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의 관점으로 역사를 만들어 내는 것 이 두 가지가 역사를 배우는 이유가 될 것이다.
우리는 TV 속에서 연예인, 정치인등의 만들어진 이미지를 보고 판단하고 그들이 어떤 생각으로 여러 가지 일들을 했을까 생각하며 이해하지 못할 때도 있다. 그러나 역사가들은 과거의 사람들에게 감정을 이입하며 생각한다. 모든 역사는 현대사이고 역사가의 마음에서 이루어진다는 말 결코 쉽게 듣고 넘길 수 없는 것이다.
우리는 역사를 비판적 시각에서 견지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시각들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회의주의로 빠져서는 안 될 것이다. 과거는 분명히 존재하는 것이다. 그 것을 각자가 다른 방식으로 포장한 역사를 우리는 테이프를 뜯어내거나 그냥 포장지를 바로 찢거나 아님 오히려 더 엉켜가며 접근하고 있는지 모른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이 역사를 권력의 시녀에서 재위치할 수 있게 해주며 생산적인 모습들을 보일 것이라고 확신한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진실일지 모르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거기까지 이르는데 공정한 플레이를 하는 것이다. 그것만으로 우리는 기존의 역사를 배우는 과정에서 조금은 성숙해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역사란 것에 명확한 정의와 왜 배워야하는지를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냥 받아들이는 것이 아닌 한번쯤 의심하고 생각해 볼 수 있는 자세가 중요하다. 그러한 의미에서 역사나 역사인물들을 재평가하고 토론하거나 재구성해보는 방식도 좋을 것 같다. 그렇다고 역사분석에만 치중하다가는 너무 어렵고 회의적인 결과로 빠질지도 모르겠다.
어디까지 믿고 어디까지 의심해야하는가? 각각의 교육과정 속에서 역사는 어떤 의무감으로 존재해야 하는가? 세계사는 어떤 식으로 존재해야 하는가? 사실 이런 여러 가지 답답함이 남지만, 그것은 앞으로 계속하여 고민해야 할 문제로 남겨둔다.
우리는 기존의 역사를 부정함으로써 우리의 안위도 포기해버렸는지 모른다. 과학과 수학에서의 사고처럼 분명하고 확실한 정답은 나오지 않을지 모르지만, 역사란 아직도 무궁무진하고 진실을 꿰뚫은 사람이 없기 때문에 우리 모두를 위한 역사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답을 해본다.
분명한 것은 역사는 인간의 삶이 남겨 놓은 발자취로만으로 기억되지 않으며, 역사를 잊고 산다면 오늘을 사는 우리는 길을 잃게 된다는 것이다. 새로운 희망을 꿈꾸는 방법도 가르쳐 주는 역사는 우리의 나침반이라고 확실히 말할 수 있다.
우리는 TV 속에서 연예인, 정치인등의 만들어진 이미지를 보고 판단하고 그들이 어떤 생각으로 여러 가지 일들을 했을까 생각하며 이해하지 못할 때도 있다. 그러나 역사가들은 과거의 사람들에게 감정을 이입하며 생각한다. 모든 역사는 현대사이고 역사가의 마음에서 이루어진다는 말 결코 쉽게 듣고 넘길 수 없는 것이다.
우리는 역사를 비판적 시각에서 견지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포스트모더니즘적인 시각들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회의주의로 빠져서는 안 될 것이다. 과거는 분명히 존재하는 것이다. 그 것을 각자가 다른 방식으로 포장한 역사를 우리는 테이프를 뜯어내거나 그냥 포장지를 바로 찢거나 아님 오히려 더 엉켜가며 접근하고 있는지 모른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들이 역사를 권력의 시녀에서 재위치할 수 있게 해주며 생산적인 모습들을 보일 것이라고 확신한다. 우리에게 중요한 것은 진실일지 모르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거기까지 이르는데 공정한 플레이를 하는 것이다. 그것만으로 우리는 기존의 역사를 배우는 과정에서 조금은 성숙해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역사란 것에 명확한 정의와 왜 배워야하는지를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냥 받아들이는 것이 아닌 한번쯤 의심하고 생각해 볼 수 있는 자세가 중요하다. 그러한 의미에서 역사나 역사인물들을 재평가하고 토론하거나 재구성해보는 방식도 좋을 것 같다. 그렇다고 역사분석에만 치중하다가는 너무 어렵고 회의적인 결과로 빠질지도 모르겠다.
어디까지 믿고 어디까지 의심해야하는가? 각각의 교육과정 속에서 역사는 어떤 의무감으로 존재해야 하는가? 세계사는 어떤 식으로 존재해야 하는가? 사실 이런 여러 가지 답답함이 남지만, 그것은 앞으로 계속하여 고민해야 할 문제로 남겨둔다.
우리는 기존의 역사를 부정함으로써 우리의 안위도 포기해버렸는지 모른다. 과학과 수학에서의 사고처럼 분명하고 확실한 정답은 나오지 않을지 모르지만, 역사란 아직도 무궁무진하고 진실을 꿰뚫은 사람이 없기 때문에 우리 모두를 위한 역사가 될 수 있을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답을 해본다.
분명한 것은 역사는 인간의 삶이 남겨 놓은 발자취로만으로 기억되지 않으며, 역사를 잊고 산다면 오늘을 사는 우리는 길을 잃게 된다는 것이다. 새로운 희망을 꿈꾸는 방법도 가르쳐 주는 역사는 우리의 나침반이라고 확실히 말할 수 있다.
추천자료
[교육학개론] 독일교육의 이해와 문제점 분석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에 나타나는 구보의 의식연구
이기영의 생애와 문학
[서사 교육론] 서사교육에 대해서
악의 관점에서 본 인간에 대한 이해
하버마스의 이론과 시민사회
[막장드라마]막장드라마가 뭔가요? 막장드라마의 등장배경과 문제점, 막장스러운 드라마들의 ...
매춘에대한입장 - 규제주의
내 삶의 의미
스마트폰을 통한 사회변화, 정보사회 변화, 특징, 기술 결정론, 사회 변동, 전략, 변화, 특징...
고교 선택제와 고교 평준화,고교평준화,고교선택제,고등학교평준화
[성, 사랑, 사회 B형] 일상 속에서 여성이 겪게 되는 차별에는 어떤 것이 있고, 이러한 차별...
[문학교육론] 청소년 문학의 개념과 특징 - 청소년 문학에 대한 다양한 정의, 발견적 개념인 ...
[교육사 공통] 우리나라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기까지의 대표적 교육사상가 중 1명을 선정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