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와 원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신화와 원형
<목 차>
Ⅰ. 신화의 뜻과 성격
1. 신화, 그리고 제의의 뜻
2. 신화 비평의 이론과 방법

Ⅱ. 원형의 이해
1. 원형의 정의
2. 집단 무의식과 원형

Ⅲ. 원형비평의 전개

Ⅳ. 신화 요소, 또는 원형의 유형
- N.프라이의 경우-제의, 그리고 사계의 신화

Ⅴ. 원형비평의 실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 신화에서 가장 깊은 내면의 정신적 정체를 밝힌 노력은 매우 주목할 만한 것이다. 그러나 신화와 원형비평의 지나친 신뢰는 다음 몇가지 문제점을 가져오기도 한다.
첫째, 원형, 단일신화, 또는 문학의 ‘대원리’를 추구하다보면 신화비평은 어느 일정한 동일성이나 예상성에 빠질 수 있다. 즉, 문학에서 되풀이 일어나는 기본적 신화형성상의 패턴을 강조함으로써, 개별적이고 각기 특이한 문학작품들을 단일한 작품으로 융합하려는 위협에 빠지게 된다.
둘째, 작품의 기교나 예술로서의 작품의 특징보다도 문학작품의 주제나 소재를 자세히 음미함에 있어 신화비평은 지금까지 거의 전부 분석적이고 기술적이었지 가치평가적인 것은 아주 드물었다. 사실 프라이는 비평의 주된 기능을 작품을 해석하는 것이지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고 논하고 있다.
셋째, 문학작품을 가장 원천적인 근원으로 돌아가려는 시도에서, 신화비평은 문학을 때로는 원시적 표현의 한 형식으로 환원해 버리고 예술가를 어린이나 원시인과 동일한 것으로 그려놓고 있다고 지적하였다.
그러나 이런 점들은 매우 논란의 여지가 많고 토론이 요구되는 것이지만 문학의 신화론적 묘사가 원시적이고 비합리적인 표현과 밀접한 관계 또는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는 것은 순전히 분석적 언명이지 경멸적인 판단이 아님은 두말할 것도 없다. 그러나 이런 위험이나 그 밖의 다른 위험들이 신화론적 접근법에 숨겨져 있다손 치더라도 이것들은 편협하거나 붕괴하나는 체계에나 특징적인 그런 위험들이 아니라 역동적이고, 진지하며 야심에 찬 비평에는 으레 따르는 그런 위험들이다. 우리가 보아온 바와 같이 현대 비평의 그 어느 형태도 모험에서 벗어나거나 위험성이 없이 활동할 수 있는 것은 하나도 없다. 비평이 문학 자체만큼 값어치가 있으려면, 그것은 안전한 것 이미 알려진 것 관습적인 것, 일상적인 것을 초월하여 나아가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우리는 결국 넓고도 동시에 깊은 비평적 방법론을 원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런 비평의 문제점을 이해하면서 신화와 원형의 비평적 방법을 활용한다면 문학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넓혀갈 수 있으리라는 가능성도 긍정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N. 프라이, 임철규 역, 「비평의 해부」, 한길사, 2006
이상섭,「신화비평의 방법」, 문학연구의 방법, 탐구당, 2005
김용권,「신화비평- 현대의 비평이론」, 월간문학. 2002
김용권,「신화비평- 현대문학의 저류」, 고대문학 14집,2003
  • 가격1,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2.03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5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