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셸 푸코(Michel Paul Foucault)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푸코의 생애
2. 푸코 사상의 발전 과정
3. 푸코의 훈육론
☉ 참고 문헌

본문내용

히 비교, 분리, 계층화, 동질화시킨다. 가정, 학교, 회사, 군대, 공장 등에서 전방위적으로 구사되는 다양한 규범적 판단들을 상기해 보라. 규범적 판단은 인간의 성장과 사회화의 전체 과정에 물 샐 틈 없이 관여하고 있다. 일상의 모든 순간에 우리를 융단폭격하고 있다시피 한 ‘일찍 자라’ ‘몸을 깨끗이 하라’ ‘떠들지 마라’ ‘열심히 일하라’ ‘성실하라’ 등도 푸코적 관점에서는 우리의 몸과 마음을 주류적 가치관과 생활 형태에 맞게 길들이는 규범적 판단의 연속인 것이다. 이것에 동조하지 않거나 저항하는 사람은 그 순간 결격자로 찍혀 처벌되고 정상화되어야 할 대상으로 전락한다. 이때 처벌은 이중적 효과를 갖는데, 그것은 교화 내지는 교정 효과와 보상 효과이다. 예를 들어 학교에서의 시험성적에 따른 차등 대우는 처벌과 동시에 보상의 역할을 수행한다.
(3) 검사(시험)
마지막으로 ‘검사’는 관찰과 규범적 판단을 결합한 것이다. 검사는 개개인을 분류하고 객관화시킴으로써 모든 인간을 특정 방식으로 규격화한다. 나아가 검사는 개인과 집단을 효율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개인에 대한 자료를 축적하고 개인을 등록시킨다. 효과적인 검사의 결과 인간은 기술(記述)되고 분석될 수 있는 객체적 대상으로 환원된다. 그 결과 개인은 특정 규범에 맞춰 끊임없이 제재되고 통제될 수 있는 대상으로 전락하는 것이다. 통제해야 할 필요가 증가할수록 개인에 대해 더 알아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시험은 강화되며, 개인에 대한 각종 기록(검사 기록, 성적 기록, 보고서, 경력 등)도 강화된다. 즉, 시험은 권력의 한 형태로서 권력을 정당화하며, 객체화와 계량화라는 기제를 통해 학생을 억압한다. 이렇게 보면 학교란 시험이라는 기술적 통제를 통해 학생들을 순응화시키는 곳이라 할 수 있다. 인류학, 사회학, 통계학, 보건학 등 근대에 창출된 사회과학은 예외 없이 검사라는 규율권력 기법에 수반된 학문적 결과물이라고 푸코는 주장한다.
‘감시와 처벌’은 인간의 역사가 꾸준히 문명화되고 진화되어 왔다는 우리의 상식을 혁명적으로 뒤집는다. 근대 휴머니즘의 찬란한 성과가 무엇을 숨기고 있는가를 푸코만큼 정밀하게 드러내 폭로하는 사상가는 드물 것이다. 표준적 역사 서술을 전복시켜 ‘바깥으로부터의 사유(思惟)’를 실험함으로써 푸코는 우리의 정치적 상상력을 극대화시킨다. 그의 이단적 결론을 우리가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야 할 필요는 없다. 정작 중요한 것은 ‘감시와 처벌’이 생생하게 증명한 것처럼 우리가 ‘다르게’ 생각함으로써 실천의 지평(地平)도 획기적으로 확장되고 심화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http://blog.daum.net/nonsul/11267956?nil_profile=blog, 윤평중 한신대 교수ㆍ철학
참고 문헌
박나나, “푸코의 훈육론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논총 제22집, 2005.
푸코, 오생근 역, 『감시와 처벌』, 서울: 나남 출판사, 2002.
http://blog.daum.net/nonsul/11267956?nil_profile=blog, 윤평중 한신대 교수ㆍ철학.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2.26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23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