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교육]지역 교육을 통한 노인교육의 필요성 및 과제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교육]지역 교육을 통한 노인교육의 필요성 및 과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 차

Ⅰ)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노인교육의 필요성
2. 경로당의 기능과 역할
3.노년기 교육에 대한 욕구
4. 노인 레크레이션의 정의와 기능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조사 도구
3. 연구 분석 방법

Ⅳ) 연구 분석 및 결과
1. 노인교육 참여 현황
2. 노인교육 참여후 가정 생활 에서의 변화
3.노인 레크레이션 참여도가 대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
4. 봉사 활동 후 교사들의 정서적 변화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설문지)

본문내용

다른 봉사활동을 하고 싶다면 어떤 활동에 참여하고 싶으십니까?
5
3. 연구방법
본 조사는 2007년 7월 2일부터 7월 31일까지 연구자와 사회복지사 1명이 함께 면접조사를 시행 하였으며 ,봉사활동 하는 교사들에게는 주관식의 설문지여서 각각 교사들에게 설문지를 배포 하였는데 총 350부 중 문해교육에서 136부, 레크레이션에서 108부, 교사들의 설문지
에서 50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여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Microsoft Excel for window 2003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 대상자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명)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Ⅳ) 연구 분석 및 결과
1.노인교육 참여 현황
노인교육 참여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에서 성별은 모두 여성이며, 건강 상태는 대체적으로 양호한 편이였다. 참여 교육기관의 형태를 살펴보면 대한 노인회의 소속인 경로당과, 종교단체에서 시행하는 노인대학, 그리고 각 지역 사회의 여성회관에 참여하고 있었으며, 또 지역사회교육센터나 자치단체의 교육기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근 근처의 교육기관을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가 되었다. 교육기관에 입학하게 된 동기는 경로당과 여성회관, 지역 종교단체의 경우 주위의 친구와 일선에서 봉사활동 하는 교사의 홍보에 의해서 참석하며, 문해교육의 경우는 가족의 경우 특히 아들과 자부의 도움으로 입학하게 되고 또, 교육기관의 게시판에 설치된 홍보물을 참조 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노인교육 참여 후 가정 생활의 변화 (문해교육)
노인들의 문해교육 참여 후 자신의 삶 생활에서의 변화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 분
빈 도

아니오
① 지난날 한글을 배우지 못한 것에 대하여 후회해 본적이 있다.
135 (99.3%)
1 (0.7%)
② 내가 한글을 배우도록 격려 해준 사람은 가족이다.
119 (87.5%)
17 (12.5%)
③ 한글을 배운 후 버스번호를 구별 할 수 있게 되었다.
133 (97.8%)
3 (2.2%)
④ 요즘은 길 거리에 적혀진 광고 문구를 읽을 수 있다.
124 (91.2%)
12 (8.8%)
⑤ 요즘은 우편물을 읽을 수 있고, 이해 할 수 있다.
122 (89.7%)
14 (10.3%)
⑥ 요즘 은행에 가서 스스로 입금과 출금을 할 수 있다.
106 (77.9%)
30 (22.1%)
⑦ 나는 가족들에게 배운 것을 자랑 할 때도 있다.
116 (85.3%)
20 (14.7%)
⑧ 나는 한글을 배운 후 가족에게 편지를 써 본적이 있다.
70 (51.5%)
66 (48.5%)
⑨ 나는 한글을 배워서 이웃을 도와 준 적이 있다.
56 (41.2%)
80 (58.8%)
⑩ 요즘은 글을 알게 되어 살맛이 저절로 난다.
130 (95.6%)
6 (4.4%)
⑪ 요즘은 내 인생에서 가장 즐거운 때이다.
128 (94.1%)
8 (5.9%)
⑫ 공부는 나에게 제2의 인생을 가져다 주었다.
134 (98.5%)
2 (1.5%)
⑬ 나는 한글을 배우기를 정말 잘 했다.
135 (99.3%)
1 (0.7)
⑭ 나는 한글 배우기가 신난다.
130 (95.6%)
6 (4.4%)
⑮ 앞으로 더 많이 한글을 배우고 싶다.
134 (98.5%)
2 (1.5%)
합 계
1,772 (86.9%)
268 (13.1%)
【문 해 교 육: 1부】 (단 위: 명, %)
위의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글을 배우지 못할 것에 대하여 후회해 본적은 99.3%이고, 0.7%만이 후회를 하지 않았으며, 한글을 배울 수 있도록 격려 해준 가족은 87.3%이나 12.5%는 가족이 아닌 동료나, 교사, 그리고 그 외가 될 수 있으며, 글을 배운 후 버스번호를 구별 할 수 있다는 응답은 97.8%이고 2.2%많이 아직 버스번호를 구별 할 수 없다는 소수의 응답이다. 광고 문구를 읽을 수 있는 학습자는 91.2%이고, 8.8%는 아니오 라고 하였으며, 각 개인의 가정집 우편물을 읽고 , 내용을 이해 하는 학습자는 89.7%이나 10.3%는 타인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현실이다. 은행에서 입,출금이 가능한 학습자는 77.9%이나 22.1%는 불 가능한 상황이고, 가족에게 배운것을 자랑하는 학습자는 85.3%이나 14.7%는 전혀 표현을 하지 않는 것으로 집계되었고, 가족에게 편지를 쓴 학습자는 51.5%인 반면 48.5%는 전혀 쓰지 않는 것이다. 글을 배워서 이웃을 도와준 상황은 41.2%이고 58.8%는 아직 미숙한 상황인 것 같으나, 글을 배워서 살맛이 저절로 난 경우는 95.6%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4.4%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요즘 인생에 있어서 가장 즐거운 때라고 94.1%가 응답 하였고 5.9%는 아니오 라는 응답을 하였으며, 공부가 제2의 인생을 가져다 주었다 라는 질문에는 98.5%가 예 라고 하였으나 1.5%는 아니오 라고 했다. 한글을 배우길 잘 했다 라는 문항에 대해서는 99.3%가 예라고 하였고, 0.7%는 아니오 라고 하였으며, 글을 배우기가 신난다는 학습자는 95.6%인 반면 4.4%는 신나지 않는다 하였다. 마지막으로 더 많이 한글을 배우고 싶은 학습자는 98.5%이나 1.5%는 그냥 여기에 머물기를 원한 것 같은 통계가 집결 되었다.
3. 노인 레크레이션 참여도가 대인 태도에 미친 영향
본 연구는 노인 지회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레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경로당 내 노인들을 대상으로 본인 그리고 친구와 가족에 대하는 생활에 있어서 어떤 변화가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으로부터 시작 하였다.
구분
빈 도

아니오
①이전에도 레크레이션 해 보셨는가?
14 (13%)
94 (87%)
②레크레이션 놀이 활동에 적극 참여 하셨는가?
90 (83%)
18 (17%)
③레크레이션 놀이를 하고 나면 기분이 개운한가?
96 (89%)
12 (11%)
④레크레이션을 하고 나면 스트레스가 풀린가?
104 (96%)
4 (4%)
⑤레크레이션 놀이를 통하여자신감을갖게되었는가?
84 (78%)
24 (22%)
⑥예전에 표출하지 못했던 감정을 표출할수있는가?
70 (78%)
38 (35%)
⑦동료와의 관계가 조금이나마 좋아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8.02.28
  • 저작시기200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2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