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 교육과 행복의 관계
2. 본론
(1) 우리나라의 교육 현황
(2) 입시과열의 원인
(3) 입시교육의 폐해 (문제점)
(4) 입시 과열에 대한 대안-교육공동체의 건설
3. 결론
- 교육공동체 건설을 위한 학교구조의 개선(나딩스의 제안)
- 교육과 행복의 관계
2. 본론
(1) 우리나라의 교육 현황
(2) 입시과열의 원인
(3) 입시교육의 폐해 (문제점)
(4) 입시 과열에 대한 대안-교육공동체의 건설
3. 결론
- 교육공동체 건설을 위한 학교구조의 개선(나딩스의 제안)
본문내용
는 배려적이고 도덕적인 학교 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다음과 같은 학교 구조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탈전문화이다. 탈전문화란 교사들로 하여금 지역 사회의 또 다른 교육자들이라고 할 수 있는 부모들로부터 단절되게 만들고 있는 특수한 언어를 제거하려는 시도이다. 탈전문화를 통해 교사들은 개별 학생들과 더욱 잦은 접촉 기회를 갖게 되고, 마치 어머니와 같은 태도를 갖고 학생들을 대함으로써 진정한 배려의 제공자가 될 수 있다. 구체적인 방안으로 나딩스는 일정 학생들로 하여금 한 교사의 지도 아래서 3년 동안 수학하게 할 것을 제시한다. 또한 3년을 지도한 교사는 1년 동안 현직을 떠나 교육과정 계획, 규율과 관련된 카운슬링, 혹은 장학사나 개별적인 학교 행정 업무에 종사하게 한다. 이로써 교수와 관리 사이의 벽이 해소될 수 있으며, 학교 안에 따뜻한 배려의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구조적 여건이 마련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학교 관리나 경영을 교사들 손에 전적으로 맡겨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학교라는 공동체 안에 전통적인 위계적 질서라는 고루하고 부정적인 개념을 타파하고, 순환과 연쇄라는 새롭고 참신한 개념을 도입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둘째, 학교 규칙을 개선이다. 법에 복종하는 것은 도덕적 행동을 위한 신뢰할 수 있는 지침이 되지 못하기 때문에, 학교에서의 규칙을 단순히 위반 행위에 대한 처벌과 벌칙으로 사용하는 기존의 방식은 개선되어야 한다. 즉, 학교에서의 규칙은 바람직한 행동을 위한 일종의 안내 지침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규 교육과정의 개편이다. 교사와 학교는 배려를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직접 배려의 행위를 실행해 봄으로써 배려를 더 잘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든 교사는 각자의 전공 영역을 초월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봉사 활동의 기회를 제공하고, 봉사 활동을 지도해 주는 것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이를 위해여 나딩스는 봉사활동을 정규 교육과정의 한 측면으로 도입할 것을 주장했다.
* 참고도서
행복과 교육, 2008, 넬 나딩스, 이지헌 역, 학이당
교육의 본연을 찾아서 1993. 정범모 외. 나남출판사
21C를 향한 교육 개혁 1999. 정범모 외. 민음사
한국교육정책의 쟁점 2002. 윤정일. 교육과학사
*인터넷 사이트
네이버 (http://www.naver.com)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 참고도서
행복과 교육, 2008, 넬 나딩스, 이지헌 역, 학이당
교육의 본연을 찾아서 1993. 정범모 외. 나남출판사
21C를 향한 교육 개혁 1999. 정범모 외. 민음사
한국교육정책의 쟁점 2002. 윤정일. 교육과학사
*인터넷 사이트
네이버 (http://www.naver.com)
조선일보 (http://www.chosun.com)
추천자료
초등 임용고사 대비 <초등도덕 교육과정> 문제 제작 스터디 자료
넬 나딩스(Nel Noddings) - 배려&#8228;보살핌&#8228;돌봄의 교육
넬 나딩스(Nel Noddings) - 배려&#8228;보살핌&#8228;돌봄의 교육
넬 나딩스(Nel Noddings)
페미니즘, 배려윤리와 도덕교육(길리건 /나딩스)
초등도덕교육의 실제 & 초등도덕과교육방법연구_-_배려
좋은교육을 읽고서...
도덕과(도덕교육, 도덕수업)의 목표, 도덕과(도덕교육, 도덕수업)의 동향, 도덕과(도덕교육, ...
[교육론][교육이론][프레이리][듀이][마틴부버][나딩스 배려교육론(교육이론)]프레이리의 교...
소개글