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올로기 A+ 완벽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이데올로기의 정의

2. 이데올로기의 어원

3. 이데올로기의 특징

4. 이데올로기에 대한 논의

5. 이데올로기와 과학지식간의 상관관계

6. 이데올로기의 기능과 역할

7. 이데올로기의 종류

8. 이데올로기의 다양한 의미분석

9. 이데올로기의 우월성에 대한 소고

10. 이데올로기의 현대적 과제 고찰

11. 참고자료

본문내용

동 계획이나, 철학을 의미한다. 이러한 의미의 이데올로기는 우리가 흔히'좌파(左派)'또는 '우파(右派)'이데올로기라고 부르는 경우이며, 매우 폐쇄적(閉鎖的)인 관념 체계에 해당된다.
(3) 현상 유지를 위하여 사실을 왜곡시키거나 편파적으로 선택한 관념의 체계
이데올로기는 어떤 사회 체계가 그 현상 유지를 위하여 사실을 왜곡시키거나 편파적(偏頗的)으로 선택한 관념의 체계를 의미한다. 이것은 마르크스주의자들이 흔히 말하는 이른바 '허위 의식(虛僞意識)'을 의미하는 것이며, 특히 자본주의 이데올로기를 비난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4) 인간·사회·우주에 관한 포괄적 유형의 인지적·도덕적 신념체계
이데올로기는 가장 넓은 의미로 인간과 사회와 우주에 관한 포괄적 유형의 인지적, 도덕적 신념 체계를 의미한다. 이는 세계관, 가치관, 사상, 기본적 사고 방식이라는 말들과 큰 차이가 없이 사용되는 경우이다. 다만, 이데올로기는 행동 지향적인 신념 체계라는 점에서 이들 개념들과 다를 뿐이다. 또한 이데올로기는 그 함축하는 의미와 내용이 긍정적이냐 부정적이냐에 따라 대체로 두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긍정적 의미에서의 이데올로기는 한 시대의 사회 구성원들이 공유하고 있는 가치, 신념, 태도의 집합으로서의 공통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부정적인 의미에서는 거짓·왜곡·기만(欺瞞)으로 가득 찬 계급의 허위 의식이나 실현성 없는 이론체계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9. 이데올로기의 우월성에 대한 소고
이데올로기나 체제의 우월성 비교 문제에 부닥치게 된다면, 각 이데올로기가 내세우는 유토피아적 청사진이나 주장만을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어느 특정한 이데올로기를 수용하여 발전해 온 체제의 특징을 사실적 근거에 입각해서 비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어느 한 체제를 다른 하나의 체제적 시각으로 비판하기보다는 보편적 기준에 근거해서 비판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여기서 보편적 기준이란 어느 이데올로기가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더 기여하였고, 인간의 존엄성을 더 고양시켰으며, 체제의 갈등 조정과 통합에 얼마만큼 더 합리적으로 기여하였는가, 또 어느 이데올로기나 체제 속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계속 그 곳을 탈출하려고 다른 한쪽으로 옮겨가려 하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10. 이데올로기의 현대적 과제 고찰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이데올로기의 존재상황은 매우 복잡하게 되었다. 첫째, 1940년의 ‘오퍼레이션 리서치(operation research)’에서 시작되는 기술혁신의 전개는, 한편에서는 생산과정의 자동적 기계화(automation)에 의하여 노동자의 육체적 노동을 정신적 노동으로 전환시켰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제품의 규격화와 교통의 발달에 의해 대량소비를 가능하게 하여 사람들을 소비와 레저로 몰아붙였다. 이와 같은 현상이 체제를 초월해서 나타나는 데서 자본주의 사회와 사회주의 사회의 본질적 차이가 소멸된 듯이 생각하는 D.벨, S.M.립세트 등의 ‘이데올로기의 종언(終焉)’론도 대두되었다. 생활수준의 향상이나 사회복지정책의 전개에 의해 바야흐로 계층간의 격차가 사라졌으며, 양체제의 차이를 초월한 대중사회현상이 공통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생산수단의 소유형태가 서로 다르다는 점을 무시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이 계속되는 한 이데올로기 투쟁은 소멸될 수 없는 것이다.
둘째, 기술 발달에 대응하여 매스 미디어가 거대한 힘을 발휘하게 된다. 매스 커뮤니케이션은 본래 ‘사실’의 전달과 감정의 환기라는 2가지 기능을 지니는 바, 현실에서는 방대한 소비자군으로서의 대중에 의해 후자의 오락적 측면을 주로 공급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대량의 정치적 무관심을 유발하기 쉽다. 그리고 대중이 정서적 ‘안식’ 속에서 객관적 현실을 망각할 때 제3의 문제상황으로서 대중민주주의의 병리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노동자나 여성이 주권자로서 정치무대에 등장하는 현재의 사회에서는 어떠한 정치권력도 대중의 지지 없이는 성립되지 않는다. 지배계급은 대중조직이나 매스 미디어를 통해서 사람들의 의식이나 감정에 호소하며 현상유지의 이데올로기를 침투시키려고 한다. 그러나 대중의 이데올로기가 정서화되어 보편적 진리성에서 멀리 떨어지는 때야말로 파시즘이 성립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인 것이다.
셋째, 국제적으로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와 자유민주주의 이데올로기의 대립을 축으로 하여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하는 평화공존의 기초가 약화되고, 양진영의 내면적 분화가 진행되고 있었으나 소련의 붕괴로 사실상 의미를 잃었다. 사회주의 이데올로기는 1956년 스탈린 비판 이후 잇달은 시련 속에서 인류의 해방이라는 목적과 이를 실현하는 수단의 선택 사이에 놓인 모순을 어떻게 극복하는가 하는 문제에 직면하였다. 따라서 개개의 역사적 ·민족적 조건하에서 추구되는, 이른바 자주독립노선의 앞으로의 귀추가 주목된다고 할 것이다. 한편 자유민주주의 진영에서도 미국 ·프랑스의 대립을 비롯한 각국의 경제적 이해에 얽힌 분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미국의 세계전략에 대해서도 일치된 지지는 얻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또 아시아 ·아프리카 ·라틴아메리카의 신흥 제국에서도 그 경제적 ·정치적 자립의 방도를 놓고 내셔널리즘과 인터내셔널리즘을 어떻게 결합하는가 하는 과제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거기에는 사회주의 대 자유민주주의의 이데올로기적 대립이 반영되어서 중립적 입장에서의 결속이 어려운 상황에 있다.
이와 같이 현대의 이데올로기는 국내적으로나 국제적으로 재편성의 국면을 맞고 있다. 이데올로기는 소위 하부구조에 의해서 일방적, 그리고 전면적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어느 정도의 상대적 자율성을 간직하면서 하부구조에 작용을 끼친다. 그러므로 이데올로기를 떠맡는 사람들 스스로의 입장이 문제가 된다. 이데올로기에는 객관적인 ‘진위(眞僞) ·정사(正邪)의 기준’이 있는(이의 부정은 니힐리즘일 수밖에 없다) 것이니만큼 사람들에게 정열과 과학적 분석의 올바른 결부 속에서 그것을 확보하는 부단한 노력이 과해지는 것이다.
11. 참고자료
데이비드 맥렐런, 이데올로기, 이후
백산서당 편집부, 철학의 기초이론, 백산서당
M. 크랜스톤 외, 이재석 역, 이데올로기의 이해, 민족문화사

추천자료

  • 가격1,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01.30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1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