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Ⅱ. 본론
1. 리더십의 의의
2. 리더십의 제 이론
3. 리더십의 유형
Ⅲ. 리더십 연구에 따른 학문적 사례
< 참고문헌>
Ⅱ. 본론
1. 리더십의 의의
2. 리더십의 제 이론
3. 리더십의 유형
Ⅲ. 리더십 연구에 따른 학문적 사례
<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도.
*반대 개념: 거래적(교환적) 리더십십(Transactional Leadership)-리더와 부하와의 거래관계
Ⅲ. 리더십 연구에 따른 학문적 사례
1. 부산지역 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상황적 리더십 유형에 관한 연구 김수환, 손광훈, 『한국지역사회복지학』제12권, 부산지역 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상황적 리더십 유형과 경쟁적 가치관리 기술에 관한 연구, 2002, 12.
본 연구는 부산지역 사회복지관 종사자 391명을 대상으로 Hersey와 Blanchard(1996)가 제시한 4가지 리더십 유형 김병식, 박용순, 변보기, 윤도현, 『사회복지행정론』, 2005, p.102.
, 6가지 스타일 프로파일과 Quinn(1984)이 제시한 4가지 유형과 8가지 관리자 역할간의 관계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부산지역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의 경쟁적 가치관리 기술 4가지 중에 대인관계 기술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고, 조정기술을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8가지 역할 중에 지도자의 역할을 많이 하고 있고, 감시자의 역할을 가장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황대응적 리더십의 4가지 기본형과 6가지 스타일 프로파일에서 부산지역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은 S2, S3, S1, S4 순으로 나타나 대체로 과업수행 역할을 조직화하고, 그 역
할의 범위나 한계를 정하는데 있어서 확실하게 행동하며, 의사소통의 통로를 개방하고 경청, 지원하는 등의 행동을 촉진하는 S2 스타일을 많이 갖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6가지 스타일 프로파일에서는 대체로 S1S2가 가장 많아서 현재 부산지역 사회복지관은 젊고, 일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직책에 따른 상황적 리더십의 6가지 스타일을 보면, 직급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타일은 최고관리자 S2S3 스타일, 중간관리자와 실무자 S1S2이다.
특히 S2S3와 S1S2 스타일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84.5%를 자치하고 있어서 이 두 스타일을 분석해 본 결과 전체 45.6%를 차지하는 S1S2 스타일에서는 최고관리자와 중간관리자는 S1(높은과업-낮은관계) → S2(높은과업-높은관계)로 스타일이 진행되는 반면, 실무자는 S2(높은과업-높은관계) → S1(높은과업-낮은관계)의 유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황적 리더십 스타일 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직급별 개발해야할 내용은 최고관리자나 상위 중간관리자의 경우 S3S4가 가장 이상적인 스타일인데 반하여 부산지역 최고관리자들 가운데 전혀 나타나지 않았고, 중간관리자의 경우도 2%만이 응답하고 있어서 최고관리자나 상위 중간관리자들의 리더십 스타일에 대한 점검과 S3S4 스타일에 관한 학습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Hersey, Paul, Blanchard, Kenneth H. and Johnson, Dewey E. (2000).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Prentice Hall.
김병식, 박용순, 변보기, 윤도현, 『사회복지행정론』, 창지사, 2005.
*반대 개념: 거래적(교환적) 리더십십(Transactional Leadership)-리더와 부하와의 거래관계
Ⅲ. 리더십 연구에 따른 학문적 사례
1. 부산지역 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상황적 리더십 유형에 관한 연구 김수환, 손광훈, 『한국지역사회복지학』제12권, 부산지역 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상황적 리더십 유형과 경쟁적 가치관리 기술에 관한 연구, 2002, 12.
본 연구는 부산지역 사회복지관 종사자 391명을 대상으로 Hersey와 Blanchard(1996)가 제시한 4가지 리더십 유형 김병식, 박용순, 변보기, 윤도현, 『사회복지행정론』, 2005, p.102.
, 6가지 스타일 프로파일과 Quinn(1984)이 제시한 4가지 유형과 8가지 관리자 역할간의 관계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부산지역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의 경쟁적 가치관리 기술 4가지 중에 대인관계 기술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고, 조정기술을 적게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8가지 역할 중에 지도자의 역할을 많이 하고 있고, 감시자의 역할을 가장 적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황대응적 리더십의 4가지 기본형과 6가지 스타일 프로파일에서 부산지역 사회복지관 종사자들은 S2, S3, S1, S4 순으로 나타나 대체로 과업수행 역할을 조직화하고, 그 역
할의 범위나 한계를 정하는데 있어서 확실하게 행동하며, 의사소통의 통로를 개방하고 경청, 지원하는 등의 행동을 촉진하는 S2 스타일을 많이 갖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6가지 스타일 프로파일에서는 대체로 S1S2가 가장 많아서 현재 부산지역 사회복지관은 젊고, 일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관 종사자의 직책에 따른 상황적 리더십의 6가지 스타일을 보면, 직급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스타일은 최고관리자 S2S3 스타일, 중간관리자와 실무자 S1S2이다.
특히 S2S3와 S1S2 스타일은 전체 조사대상자의 84.5%를 자치하고 있어서 이 두 스타일을 분석해 본 결과 전체 45.6%를 차지하는 S1S2 스타일에서는 최고관리자와 중간관리자는 S1(높은과업-낮은관계) → S2(높은과업-높은관계)로 스타일이 진행되는 반면, 실무자는 S2(높은과업-높은관계) → S1(높은과업-낮은관계)의 유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황적 리더십 스타일 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직급별 개발해야할 내용은 최고관리자나 상위 중간관리자의 경우 S3S4가 가장 이상적인 스타일인데 반하여 부산지역 최고관리자들 가운데 전혀 나타나지 않았고, 중간관리자의 경우도 2%만이 응답하고 있어서 최고관리자나 상위 중간관리자들의 리더십 스타일에 대한 점검과 S3S4 스타일에 관한 학습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Hersey, Paul, Blanchard, Kenneth H. and Johnson, Dewey E. (2000).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Prentice Hall.
김병식, 박용순, 변보기, 윤도현, 『사회복지행정론』, 창지사, 2005.
추천자료
웹의 상호작용성, 컨텐츠, 커뮤니티가 웹 브랜드 흡입력과 충성도에 미치는
낙인과 상호작용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 시카고 학파 허버트 블루머(Herbert Blumer)를 중심으로
미시이론인 상호작용론의 의의와 한계
상징적 상호작용 이론의 교육의 적용
상징적 상호작용론
인간과 상호작용하는 환경체계의 영향 중 Bronfenbrenner의 인간생태체계(미시체계, 중간체계...
상징적 상호작용이론과 제 이론 비교분석
교사-아동간의 상호작용
요리영역의 상호작용 - 바퀴모양 샌드위치 만들기 [보육]
성격의 상호작용론(성격의 일관성, 성격의 관계성, 성격변화)
형제자매간의 상호작용의 특성은 인성발달,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줍니다. 본인 및 본인의 형...
형제자매간의 상호작용의 특성은 인성발달, 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줍니다. 본인 및 본인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