넬 나딩스(Nel Noddings)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사상배경

2. 인간관

3. 종교관

4. 교육관

5. 교육실천 사례

본문내용

재음미해보면 그것은 ‘여성학적 인식’을 고취시키고 그것을 실천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제 가정과 사회, 사적 영역과 공적 영역의 벽은 허물어지고 있고 앞으로 완전히 일소되게 될 시대적 상황 속에서 배려의 역할은 이제 여성에게만 부과될 일이 아니다. 그것은 남성이든 여성이든 누구나 상황이 요구한다면 자라나는 세대의 도덕교육을 위하여 자임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배려윤리학에 들어있는 이러한 근본취지를 살리기 위해서 배려자는 누구보다도 여성학적 인식에 철저한 사람이어야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 배려자가 본보기, 대화, 실천, 격려 등의 방법을 통하여 아무리 고매한 도덕적 이상을 피배려자에게 심어준다고 해도 그것은 나딩스의 배려윤리학의 근본 취지를 온전히 실현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
나딩스의 ‘배려’는 전근대적이고 남녀차별적인 사회가 아닌, 합리적이고 양성평등적인 사회에서의 도덕적 인간관계를 규정짓는 새로운 개념이며 그것에 입각한 도덕교육방법으로서의 본보기, 대화, 실천, 격려의 방법은 철저한 여성학적 인식 위에서 여성학적 인식을 고취시키고 그것을 실천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나딩스의 배려윤리학은 합리주의 윤리학과도, 덕목주의 윤리학과도 다른 것이지만 합리주의 윤리학에서 주장되는 합리성의 중요함, 그리고 덕목주의 윤리학에서 주장되는 덕목의 아름다움 모두를 놓치지 않고 ‘여성학적’ 관점에서 양자를 통합하는 윤리로 인식되어야 한다. 배려윤리학이 현대도덕교육에 어떤 새로운 실제적인 시사를 주는가의 문제에 대한 이 글의 답은 이 정도에서 그친다. 배려윤리학의 근본 취지를 제대로 살려 도덕교육을 하기 위하여 배려자와 피배려자는 서로에게 어떤 본보기를 보여야 하며, 어떤 내용으로 대화를 나누어야 하며, 어떤 것을 실천해야하는지, 그리고 어떤 점을 인정해주고 격려해주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대답은 앞으로 우리 모두가 중지를 모아 끊임없이 실천하는 가운데 모색되어야 한다. 그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그것은 인류역사가 시작된 이래로 지금까지 한 방향으로만 달려온 인식의 방향을 뒤트는 일이기 때문이다.
참고 사이트
http://blog.naver.com/yullissam/29294663
http://blog.naver.com/kupems?Redirect=Log&logNo=80024676516
참고 논문
여성학적 관점에 의거한 배려 윤리학의 실제적 의미 - 한혜정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3.03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29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