형을 만든다.
5. 경기자 교대
두 팔꿈치를 앞으로 구부리고 돌린다.
6. 경고 및 벌칙 경고는 노랑
카드를 보이고 벌칙 즉 사이드 아웃 또는 포인트는 빨강 카드를 보인다.
7. 퇴장
노랑, 빨강 카드를 동시에 보인다.
8. 자격 상실
노랑, 빨강카드를 양 손에 따로 따로 보인다.
9. 세트 및 경기의 종료
가슴 앞에서 양 손을 교차한다.
10. 서어비스 토스 위반
팔을 펴서 손바닥을 위로 향하여 들어 올린다.
11. 서어비스의 지연
손가락을 펴서 5 또는 3을 표시한다.
12. 블로킹 반칙 및 스크린
손바닥을 앞으로 향하게 하고 양 팔을 수직으로 올린다.
13. 위치 및 로테이션 반칙
손가락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리고 반칙한 경기자를 가리킨다.
14. 인
손 끝으로 코트의 중앙을 가리킨다.
15. 아웃
두 팔을 몸 앞으로 굽혀 손바닥이 뒤로 향하게 하여 위로 들어 뒤로 제친다.
16. 홀딩
한쪽 손바닥을 위로 하여 천천히 들어올린다.
17. 드리블
둘째와 세째 손가락을 펴 2를 표시한다.
18. 오버 타임
한 손을 앞으로 올리고 엄지손가락을 구부리고 4를 표시한다.
19.풋볼
한 손을 굽혀 허리로 부터 아래로 내린다.
20. 터치네트
한 손으로 네트의 상부 또는 옆을 터치한다.
21. 오버 네트
한 손을 네트 위로 넘긴다.
22. 후위 경기자 공격 반칙 또는 상대편의 서어비스를
공격 했을 때 한 손을 높이 올린 다음 팔을 꺽고 반칙한
경기자를 가리킨다.
23. 센터 라인 침범
센터 라인을 가리킨 다음 반칙한 경기자를 가리킨다.
24. 더블 폴트 또는 노 카운트
양손의 엄지 손가락을 어깨 높이보다 약간 높게 수직으로 올린다.
25. 터치 아웃
한 쪽 손 바닥을 수직으로 올리고 그손 바닥으로 비비는 동작을 말한다.
26. 지연 경고 또는 벌칙 노랑(경고) 또는
빨강(벌칙) 카드로 손목을 가리킨다.
27. 인
선심기로 코트를 가리킨다.
28. 아웃
선심 기를 머리 위로 올린다.
29. 터치 아웃 선심
기를 상단에 한손을 댄다.
30. 허용 공간
선심 기를 머리 위에서 좌우로 흔들면서 한쪽
손으로 안테나 또는 앤드라인을 가리킨다.
31. 판정 불가능
가슴 앞에서 양손을 교차한다.
세트시간제한 경기방식(STLPS) 그랜드 챔피온컵 규정
1. 세트시간제한방식은 5세트 3선승제로 진행된다.
2. 첫 4세트는 현행경기방식대로 15점까지 2점차리드로 최고 17점까지 서비스포인트제로 진행된다.
3. 4세트까지 각 세트는 25분 제한으로 진행되며, 선수부상, 외부의 방해, 중단지연과 같은 예외적인 경기중단지연은 제외한다.
한 세트가 25분이내에 세트종료점수에 도달하면 이 세트는 끝난다.
다음 세트는 3분간의 세트인터벌후 시작한다.
4. 첫 4세트까지 세트가 25분이내에 세트를 끝내는 점수를 얻지못할 경우, 이 세트는 기록원의 요청에 의한 30초간의 특별 타임아웃후 랠리포인트 시스템으로 전환한다.
랠리포인트 시스템은 한팀이 2점차 리드로 그 세트를 끝낼때까지 계속된다.
5. 세트 스코어가 2:2가 되었을 때 5세트 (타이브레이크)는 현행 방식대로 15점까지 2점 리드하는 랠리포인트 방식으로 진행하여 경기 승자를 결정한다.
6. 세트 중간 휴식시간은 3분씩이다.
7. 타임아웃, 테크니칼 타임아웃 및 선수교체를 포함한 모든 규정에 따른 중단은 현행 규정대로 한다.
8. 21분 시작부터 25분 종료까지 다음이 적용된다 ;
1) 타임아웃, 선수교체, 부상시 시간멈춤, 부상선수는 즉시 교체되어야 한다.
2) 이 시간내 선수의 첫번째 지연에 대한 제재조처로서 팀에 대한 일반적(general) 경고가 주어진 다. 그러나 같은 팀내 어느 선수던지 재차 지연을 했을 경우 제재조처는 벌칙이 된다.
3) 한 선수가 한 세트의 20분 이전에 경고를 받고 그 세트의 20분~25분내 두번째 지연을 했을 경우 제재조처는 벌칙이 되고 동시에 팀전체에 대한 일반적(general) 경고가 된다.
4) 선수는 플로어를 닦기위하여 경기를 중단할 수 없다. 심판만이 그것을 명령할 수 있다. 플로어 를 닦기 위하여 경기를 중단할 경우 그 선수는 레드카드를 받는다.
추천자료
수영 A+ 완벽정리 [수영, 수영의이해, 역사, 방법, 규칙, 영법] - 수영의 목적과 발달과정, ...
[모든학과] ◆ 스쿼시경기 규칙 ◆
수상스키의 역사, 종류, 경기규칙
테니스의 코트, 용어 및 경기 규칙
[테니스, 테니스 기술] 테니스의 모든 것(테니스의 역사와 규칙 및 테니스의 경기방법과 기술)
[테니스][테니스경기][테니스운동]테니스의 연혁, 테니스의 운동효과, 테니스의 기본 기술과 ...
[농구경기]농구경기의 기원, 농구경기의 연혁, 농구경기의 특성과 효과, 농구경기의 시설과 ...
체육 배구-공격법 교수학습지도안
축구의 역사와 축구규칙 및 축구 경기방법과 축구기술, 축구전술
택견의 역사와 현황 및 경기규칙
[체육학] 스쿼시에 대하여 (스쿼시의 역사, 스쿼시 용어해설, 스쿼시 장비, 스쿼시 경기규칙,...
우리나라 스포츠의 도입(농구 배구 축구 등 스포츠 종목 중 선택1)에 대해 작성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