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다. 그는 삶을 고양시키기 위해 그리스도교의 '노예도덕'을 버리고 '신은 죽었다'고 선언한다. 생(生)철학자인 베르그송은 실증주의와 유물론에 반대해서 끊임없이 운동하고 성장하는 삶에 주목한다. 이것은 생명의 약동에 의해 창조적으로 진화한다. 그것은 합리적으로는 파악할 수 없고 직관으로 체험해야 한다. 이런 흐름은 실존주의에 연결되어 카를 야스퍼스는 실존의 해명을 통한 초월을, 마르틴 하이데거는 현존재의 실존론적·존재론적 해석학을, 사르트르는 의식의 현상학을 펼친다.
인간에 관한 논의는 철학적 인간학의 중심이다. 현대의 철학적 인간학은 막스 셸러에 의해 기초가 마련되었는데, 그는 〈우주에서 인간의 지위 Die Stellung des Menschen im Kosmos〉(1928)에서 인간과 동물의 행동을 비교하고 인간의 '세계개방성'을 동물의 '환경에 구속됨'과 구별하여 인간의 지위를 정신에서 찾는다. 아르놀트 겔렌은 경험과학을 인간학 관점에서 종합하여 동물이 고도로 전문화되어 있고 확고한 본능을 지닌 데 비해 인간은 전문화되어 있지 않은 '결핍 존재'임을 밝히려고 했다. 인간은 자신의 행위로 그 결핍을 보충해야 했고 그리하여 높은 정신적·문화적 성취를 이루었다고 본다. 이와 달리 아돌프 포르트만은 생물학과 비교행동 연구에서 인간이 이미 생물학적으로 정신적·문화적 성취와 인격적·사회적 관계, 즉 '인간적인'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고도로 '전문화'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헬무트 플레스너는 인간이 자기 삶의 중심을 거듭 반성하고 이를 초월해서 '탈중심'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동물의 '중심성'과는 다르다고 본다.
인간에 관한 논의는 철학적 인간학의 중심이다. 현대의 철학적 인간학은 막스 셸러에 의해 기초가 마련되었는데, 그는 〈우주에서 인간의 지위 Die Stellung des Menschen im Kosmos〉(1928)에서 인간과 동물의 행동을 비교하고 인간의 '세계개방성'을 동물의 '환경에 구속됨'과 구별하여 인간의 지위를 정신에서 찾는다. 아르놀트 겔렌은 경험과학을 인간학 관점에서 종합하여 동물이 고도로 전문화되어 있고 확고한 본능을 지닌 데 비해 인간은 전문화되어 있지 않은 '결핍 존재'임을 밝히려고 했다. 인간은 자신의 행위로 그 결핍을 보충해야 했고 그리하여 높은 정신적·문화적 성취를 이루었다고 본다. 이와 달리 아돌프 포르트만은 생물학과 비교행동 연구에서 인간이 이미 생물학적으로 정신적·문화적 성취와 인격적·사회적 관계, 즉 '인간적인'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고도로 '전문화'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헬무트 플레스너는 인간이 자기 삶의 중심을 거듭 반성하고 이를 초월해서 '탈중심'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동물의 '중심성'과는 다르다고 본다.
추천자료
조직이란 무엇이고,인간이란 누구인가?
인간과 우주(자연철학적 관점)
인간본성에 관한 10가지 철학적 성찰
인간에게 교육이 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
인간 복제, 무엇이 문제인가?
현대사회의 바람직한 인간상 이란 무엇인가?
현대사회의 바람직한 인간상 이란 무엇인가?
기독교와 불교에서 바라본 인간의 죽음에 관한 철학적 고찰
인간이 조직을 만드는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하여 기술하시오
인간행동발달에 관해서 학자들의 상이한 이론과 관점들은 무엇이며, 이러한 이론들은 인간행...
[심리학개론] 인간심리를 이해한다는 것이 무엇이며, 이를 위한 정신역동학적 관점과 생물학...
인간의 잠재력, 자아실현이 무엇인지 작성하고, 다양한 잠재영역(신체, 정신, 정서, 영적, 환...
인간의 삶에 있어서 사회복지의 가치는 무엇이며 사회복지사로서의 나의 계획을 서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