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강점과 약점을 정확히 파악하기
II. 창과 방패 찾기
① 불균형이 파괴적 진입 기업의 탄생을 촉진하는 방법
② 불균형의 칼과 창을 갖춘 기업을 파악하기
③ 높은 잠재력을 가진 파괴적 개발이 실패하는 환경
II. 창과 방패 찾기
① 불균형이 파괴적 진입 기업의 탄생을 촉진하는 방법
② 불균형의 칼과 창을 갖춘 기업을 파악하기
③ 높은 잠재력을 가진 파괴적 개발이 실패하는 환경
본문내용
다른 기업은 하기 싫어하는 일을 함(대응 공격을 막는 방패를 제공)
기업규모 대비 시장의 크기
목표 고객
기존 비즈니스 모델 대비 시장의 비즈
니스 모델
기술
불균형
기업이 다른 기업은 할 수 없는 일을 함(공격 시에 사용할 칼을 제공)
성공에 필요한 프로세스와 기존 프로
세스 사이의 부조화
□ 두 기업이 완전히 다른 행동을 취하면서도 각자 이치에 맞는다고 할 때는 동기 불균형이 있다는 신호임
○ 예) 90년대 시스코는 좀 더 많은 네트워크 장비 시장 확보를 위해 힘쓴 반면, IBM은 네크워킹 장비시장을 떠나 고급 서비스시장에 전념함
□ 기술불균형은 한 회사가 동일한 일을 반복적으로 완수함으로써 경쟁자가 하지 못하는 뭔가를 할 수 있는 자기만의 능력을 개발했을 때 생겨남
③ 높은 잠재력을 가진 파괴적 개발이 실패하는 환경
□ 파괴적 과정이 예상경로를 벗어나는 2가지 특별한 환경
○ 산업 맥락상 기존 기업의 도피가 여의치 않은 상황
○ 진입기업의 기술 불균형 창출 실패로 기존기업이 맞대응하는 상황
Case1: 도피가 여의치 않은 산업 맥락
□ 기존기업이 로엔드 시장을 포기할 수 있으려면 반드시 적절한 크기의 매력적인 고급시장이 존재해야 하나, 그렇지는 못한 경우
○ 기존기업이 고급 시장의 불만족 고객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경우
○ 시장에 불만족 고객이 존재하는 않는 경우
○ 비용구조와 비즈니스 모델 상 기존기업이 로엔드시장을 포기할 수 없는 경우
□ AT&T와 MCI의 장거이 통신정책의 사례
Case2: 충분히 개발된 불균형의 부족은 자연적으로 맞대응을 유도
□ 기존기업이 파괴적 공격자들에 대응하기로 결정하는 시기는?
○ 기존기업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지 못하거나 파괴적 사업에 부합하는 독특한 기술을 연마하지 못할 경우
○ 진입기업이 시장다운 시장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면 기존 기업은 내부자원을 결집해 진입기업과 같은 혁신의 길로 나서게 됨
□ 기존 기업이 맞대응을 시도한다는 신호는?
○ 기존기업이 진입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모방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려고 노력하는 경우
○ 파괴적 진입 기업들 가운데 한 곳을 인수해서 통합하려는 노력
□ 기존 기업은 신규 고객들에게 어필하기 위해 본래 갖고 있던 제품과 서비스를 확장함으로써 파괴에 맞대응 하게 됨
대응전략
정 의
신호
양보
시장을 진입기업에
넘기는 기존 기업
핵심고객들에게 다시 집중하기로 발표
하는 회사
로엔드 시장 포기
로엔드 제품을 포기하는 계획
맞대응
내부자원을 활용해서 공격에 맞서 싸우려는 기존 기업
파괴적 혁신 기업을 세우거나 인수하
는 기업
성장
주도형
진입기업의 고객을 목표로 삼는 기존 기업
핵심 제품의 변형을 통해 신생 기업의
시장을 공략 목표로 삼는 기존 기업
진입기업의 시장이 전략적 우선순위라
는 발표
방어적
신생기업의 진입을 막기 위해 기존 고객 주위에 벽을 세우는 기존 기업
기존 고객을 기반으로 하는 로엔드 시
장에 신제품을 출시하는 기존 기업
진입 기업의 시장에 우선순위를 두지
않겠다는 발표
기업규모 대비 시장의 크기
목표 고객
기존 비즈니스 모델 대비 시장의 비즈
니스 모델
기술
불균형
기업이 다른 기업은 할 수 없는 일을 함(공격 시에 사용할 칼을 제공)
성공에 필요한 프로세스와 기존 프로
세스 사이의 부조화
□ 두 기업이 완전히 다른 행동을 취하면서도 각자 이치에 맞는다고 할 때는 동기 불균형이 있다는 신호임
○ 예) 90년대 시스코는 좀 더 많은 네트워크 장비 시장 확보를 위해 힘쓴 반면, IBM은 네크워킹 장비시장을 떠나 고급 서비스시장에 전념함
□ 기술불균형은 한 회사가 동일한 일을 반복적으로 완수함으로써 경쟁자가 하지 못하는 뭔가를 할 수 있는 자기만의 능력을 개발했을 때 생겨남
③ 높은 잠재력을 가진 파괴적 개발이 실패하는 환경
□ 파괴적 과정이 예상경로를 벗어나는 2가지 특별한 환경
○ 산업 맥락상 기존 기업의 도피가 여의치 않은 상황
○ 진입기업의 기술 불균형 창출 실패로 기존기업이 맞대응하는 상황
Case1: 도피가 여의치 않은 산업 맥락
□ 기존기업이 로엔드 시장을 포기할 수 있으려면 반드시 적절한 크기의 매력적인 고급시장이 존재해야 하나, 그렇지는 못한 경우
○ 기존기업이 고급 시장의 불만족 고객들에게 접근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한 경우
○ 시장에 불만족 고객이 존재하는 않는 경우
○ 비용구조와 비즈니스 모델 상 기존기업이 로엔드시장을 포기할 수 없는 경우
□ AT&T와 MCI의 장거이 통신정책의 사례
Case2: 충분히 개발된 불균형의 부족은 자연적으로 맞대응을 유도
□ 기존기업이 파괴적 공격자들에 대응하기로 결정하는 시기는?
○ 기존기업의 관심을 끌지 못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하지 못하거나 파괴적 사업에 부합하는 독특한 기술을 연마하지 못할 경우
○ 진입기업이 시장다운 시장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면 기존 기업은 내부자원을 결집해 진입기업과 같은 혁신의 길로 나서게 됨
□ 기존 기업이 맞대응을 시도한다는 신호는?
○ 기존기업이 진입기업의 제품과 서비스를 모방한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려고 노력하는 경우
○ 파괴적 진입 기업들 가운데 한 곳을 인수해서 통합하려는 노력
□ 기존 기업은 신규 고객들에게 어필하기 위해 본래 갖고 있던 제품과 서비스를 확장함으로써 파괴에 맞대응 하게 됨
대응전략
정 의
신호
양보
시장을 진입기업에
넘기는 기존 기업
핵심고객들에게 다시 집중하기로 발표
하는 회사
로엔드 시장 포기
로엔드 제품을 포기하는 계획
맞대응
내부자원을 활용해서 공격에 맞서 싸우려는 기존 기업
파괴적 혁신 기업을 세우거나 인수하
는 기업
성장
주도형
진입기업의 고객을 목표로 삼는 기존 기업
핵심 제품의 변형을 통해 신생 기업의
시장을 공략 목표로 삼는 기존 기업
진입기업의 시장이 전략적 우선순위라
는 발표
방어적
신생기업의 진입을 막기 위해 기존 고객 주위에 벽을 세우는 기존 기업
기존 고객을 기반으로 하는 로엔드 시
장에 신제품을 출시하는 기존 기업
진입 기업의 시장에 우선순위를 두지
않겠다는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