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이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교육과정의 개념
2. 교육과정 개념 정립의 기본전제
3. 교육과정의 모형
4. 나만의 생각

본문내용

친바 없고 따라서 학생도 배우지 않았다. 영역 2는 국가에서는 가르치려고 의도한 바 없으나 사회 변화 · 학문 발전에 따라 교사가 독창적으로 가르쳤다. 그러나 학생들에게 학습되지 않았다. 영역 3은 국가나 교사가 학생들에게 가르치려고 한바 없는데 학교생활을 하는 동안에 학생들이 은연중에 가지게 되는 경험, 즉 잠재적 교육과정을 말한다. 영역 4는 국가 및 사회적 수준에서 가르치도록 정해져 있고 교사도 가르쳤지만 학생들 경험 속에는 침투하지 못하고 있다. 영역 5는 국가 및 사회적 수준에서는 관심이 없으나 교사는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가르쳤고 학생도 배웠다. 영역 6은 국가 및 사회적 수준에서 가르치도록 정해져 있는데도 교사 수준에서는 관심 밖에 있었다. 그러나 학생들은 교사의 가르침이 없이 배우고 있다. 영역 7은 가장 이상적인 상태이며 세 가지 수준간의 일치를 보고 있는 삼위일체의 모습이다.
이상에서 7가지 영역에 걸쳐서 국가 및 사회적 수준 · 교사 수준 · 학생 수준의 교육과정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가장 이상적 형태는 영역 7이며 이와 같은 교육과정이 나타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의 모색이 요망된다.
4. 나만의 생각
교육은 일륜지대사라고 할 만큼 중요하다. 미래를 이끌어 나갈 인재들을 육성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교육은 한곳에 정체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가 변화됨에 따라서 교육도 그에 발맞추어 변화해야 한다. 사회가 변화하면 그에 따른 가치관과 기술 또한 변화한다. 그렇기 때문에 교육도 시대적 요구에 맞추어서 변화해 사회와 교사 그리고 학생들을 충족시켜야 한다. 즉 교육을 고전이나 문화 유산이라고 이해하던 사회와 교과가 탐구과정의 이해라고 생각하게 되는 시기에는 그 교과과정이 변화하기 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과정은 시대적 요구와 사회적 변화에 따라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 학문중심 교육과정, 인간중심 교육과정, 사회재건중심 교육과정으로 발전해 왔으며 교육과정에 대한 다른 관점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재개념화와 잠재적 교육과정이 있다. 이렇듯 계속된 교육과정의 발달은 어떤 교육과정이 최우선적으로 옳거나 그르다는 결정을 내려 한가지만을 사용할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취향이나 교사의 능력에 따라서 또 사회의 수용성을 생각하여 탄력적으로 유연하게 복합적으로 사용 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교육과정은 사회, 교사와 학생들에게 괴리되지 않아야 한다. 일부러 요구하거나 압력을 주는 것은 오히려 그 반대의 급부를 발생하게 할 수도 있다. 때문에 성공적인 산출물을 내기 위해서는 어떠한 한 분야만의 열성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사회와 교사와 학생들의 모든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에 전반에 걸쳐 있는 의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학생들은 교사가 가르치는 것만을 가지고 임할 것이 아니라, 자신의 능력과 개성에 맞추어 그 능력을 개발하는 노력과 그것을 뒷받침 할 수 있는 사회의 능력이 필요할 것이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항상 열성적으로 수업하며 스스로 실력을 향상하는 능력이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1.30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1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