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만 [길거리 학습특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결과로서의 계획으로 ‘계획(plan)’을 정의한다. 반대로 동사로서의 계획관, 과정으로서의 계획으로 ‘계획(planning)’을 정의한다. 이 둘의 차이점을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대강 이런 식이다. 만약 내가 영어를 부사에 대해 2시간동안 섭렵하겠다고 계획을 짰다고 하자. 그럼 내가 2시간 뒤에 부사에 대해 완벽히 정리를 하지 못했다면 내 계획은 좌절된 것이 된다. 하지만 과정으로서의 계획에서는 영어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명사부분이 궁금해져서 명사부분을 공부했다거나, 중간에 단어를 외우며 했다거나 식의 변수에 대해 유연하게 대응하면서 계획을 수정보완해 나간다.
책에서는 교육공학이 앞에서 정의한 계획관의 전자에 해당한다고 보고 있다. 잘 생각해보면 교육공학이 특정 교육목표를 설정해놓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수립하는 것이니..... 그러나 나는 꼭 그렇지만은 않다고 생각한다. 교육공학이 과정에서 오는 것들을 간과하고 결과적인 것으로 평가를 하기는 하지만 평가방식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으며, 또 피드백을 통해서 과정에서 오는 오점을 바로 잡을 수 있고, 결과에서 오차가 생겼을 때 다시 한번 전체과정을 돌이켜 볼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한다고 본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8.02.12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06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